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중 (지명)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관중은 중국 산시성 중부와 허난성 서북부에 걸쳐 있는 지역으로, 관중 분지를 포함한다. 시안시를 비롯한 여러 도시를 포함하며, 평균 해발고도는 300~700m이다. 춘추 전국 시대 진나라의 중심지였으며, 비옥한 토지와 관개 시설을 바탕으로 중국 통일의 기반이 되었다. 주나라 이후 12개 왕조의 수도였으나, 당나라 시기 경제 중심지가 남쪽으로 이동하면서 쇠퇴했다. 동쪽의 한구관, 서쪽의 다산관 등 요새들이 위치해 있으며, 현재는 중앙아시아로 향하는 관문 역할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산시성 (섬서성)의 지리 - 허타오
허타오는 황하가 지나는 지역으로, 비옥한 토지를 바탕으로 다양한 도시가 발달했으며 농업과 자원 생산, 공업이 이루어진다. - 산시성 (섬서성)의 지리 - 중원 (중국)
중원(中原)은 중국 허난성을 중심으로 황허강 중·하류 유역을 지칭하는 지리적, 문화적 개념이며, 중국 문명의 발상지 중 하나로 고대부터 전략적으로 중요한 지역이었다. - 중국의 평야 - 둥베이 평원
둥베이 평원은 중국 동북부에 위치하여 비옥한 흑토와 넓은 경작지를 기반으로 주요 농업 지대를 이루며, 역사적으로 다양한 민족의 터전이자 풍부한 지하자원을 보유하고 한반도와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다. - 중국의 평야 - 화베이 평원
화베이 평원은 유라시아 대륙 동쪽에 위치한 광대한 평야 지대로, 중국 문명의 발상지이자 정치적 중심지였으나 유목 민족의 침략에 취약했으며, 예측 불허한 날씨와 잦은 홍수는 중앙 집권적 국가 체제 발달에 영향을 미쳤고, 현대에는 과도한 지하수 사용과 기후 변화로 인한 열 스트레스 증가 등의 문제에 직면해 있다. - 중국의 지역 - 화중
화중은 중국 중부 지역을 가리키는 지리적 개념으로, 춘추전국시대부터 전략적 요충지였으며 현재는 허난성, 후베이성, 후난성을 포함하고 주요 도시들을 중심으로 중국 경제 성장에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최근 경제적 어려움과 사회적 불평등 심화 등의 과제에 직면해 있다. - 중국의 지역 - 둥베이 평원
둥베이 평원은 중국 동북부에 위치하여 비옥한 흑토와 넓은 경작지를 기반으로 주요 농업 지대를 이루며, 역사적으로 다양한 민족의 터전이자 풍부한 지하자원을 보유하고 한반도와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다.
관중 (지명) | |
---|---|
개요 | |
위치 | 중국 섬서성 중부의 위수 평원 |
별칭 | 진천(秦川), 관내(關內) |
중심 도시 | 시안 |
역사적 중요성 | 여러 왕조의 수도 위치 |
지리 | |
지형 | 위수 평원, 주변 산으로 둘러싸임 |
주요 산 | 종남산, 기산, 화산 |
주요 강 | 위수 |
사방의 관문 | 동쪽 - 함곡관, 남쪽 - 무관, 서쪽 - 산관, 북쪽 - 소관 |
역사 | |
중요 시기 | 진나라의 중심지, 한나라의 수도 장안 위치 |
전략적 요충지 | 진나라가 중국 통일의 발판 마련 |
수나라, 당나라 | 대흥성, 장안 등의 수도가 위치 |
영향력 | 중국 역사에 큰 영향 |
문화 | |
언어 | 중원관화 |
음식 | 진채 |
유적 | 병마용, 화청지 등 다수 |
현대적 중요성 | |
경제 중심지 | 중국 서북 지역의 중요한 경제 중심지 |
산업 | 항공우주산업, 제조업 |
기타 | |
관련 인물 | 관중 |
2. 지리
관중 분지는 평균 해발고도가 500m이다. 산시성의 성도이자 관중 분지 최대 도시인 시안시를 비롯해 퉁촨시, 바오지시, 셴양시, 웨이난시가 있다. 관중 평원은 전통적으로 현대 산시 성의 중앙부와 허난성의 극서북단(싼먼샤의 서반부)을 포함한다. 이 지역의 평균 고도는 300m에서 700m 해발 고도이다.
관중 지역을 둘러싼 주요 역사적 요새는 다음과 같다.
나중에 추가된 관문은 다음과 같다.
역사적으로 가장 중요한 요새는 한구관으로, 황허강 남쪽 기슭을 따라 좁은 육로 통로의 요충지를 지휘했으며, 당시에는 화베이 평원에서 관중 지역으로 들어가는 유일한 통과 지점이었다. 한구관의 강력한 방어력은 전국 시대 동안 진나라가 동쪽의 적대국들이 형성한 수많은 반-진 연합을 격파할 수 있게 해주었다.[1]
2. 1. 기후
관중 분지의 연평균 기온은 약 13°C이며, 연간 강수량은 400mm에서 900mm 사이로, 평균 약 600mm이다. 일부 해에는 강수량이 적고 증발률이 높아 이 지역의 자연 식생은 숲과 스텝의 혼합 형태를 띤다.[1] 인간 정착으로 평원이 농업용으로 전환되기 전에는 다양한 종류의 야생 동물 서식지였다.[1]3. 역사
이후 항해술의 발달과 더불어 중국의 중심이 동쪽으로 옮겨 가면서, 명나라 말기에는 관중을 포함한 산시 일대가 이자성이 이끄는 반군 발생 거점이 될 정도까지 퇴색하였다. 그러나 지금도 중앙아시아의 관문으로서의 역할은 잃지 않았다.
3. 1. 고대
춘추 전국 시대 진나라의 중심지는 비옥한 토양과 우수한 관개 시설 덕분에 다른 나라들보다 우위에 설 수 있었고, 결국 중국을 통일하게 되었다. 주나라 때부터 이 지역은 한나라, 수나라, 당나라 등 12개 왕조의 수도였다. 당나라 때 중국의 경제 중심지가 남쪽 장강 유역으로 이동하면서 관중 지역은 점차 대운하를 통해 들어오는 물자에 의존했다. 당나라 말기 안사의 난과 황소의 난을 겪으면서 황폐해졌고, 주전충은 당나라를 멸망시킨 후 동쪽 개봉으로 도읍을 옮겼다.[2]
관중 지역은 주의 희(姬) 씨족 지도자 고공단보가 빈 (오늘날 산시성 빈저우)에서 흉노족, 선윤, 적 유목민들의 약탈을 피해 백성을 남쪽으로 옮기면서 주나라의 중심지가 되었다. 주나라는 관중 지역에서 번성하여 상나라를 정복하고 기원전 1046년에 주나라를 건국했다.
견융 유목민들이 신후와 협력하여 주 유왕을 살해하고 기원전 771년에 주나라의 수도 호경을 약탈한 후, 서주 왕조는 붕괴되었고 살아남은 주나라 조정은 동쪽 낙양으로 도망쳤다. 당시 영씨 가문은 롱시 분지를 기반으로 한 작은 변경 봉신으로서 중국 문명의 서쪽 경계에 있는 완충 국가였다. 그들은 주 평왕의 여정을 호위하기 위해 군대를 파견했다. 주 평왕은 이에 감사하여 영씨 가문의 지도자 양공에게 중간 수준의 귀족 지위를 부여하고, 그의 씨족이 유목민으로부터 되찾을 수 있는 모든 영토를 영구적으로 차지할 권한을 약속했다. 그 결과 진나라는 이후 몇 세기 동안 북쪽과 서쪽의 다양한 유목민과 싸웠고, 마침내 관중 평원과 황토 고원에 기반을 다졌다. 진나라의 수도는 이후 진이(오늘날 간쑤성 칭수이 현)에서 옹(오늘날 산시성 펑샹 현), 그리고 위수 건너 옛 주나라 수도의 폐허에서 북동쪽에 있는 함양으로 점차 동쪽으로 이전했다. 동쪽과 서쪽에서 오는 적대적인 공격으로부터 이 새로운 중심지를 방어하기 위해 네 개의 관문이 건설되었다.
전국 시대 동안 진나라는 상앙의 법가 개혁 하에서 강력해졌고 군사적으로 더욱 성공적이 되었다. 동쪽의 경쟁국들은 진나라 군대를 "호랑이와 늑대의 군대"라고 불렀으며 "관중은 장군을 낳고, 관동은 재상을 낳는다"라는 말이 자주 언급되었다. 정국거와 같은 관개 시설을 건설한 후, 이미 비옥했던 관중 지역은 매우 생산적이 되었고, 진나라는 주요 강대국이 되어 동쪽의 경쟁국들을 반복적으로 물리치고 더 많은 영토를 점령했으며, 결국 중국을 통일하고 기원전 221년에 진나라를 건국했다.
진 시황제의 죽음 이후, 진나라는 진 이세와 조고의 부패한 통치로 인해 곧 혼란에 빠졌고 다양한 반란이 일어났다. 기원전 206년, 반군 지도자 유방은 관중에 성공적으로 침입하여 마지막 진나라 통치자 자영에게 수도 함양을 항복하게 하여 진나라를 멸망시켰다. 유방은 평화롭게 수도에 입성하여 자신의 군대가 현지인들을 약탈하거나 해치는 것을 금지하는 엄격한 명령을 내렸다. 그러나 그는 더 강력한 또 다른 반군 지도자 항우에게 통제권을 넘겨주어야 했다. 항우는 함양을 약탈하고 불태운 후 관중 지역을 세 명의 항복한 진나라 장군 장한, 사마흔, 동예에게 봉토로 주었는데, 이들을 통틀어 "삼진"이라고 불렀다. 그러나 불과 4개월 후, 유방은 새로 임명된 대원수 한신과 함께 돌아와 관중 지역을 재정복했고, 그곳을 기지로 삼아 결국 그 이후의 내전에서 항우를 물리쳤다. 한나라를 건국한 후, 유방은 위수 건너편, 파괴된 진나라 수도 함양에서 가까운 곳에 장안이라는 새로운 수도를 건설했다.
3. 2. 수도의 중심지
춘추전국시대에 진나라의 중심지였던 이 분지는 비옥한 토양과 우수한 관개 시설 덕분에 진나라가 여러 나라들 중에서 우위에 설 수 있게 하였고, 결국 중국을 통일하는 기반이 되었다. 주나라 이래로 이 지역은 한나라, 수나라, 당나라 등 12개 왕조의 수도였다. 당나라 때 중국의 경제 중심지가 남쪽의 장강 유역으로 이동하면서 관중 지역은 점차 대운하를 통해 들어오는 물자에 의존하게 되었다. 당나라 말기 안사의 난과 황소의 난을 겪으면서 황폐해졌고, 주전충이 동쪽 개봉으로 도읍을 옮기면서 당나라는 멸망했다.[2]이후 항해술 발달과 함께 중국의 중심이 동쪽으로 이동하면서, 명나라 말기에는 관중을 포함한 산시 일대가 이자성이 이끄는 반군 발생 거점이 될 정도로 퇴색했다. 그러나 지금도 중앙아시아의 관문으로서의 역할은 잃지 않았다.
서주 시대 이후 이 지역은 진나라, 서한, 수나라, 당나라를 포함하여 총 12개 왕조의 수도 지역이었다. 당나라 시대에 이르러 중국의 경제 중심지는 남쪽 양쯔강 유역으로 이동했고, 관중은 대운하를 통해 운송되는 물품에 점점 더 의존하게 되었다. 당나라 말기에 장안이 파괴된 후, 관중은 후대 왕조에서 정치적으로나 경제적으로 덜 중요해졌다.[2]
3. 3. 쇠퇴와 현재
춘추전국시대에 진나라의 중심지였던 관중 분지는 비옥한 토양과 우수한 관개 시설 덕분에 진나라가 중국을 통일하는 기반이 되었다. 주나라 이래로 한나라, 수나라, 당나라 등 12개 왕조의 수도였으나, 당나라 때 중국의 경제 중심지가 장강 유역으로 이동하면서 관중 지역은 대운하를 통해 들어오는 물자에 의존하게 되었다. 당나라 말기 안사의 난과 황소의 난으로 황폐해졌고, 주전충이 동쪽 개봉으로 도읍을 옮기면서 쇠퇴하였다.[2]이후 항해술 발달과 함께 중국의 중심이 동쪽으로 이동하면서 명나라 말기에는 이자성 반군의 거점이 될 정도로 퇴색했다. 그러나 중앙아시아의 관문으로서의 역할은 여전히 유지하고 있다.
4. 요새
관중 지역을 둘러싼 주요 역사적 요새는 다음과 같다.
- 동쪽: 한구관 (현재의 링바오 시)
- 남동쪽: 우관 (현재의 단펑 현)
- 북서쪽: 샤오관 (현재의 닝샤 회족 자치구 징위안 현)
- 서쪽: 다산관 (현재의 천창 구)
이후 추가된 관문은 다음과 같다.
역사적으로 가장 중요한 요새는 한구관이었다. 한구관은 황허강 남쪽 기슭을 따라 좁은 육로 통로의 초크포인트를 통제했으며, 당시 화베이 평원에서 관중 지역으로 들어가는 유일한 길목이었다. 한구관의 강력한 방어력 덕분에 전국 시대 친나라는 동쪽의 적대국들이 결성한 수많은 반(反) 친 연합을 격파할 수 있었다.[1]
참조
[1]
간행물
Birds and Beasts Were Many: the Ecology and Climate of The Guanzhong Basin in the Pre-Imperial Period
2020
[2]
서적
中國歷史上的基本經濟區與水利事業的發展
中國社會科學出版社
1981
[3]
웹사이트
渭河平原
[4]
웹사이트
関中地区の農業用水制度の変遷と環境との関係
https://glim-re.repo[...]
2023-09-19
[5]
웹사이트
関中
[6]
서적
长安史迹研究
三秦出版社
2003-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