맨위로가기

틸란드시아속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틸란드시아속(Tillandsia)은 파인애플과에 속하는 식물로, 약 650여 종이 있으며, 대부분 착생식물이다. 이들은 열대우림, 고산지대, 늪지 등 다양한 환경에서 자생하며, 뿌리가 아닌 잎의 트리콤을 통해 수분과 영양분을 흡수한다. 틸란드시아는 다양한 색상의 꽃을 피우며, 영양생식을 통해 번식한다. 재배 시에는 물주기, 통풍, 온도 관리가 중요하며, CAM 식물이므로 밤에 잎을 말리고 아침에 물을 주는 것이 좋다. 틸란드시아속은 엘리아스 틸란즈를 기리기 위해 칼 폰 린네가 명명했으며, 여러 아속으로 분류된다. 일부 종은 CITES II에 의해 보호받고 있으며, 공기 정화 능력으로도 알려져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착생식물 - 인도고무나무
    인도고무나무는 뽕나무과 무화과나무속의 상록 교목으로, 30~40m까지 자라며 두껍고 광택이 나는 잎을 가지고, 네팔에서 인도네시아에 걸쳐 자생하며 관상용으로 재배되고, 과거 천연 고무 원료로 쓰였으나 현재는 관상용, 인도 메갈라야 지역에서는 뿌리로 살아있는 다리를 만든다.
  • 착생식물 - 공작선인장속
    공작선인장속은 선인장과에 속하는 관상 식물로, 화려한 꽃과 식용 열매가 특징이며, 멕시코, 중앙아메리카, 남아메리카에 분포하고, 밤에 피는 향기로운 꽃과 다양한 색상, 잼 등으로 활용되는 열매를 가진다.
  • 틸란드시아속 - 틸란드시아 레쿠르비폴리아
    틸란드시아 레쿠르비폴리아는 잎의 색상, 질감, 형태가 다른 다양한 재배 품종('모히토', '그린', '실버', '스타더스트', '파이어볼' 등)을 가진 식물로, 지속적인 교배와 변이를 통해 새로운 품종이 개발되고 있다.
  • 틸란드시아속 - 틸란드시아 두라티이
    틸란드시아 두라티이는 파인애플과에 속하는 착생 식물로, 다양한 재배 품종이 존재하며 실내 재배가 용이하고 관상용으로 인기가 높은 공중 식물이다.
틸란드시아속
속 정보
틸란드시아 파시쿨라타
학명틸란드시아 (Tillandsia)
명명자L.
동의어아칸토스포라 (Acanthospora) Spreng.
알라르디아 (Allardtia)
디아포란테마 (Diaphoranthema) Beer
피타르히자 (Phytarrhiza) Vis.
피티로필룸 (Pityrophyllum) Beer
플라티스타키스 (Platystachys) K.Koch
라키나에아 (Racinaea) M.A.Spencer & L.B.Sm.
×라킨시아 (×Racindsia) Takiz.
레네알미아 (Renealmia) L.
스트렙시아 (Strepsia) Steud.
비리단타 (Viridantha) Espejo
발리시아 (Wallisia) (Regel) E.Morren
종 수650종 이상
생물학적 분류
식물계 (Plantae)
문 (계급 없음)속씨식물 (angiosperms)
강 (계급 없음)외떡잎식물 (monocots)
아강 (계급 없음)닭의장풀군 (commelinids)
벼목 (Poales)
파인애플과 (Bromeliaceae)
일반 정보
영어 이름틸란드시아 (Tillandsia)
에어플랜트 (Airplants)

2. 분포

틸란드시아속 식물은 적도의 열대우림, 높은 안데스산맥, 루이지애나의 늪 (나뭇가지 위에 걸려 자라는 수염틸란드시아)과 같은 다양한 환경에서 자생해왔다. 바위나 지붕, 심지어 전화선 위에서도 자랄 수 있다. 틸란드시아는 착생식물이다.

춥고 습한 지역에서 살아가는 녹색을 띠는 종류는 주로 지면의 그늘이나 숲의 저층부에서 자라난다.[41] 이와 반대로 거의 모든 회색 종류는 습도가 높고 강수량이 적은 지역에서 자라난다. 이들은 강한 햇빛을 좋아하므로 수관 상층부, 드물게는 땅 위의 바위에서 자라난다. 회색을 띄는 종류는 대부분 바위에서 자란다. 어떤 종들은 다소 건생형이다.[42]

북아메리카 북위 35°부터 남아메리카 남위 43°까지, 그리고 해발 4000m의 고지에까지 서식하는 종이 있으며, 이는 파인애플과에서 남북 및 해발 고도의 상한선을 모두 포함하며, 이 속의 종이 이러한 범위를 아우르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이 과 내에서는 내한성이 높은 종이 포함되어 있음도 알 수 있다.[32]

서식 환경은 직사광선이 내리쬐어 40℃ 가까이 되는 장소에서부터 숲 속 나무 줄기처럼 햇빛이 거의 닿지 않는 곳까지 다양하지만, 절벽이나 언덕, 나무 위 등 통풍이 잘 되는 곳이 많다. 또한, 이 속이 분포하는 건조 지대에서는 강우가 드문 대신 밤이 되면 잦은 안개가 발생하는 지역이 많으며, 뿌리가 아닌 체표의 잎에서 수분을 흡수하는 이 속(은엽종)의 생활 방식은 이러한 환경과 대응한다.

틸란드시아속은 다음 지역에 분포한다.


3. 생태

틸란드시아속 식물은 적도의 열대우림, 높은 안데스산맥, 루이지애나의 늪(나뭇가지 위에 걸려 자라는 수염틸란드시아)과 같은 다양한 환경에서 자생해왔다. 바위나 지붕, 심지어 전화선 위에서도 자랄 수 있으며, 틸란드시아는 착생식물이다.[41]

춥고 습한 지역에서 살아가는 녹색을 띠는 종류는 주로 지면의 그늘이나 숲의 저층부에서 자란다.[41] 이와 반대로 거의 모든 회색 종류는 습도가 높고 강수량이 적은 지역에서 자란다. 이들은 강한 햇빛을 좋아하므로 수관 상층부, 드물게는 땅 위의 바위에서 자라며, 대부분 바위에서 자란다. 어떤 종들은 다소 건생형이다.[42]

더운 곳에 살수록 다육질 잎이 두꺼워진다. 틸란드시아속에 속한 식물들은 다양한 생리적, 형태적 다양성을 보여주어, 이 속은 생물다양성의 훌륭한 예시가 되었다. 식물, 바위 등 다양한 서식지에서 살아가는 종들은 다른 식물이나 물질에 걸치기 위한 용도의 뿌리 체계, 수분과 양분을 흡수하기 위해 변형된 트리콤과 같은 적응을 해냈다.[43]

틸란드시아속의 종들은 일반적으로 이파리가 모여 로제트 형태를 띠는데, 물과 부식된 유기물을 모아서, 표면을 통해 영양분과 수분을 흡수하는 역할을 한다. 꽃들은 보통 색상이 밝고 다양하며, 꽃은 줄기에서 피어난다. 꽃은 빨강, 노랑, 자주, 분홍색 등등의 다양한 색상을 띄어서 꽃가루를 매개하는 동물을 유혹한다. 잎도 꽃이 필 때 덩달아 색깔이 바뀐다. 틸란드시아속 식물을 곧잘 수분시켜주는 것들로는 나방, 벌새, 최근에 수분에 참여한다는 게 알려진 박쥐 등이 있다.[44] 한 번 개화한 이후에는 더 이상 성장하지 않고 죽을 때까지 영양생식에 모든 역량을 집중하게 된다.

틸란드시아속에 속한 식물들은 낮에는 기공을 닫아 수분 손실을 막고, 밤에는 열어서 이산화탄소를 고정시키고 산소를 방출하는 CAM 공정이라 불리는 과정을 통해 광합성을 한다.[45] 이를 통해 수분을 보존할 수 있는데, 착생식물에게는 꼭 필요한 능력이다. 제대로 기능하는 뿌리 체계가 없으며, 대신 트리콤이라 불리는 작은 구조를 통하여 잎으로 물을 흡수한다. 틸란드시아속 종들은 공기 중의 잔해와 먼지에서도 영양분을 흡수한다.[46] 틸란드시아속 식물의 뿌리는 표면에 식물체를 안정하게 고정시키는 비계 역할을 하도록 자라난다.[47]

온도는 그리 중요하지 않아서, 10°C-32°C에 이르는 온도에서 정상적으로 살아갈 수 있다. 서리 저항성은 종에 따라 다르다. 예를 들어 수염틸란드시아는 밤에 -10°C에 이르는 온도에서도 서리 저항성을 유지한다.

틸란드시아속 식물이 물을 빨아들이면, 물을 잔뜩 머금은 트리콤 밑의 조직을 다시 볼 수 있게 되어, 식물이 초록색이 된 것처럼 보인다. 이렇게 되면 식물은 더 많은 양의 빛을 받아들일 수 있다. 햇빛에 식물이 마르면 다시 하얗게 변한다. 이러한 특별한 생존 방식 덕분에 이 뿌리가 없는 식물은 안개 방울이건 빗물이건 빨아들여 필요한 물을 얻어낸다.[48]

대부분의 종들에게 있어 생장에 이상적인 온도는 20°C-25°C이며 최소 10°C, 최대 30°C이다. 몇몇은 -10°C 까지도 버틸 수 있지만, 주로 높은 지역에 서식하는 몇몇은 약간의 짧은 서리를 견뎌내고 약한 겨울 날씨에서 1년 내내 살아갈 수 있다.[49]

수명은 소형종의 경우 1~2년을 넘지 않으며, 시들틸란드시아같은 중대형종은 20년을, 틸란드시아 그란디스같은 초대형종은 40년을 넘기기도 한다.

틸란드시아속 식물은 씨앗을 만들 수도 있지만 옆에 새끼(신아, 자구, pup, offset)를 만들 수 있는데 이를 영양생식이라고 한다. 씨앗의 발아는 다소 까다롭기 때문에 새로운 품종을 만들 목적이 아닌 이상 일반적으로 영양생식을 통해 번식시킨다. 자구가 계속 붙어서 자라면 자구가 불어나 다발을 이룬다. 개체는 꽃을 피우고 나면 더 이상 성장하지 않고 고사할 때까지 자구나 씨방을 만드는 데 모든 역량을 쏟아붓는다.

틸란드시아 스트릭타


수염 틸란드시아
나무에서 길게 늘어진다


대부분의 종이 나무, 암석 등에 착생하며, 인가의 지붕 등에도 나타난다. 일부는 아래로 늘어지는 것도 있으며, 지상성의 종도 있다.[32] 뿌리로부터의 흡수에 전혀 의존하지 않는 종이 포함되어 있으며, 예를 들어, 덩굴 이끼의 별명이 있는 ''T. recurvata''나 브라질에서 "브라질의 개척자"라고 불리는 ''T. stricta'' 등은 종종 전선에 착생하고 있다. 또한 ''T. purpea''나 ''T. latifolia''는 지상성이면서 뿌리가 발달하지 않아, 묶여있는 잎만 있는 모습으로 지상에 굴러다닌다. 이들은 안데스 산중의 사막에서 발견되는 종으로, 바람에 굴러다니면서 생육하고 있다. 오히려 뿌리로 고정되어 있는 경우, 모래에 묻혀 버릴 위험이 있어, 이에 대한 적응이라는 견해도 있다.[33] 또한 가짜 덩굴 줄기를 만드는 종 중에는, 야외에서 개미를 살게 하는 개미 식물인 것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34]

4. 재배

틸란드시아속 식물은 착생식물이라 흙과 화분이 필요 없어 관리가 비교적 쉽지만, 고유한 특성을 이해해야 잘 기를 수 있다.

수분 공급은 분무기를 사용하거나 대야에 30분에서 2시간 정도 담가두는 방식을 사용한다. 하지만 틸란드시아속 식물은 건조한 지역에 서식하므로, 장기간 물에 담가두면 썩을 수 있다. 특히 통통틸란드시아나 시들틸란드시아처럼 과습에 취약한 종류는 주의해야 한다. 물을 준 후에는 확실히 말리고, 수염틸란드시아처럼 얽히는 종은 환기가 잘 되도록 관리해야 한다.

트리콤이 발달된 종류는 물이 충분하면 녹색, 부족하면 은회색을 띤다. 시들틸란드시아는 물이 부족하면 잎이 곱슬거리고 충분하면 펴진다. 트리콤이 발달한 종은 건조한 지역에 서식하므로 물을 가끔 주고, 수염틸란드시아처럼 트리콤이 발달하지 않은 종은 물을 자주 줘야 한다.

번식은 종자, 자구 두 가지 방식이 있다. 자구는 분리하면 되지만, 씨앗은 발아와 성장이 까다로워 선호되지 않는다. 씨앗은 작고 솜털이 있어 바람에 날아가거나 물을 머금어 발아한다. 광발아하므로 햇빛과 환기가 필요하며, 발아 후에는 건조에 신경 써야 한다. 종류에 따라 성장 속도와 자구 생성 개수가 다르다.

자연광에서는 9-10월에 가장 크게 성장한다. 대부분 성장 속도가 느리지만, 비료, 호르몬, 생장등, 이산화탄소 공급 등으로 성장 속도를 높일 수 있다.

수염틸란드시아처럼 얽혀 자라는 경우가 아니면 바닥에 놓고 키워도 되지만, 착생시키거나 공중에 띄우기도 한다. 틸란드시아(주로 캄틸란드시아, 드물게 틸란드시아 세쿤다 제외)의 뿌리는 아이젠 역할을 할 뿐, 수분 흡수는 잎으로 한다. 분무기로 물을 주거나 물에 담그는 방식으로 급수하며, 석회질 물은 피하고 빗물이 좋다.[56]

춥지 않은 지역에 서식하므로 겨울에는 15도, 최소 10도 이상 유지해야 냉해를 막을 수 있다. 대부분 강한 햇빛을 좋아하지만, 간접광을 선호하므로 그늘에서 키우는 것이 안전하다. 광합성 효과가 극대화되도록 파장이 조절된 생장등을 사용하기도 한다. 대한민국에서는 겨울이 온도, 환기 문제로 고비이다.

액체형 비료는 서너 달에 한 번 정도 급여한다. 과도한 급여는 웃자람과 트리콤 형성 저해를 유발할 수 있다. 빗물은 다양한 미네랄을 함유하여 좋으며, 특히 천둥번개가 치는 날 빗물은 질소를 풍부하게 함유한다.[57] 틸란드시아속 식물은 염분, 붕소, 구리, 아연에 민감하므로 해당 성분이 함유된 비료는 피하고, 질소 비료가 좋다.[59]

환기가 잘 되어야 하며, 특히 수염틸란드시아는 환기 부족에 취약하다. 선풍기를 이용하기도 하며, 테라리움에서는 생존하기 힘들다. CAM 식물이므로 밤에 잎이 젖어있으면 썩을 수 있다. 저녁에 물을 주고 밤에는 마른 상태를 유지하며, 아침에 물을 주는 것이 좋다.[60]

대한민국과 같은 온대지역에서는 여름을 제외하고 최대한 햇빛에 직접 노출시켜야 한다. 겨울철에는 급수 주기를 길게 조절하고, 미지근한 물을 사용하거나 분무하는 것이 좋다. 창틀 근처는 동해를 입을 수 있으므로 생장등을 사용해 웃자람을 예방한다.

틸란드시아속 식물은 다른 브로멜리아드처럼 수분을 통한 씨앗 형성으로 번식할 수 있다. 대개 자가수정이 불가능하여 다른 개체의 꽃가루가 필요하며, 개화까지 수 년이 걸린다. 씨앗을 맺고 나면 어머니 개체는 죽는다.[61]

공기식물은 관리가 간편하여 인기가 높다. 뿌리가 최소화되어 있고 물을 자주 줄 필요가 없으며, 일주일에 네 번 정도면 충분하다.[62] 필요한 광량은 종에 따라 다르며, 착생시키거나 테라리움, 조가비 안에 배치할 수 있다.[63]

틸란드시아 목욕


''틸란드시아 아르겐테아''


관상용으로 주로 키워지지만, 포름알데히드 제거에 탁월하다고 알려져 있다.[64]

5. 분류

틸란드시아속은 엘리아스 틸란즈 박사의 이름을 따 칼 린네가 명명하였다. 틸란드시아속에는 650여 종이 속해있으며, 그 중 635종이 착생식물로 여겨진다.[65]

전통적으로 일곱 개의 아속으로 분류된다:[66]


  • ''Tillandsia'' subg. ''Allardtia'' (A. Dietr) Baker
  • ''Tillandsia'' subg. ''Anoplophytum'' (Beer) Baker
  • ''Tillandsia'' subg. ''Diaphoranthema'' (Beer) Baker
  • ''Tillandsia'' subg. ''Phytarrhiza'' (Vis.) Baker
  • ''Tillandsia'' subg. ''Pseudalcantarea'' Mez
  • ''Tillandsia'' subg. ''Pseudo-Catopsis'' Baker
  • ''Tillandsia'' subg. ''Tillandsia''


2016년 기준으로 다음과 같은 아속이 인정된다:[10]

  • ''틸란드시아'' Aerobia아속 Mez in C.DC.
  • ''틸란드시아'' Anoplophytum아속 (Beer) Baker
  • ''틸란드시아'' Diaphoranthema아속 (Beer) Baker
  • ''틸란드시아'' Phytarrhiza아속 (Vis.) Baker
  • ''틸란드시아'' Pseudovriesea아속 Barfuss & W.Till
  • ''틸란드시아'' L. Tillandsia아속
  • ''틸란드시아'' Viridantha아속 (Espejo) W.Till & Barfuss


꽃의 구조 등을 바탕으로 7개의 아속으로 분류되며, 대표적인 종은 다음과 같다:[35]

아속주요 종
AllardtiaT. complanata, T. multicaulis
Aerobia
AnoplophytumT. aerantos 키노에아나나스 (에어란토스), T. geminiflora, T. pulchella, T. stricta, T. walteri, T. wurdackii
PhytarrhizaT. anceps, T. cyanea 하나아나나스, T. lindenii, T. linearis, T. monadelpha, T. umbellata
DiaphranthemaT. recurvata, T. usneoides 사루오가세모도키
PseudocatopsisT. crispa, T. spiculosa
TillandsiaT. andreana, T. argentea, T. balbisiana, T. brachycaulos, T. bulbosa 히메키노에아나나스, T. butzii 부찌, T. caput-medusae 카푸트메두사, T. circinata, T. deppeana, T. disticha, T. dura, T. fasciculata, T. festucoides, T. filifolia 필리폴리아, T. flabellata, T. flexuosa, T. incurva, T. ionantha 이오난타, T. juncea, T. karwinskyana, T. polystachia, T. pruinosa, T. punctulata 호소바아나나스, T. schiedeana 시에디아나, T. streptophylla 스트렙토필라, T. tricolor, T. valenzuelana



다음과 같은 네 종은 CITES II로 보호된다:[67]


  • ''틸란드시아 해리시''
  • ''Tillandsia kammii''
  • ''틸란드시아 모리아나''
  • ''Tillandsia xerographica''

참조

[1] 웹사이트 World Checklist of Selected Plant Families http://apps.kew.org/[...]
[2] 간행물 Geographic structure in two highly diverse lineages of Tillandsia (Bromeliaceae) https://pubag.nal.us[...] 2023-02-09
[3] 웹사이트 Tillandsia https://plants.sc.eg[...] 2015-12-10
[4] 서적 Air Plants: Epiphytes and Aerial Gardens Comstock Publishing Associates 2012
[5] 뉴스 Aerophyte, a New Life Form in Raunkiaer's Classification? https://www.jstor.or[...] 1999
[6] 서적 Bromeliads for the contemporary garden Timber Press 2003
[7] 문서 Tillandsioideae (Bromeliaceae) 1979
[8] 간행물 First record of bat-pollination in the species-rich genus Tillandsia (Bromeliaceae) 2014-03
[9] 간행물 Phylogenetic relationships of the pseudobulbous Tillandsia species (Bromeliaceae) inferred from cladistic analyses of ITS 2, 5.8S ribosomal RNA gene, and ETS sequences http://www.filogenet[...]
[10] 간행물 Taxonomic revision of Bromeliaceae subfam. Tillandsioideae based on a multi-locus DNA sequence phylogeny and morphology Magnolia Press 2016-10-13
[11] 웹사이트 Appendices I, II and III valid from 5 February 2015* http://www.cites.org[...] 2015-02-23
[12] 웹사이트 Tillandsia L. {{!}} Plants of the World Online {{!}} Kew Science http://powo.science.[...] 2022-03-04
[13] 서적 Bromelien Verlag Eugen Ulmer, Stuttgart 1970
[14] 서적 Beautiful Tillandsien Ulmer, Stuttgart 1992
[15] 간행물 CAM evolution is associated with gene family expansion in an explosive bromeliad radiation https://academic.oup[...] 2024-04-30
[16] 서적 Vascular Epiphytes: General Biology and Related Biota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7] 간행물 Foliar Permeability Among Twenty Species of the Bromeliaceae 1970
[18] 서적 Tillandsien Tetra publishing house 2002
[19] 서적 Air Plants : Epiphytes and Aerial Gardens Cornell University Press
[20] 간행물 The Vegetative Morphology, Habitat Preference and Water Balance Mechanisms of the Bromeliad Tillandsia ionantha Planch 1971
[21] 서적 Tillandsia for room and conservatory Ulmer 2001
[22] 서적 Bromeliads connoisseur's guide Random House 2007
[23] 서적 Tillandsien – species and culture Naturbuch Verlag 1992
[24] 서적 Tillandsias and other Bromeliads Eugen Ulmer 2005
[25] 웹사이트 How To Water Air Plants The Right Way To Keep Your Air Plant Alive https://www.urbanorg[...] 2019-05-31
[26] 문서 Instructions: Care for Air Plants (Tillandsia) http://www.wedgewood[...] Wedgewood Gardens
[27] 웹사이트 BCR Bromeliad Cultivar Register> https://www.bsi.org/[...] 2023-10-11
[28] 웹사이트 Tillandsia http://www.tropicos.[...] Tropicos
[29] 서적 AN ALPHABETICAL LIST OF BROMELIAD BINOMIALS, ELEVENTH EDITION the Bromeliad Society International
[30] 문서 以下、主として園芸植物大事典(1994),p.1546
[31] 문서 ホルスト(1997),p.213
[32] 문서 園芸植物大事典(1994),p.1546
[33] 문서 小山(1978),p.2231
[34] 문서 Chew et al.(2010),p.87
[35] 문서 園芸植物大事典(1994),p.1546-1554
[36] 웹인용 World Checklist of Selected Plant Families http://apps.kew.org/[...]
[37] 간행물 Geographic structure in two highly diverse lineages of Tillandsia (Bromeliaceae) 2017-03
[38] 웹사이트 Tillandsia http://plants.usda.g[...] 2015-12-10
[39] 서적 Air Plants: Epiphytes and Aerial Gardens Comstock Publishing Associates 2012
[40] 저널 Aerophyte, a New Life Form in Raunkiaer's Classification? https://www.jstor.or[...] 1999
[41] 서적 Bromelien Verlag Eugen Ulmer, Stuttgart 1970
[42] 서적 Beautiful Tillandsien Ulmer, Stuttgart 1992
[43] 간행물 Geographic structure in two highly diverse lineages of Tillandsia (Bromeliaceae) 2017-03
[44] 저널 First record of bat-pollination in the species-rich genus Tillandsia (Bromeliaceae) 2014-03
[45] 서적 Vascular Epiphytes: General Biology and Related Biota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8
[46] 저널 Foliar Permeability Among Twenty Species of the Bromeliaceae 1970
[47] 저널 The Vegetative Morphology, Habitat Preference and Water Balance Mechanisms of the Bromeliad Tillandsia ionantha Planch 1971
[48] 서적 Tillandsien Tetra publishing house, Bissendorf Wulften 2002
[49] 저널 The Vegetative Morphology, Habitat Preference and Water Balance Mechanisms of the Bromeliad Tillandsia ionantha Planch 1971
[50] 서적 Bromeliads connoisseur's guide Random House, London 2007
[51] 문서 Instructions: Care for Air Plants (Tillandsia) http://www.wedgewood[...] Wedgewood Gardens 2016-10-20
[52] 웹인용 growing tillandsias from seed http://www.anwyl.com[...] 2018-11-13
[53] 웹인용 GROWING ATMOSPHERIC TILLANDSIAS FROM SEED - By: Mark A. Dimmitt http://fcbs.org/arti[...] 2018-11-13
[54] 뉴스 Growing Air Plants From Seeds https://www.pasinga.[...] 2018-04-11
[55] 뉴스 Tillandsia Reproduction - Seeds and Pups http://www.airplantd[...] 2018-11-13
[56] 문서 Instructions: Care for Air Plants (Tillandsia) http://www.wedgewood[...] Wedgewood Gardens 2016-10-20
[57] 웹인용 BBC - GCSE Bitesize: The nitrogen cycle https://web.archive.[...] 2018-11-11
[58] 서적 Phyllospheric Nitrogen Fixing Bacteria in Tillandsia Leaves https://link.springe[...] Springer Netherlands 1991
[59] 웹인용 Tillandsia – Bromeliad Society/Houston http://bromeliadsoci[...] 2018-11-11
[60] 저널 Multiple origins of crassulacean acid metabolism and the epiphytic habit in the Neotropical family Bromeliaceae http://www.pnas.org/[...] 2004-03-09
[61] 서적 Tillandsia for room and conservatory Ulmer, Stuttgart 2001
[62] 서적 Tillandsien - species and culture Publisher Naturbuch Verlag 1992
[63] 서적 Tillandsias and other Bromeliads Eugen Ulmer, Paris 2005
[64] 웹인용 열대 식물 '틸란드시아', 실내 발암물질 제거 탁월 https://ytn.co.kr/_l[...] 2018-11-17
[65] 간행물 Geographic structure in two highly diverse lineages of Tillandsia (Bromeliaceae) 2017-03
[66] 저널 Phylogenetic relationships of the pseudobulbous ''Tillandsia'' species (Bromeliaceae) inferred from cladistic analyses of ITS 2, 5.8S ribosomal RNA gene, and ETS sequences http://www.filogenet[...] 2010
[67] 웹사이트 Appendices I, II and III valid from 5 February 2015* http://www.cites.org[...] 2015-02-2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