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대수염아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광대수염아과는 꿀풀과에 속하는 아과로, 12개의 족과 여러 속으로 분류된다. 곰포스템마족, 광대수염족, 레우카스족, 마루비움족, 물꼬리풀족, 석잠풀족, 속단아재비족, 시난드라족, 익모초족, 플로미스족 등으로 나뉘며, 각 족은 특정 지역에 분포하고 고유한 특징을 지닌다. 분류가 불확실한 속들도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03년 기재된 식물 - APG II 분류 체계
APG II 분류 체계는 속씨식물 계통분류군이 제안한 두 번째 식물 분류 체계로, 속씨식물을 목련군, 외떡잎식물군, 진정쌍떡잎식물군 등 주요 그룹으로 나누어 체계적으로 제시하며, 식물 분류학에 큰 영향을 미쳤다. - 2003년 기재된 식물 - 선부추
- 광대수염아과 - 익모초
익모초는 밭둑이나 길가에서 자라는 식물로, 동아시아와 북아메리카에 분포하며, 자주색 꽃이 피고 한방에서 지혈, 정혈, 부인병 치료에 사용된다. - 광대수염아과 - 물꼬리풀
물꼬리풀은 일본, 대한민국, 중국, 동남아시아에 분포하는 습생식물로 습지나 논에서 서식하며, 8~10월에 흰색 또는 연분홍색 꽃이 피고, 수족관에서 '옐로우 오란다 플랜트'로 유통되기도 한다.
광대수염아과 - [생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학명 | Lamioideae |
명명자 | Harley |
하위 분류 | 본문 참조 |
과학적 분류 | |
역 | 진핵생물역(Eukaryota) |
계 | 식물계(Plantae) |
미분류 (문) | 속씨식물군(Angiosperms) |
미분류 (강) | 진정쌍떡잎식물군(Eudicots) |
미분류 (목) | 국화군(Asterids) |
목 | 꿀풀목(Lamiales) |
과 | 꿀풀과(Lamiaceae) |
아과 | 광대수염아과(Lamioideae) |
모식속 | 광대수염속(Lamium L.) |
하위 분류 | |
속 | 개종용속 광대수염속 골무꽃속 그리스로마꽃향유속 나사꽃향유속 네페타속 댕댕이풀속 돌탑꽃속 레우코스케프트룸속 마르루비움속 방아풀속 병아리풀속 사일러스속 솔잎향속 수박향풀속 스텔리오돈타속 쉽사리속 쑥방망이속 아크멜라속 알렉트라속 애기탑꽃속 에레모스타키스속 오데온속 익소로필룸속 자주광대나물속 조개나물속 코르도놉시스속 크세로필리아속 키르타우키아속 탑꽃속 향유속 현삼아재비속 |
2. 하위 분류
꿀풀아과는 현재 12개의 족(tribe)과 여러 속(genus)으로 분류된다.[6][7][8][9][10][11][12][13][14][15]
족 | 분포 지역 | 주요 속 |
---|---|---|
곰포스템마족(Gomphostemmateae) | 아시아 | 곰포스템마속, Chelonopsis |
광대수염족(Lamieae) | 광대수염속, Eriophyton | |
레우카스족(Leucadeae) | 아프리카, 아시아 열대 및 아열대 | Acrotome, Isoleucas, Leonotis, 레우카스속, Otostegia, Rydingia |
마루비움족(Marrubieae) | 쉽싸리속, 마루비움속, Acanthoprasium, Moluccella, Pseudodictamnus | |
물꼬리풀족(Pogostemoneae) | 주로 아시아 (일부 약용/향료) | 물꼬리풀속, Achyrospermum, Anisomeles, Colebrookea, Comanthosphace, Craniotome, Eurysolen, Holocheila, Leucosceptrum, Microtoena, Rostrinucula |
석잠풀족(Stachydeae) | 전 세계 (한국: 석잠풀, 꿀풀) | 석잠풀속, Betonica, Chamaesphacos, Haplostachys, Hypogomphia, Melittis, Phlomidoschema, Phyllostegia, Prasium, Sideritis, Stenogyne, Suzukia, Thuspeinanta |
속단아재비족(Paraphlomideae) | 속단아재비속, Ajugoides, Matsumurella | |
시난드라족(Synandreae) | 북아메리카 | Brazoria, Macbridea, Physostegia, Synandra, Warnockia |
익모초족(Leonureae) | 유라시아 (한국: 익모초) | 익모초속, 흰꽃광대나물속, Chaiturus, Lagochilus, Loxocalyx, Panzerina |
플로미스족(Phlomideae) | 속단속, Phlomis | |
분류 불확실(incertae sedis) | ||
털향유속, Colquhounia, Garrettia, Metastachydium, Paralamium, Pseudomarrubium, Roylea |
2. 1. 곰포스템마족 (Gomphostemmateae)
곰포스템마족(Gomphostemmateae)은 꿀풀과에 속하는 한 족으로, 아시아 지역에 분포한다.[6]속 |
---|
Chelonopsis Miq.la |
Gomphostemma Wall.la ex Benth.la |
2. 2. 광대수염족 (Lamieae)
광대수염속( ''Lamium'' L.)[7]''Eriophyton'' Benth.[7]
2. 3. 레우카스족 (Leucadeae)
레우카스족[8]은 아프리카와 아시아의 열대 및 아열대 지역에 분포한다. 레우카스족에 속하는 속은 다음과 같다.- ''Acrotome'' Benth. ex Endl.
- ''Isoleucas'' O.Schwartz
- ''Leonotis'' (Pers.) R.Br.
- ''Leucas'' R.Br.
- ''Otostegia'' Benth.
- ''Rydingia'' Scheen & V.A.Albert
2. 4. 마루비움족 (Marrubieae)
- ''Acanthoprasium'' (Benth.) Spach
- 쉽싸리속(Ballota) L.
- 마루비움속(Marrubium) L.
- ''Moluccella'' L.
- ''Pseudodictamnus'' Fabr.[9]
2. 5. 물꼬리풀족 (Pogostemoneae)
물꼬리풀족에는 물꼬리풀속( ''Pogostemon'' Desf.), ''Achyrospermum'' Blume, ''Anisomeles'' R.Br., ''Colebrookea'' Sm., ''Comanthosphace'' S.Moore, ''Craniotome'' Rchb., ''Eurysolen'' Prain, ''Holocheila'' (Kudô) S.Chow, ''Leucosceptrum'' Sm., ''Microtoena'' Prain, ''Rostrinucula'' Kudô가 포함된다.[10] 이들은 주로 아시아에 분포하며, 일부 종은 약용 또는 향료로 사용된다.2. 6. 석잠풀족 (Stachydeae)
석잠풀족(Stachydeae)은 뒤모르티에가 명명한 족이다.[11] 전 세계적으로 널리 분포하며, 한국에는 석잠풀, 꿀풀 등이 자생한다. 주요 속은 다음과 같다.속 |
---|
석잠풀속( Stachys L.) |
Betonica L. |
Chamaesphacos Schrenk ex Fisch. & C.A.Mey. |
Haplostachys (A.Gray) Hillebr. |
Hypogomphia Bunge |
Melittis L. |
Phlomidoschema (Benth.) Vved. |
Phyllostegia Benth. |
Prasium L. |
Sideritis L. |
Stenogyne Benth. |
Suzukia Kudô |
Thuspeinanta T.Durand |
2. 7. 속단아재비족 (Paraphlomideae)
2. 8. 시난드라족 (Synandreae)
시난드라족(Synandreae Raf.[13])은 북아메리카에 주로 분포하며, 다음 속을 포함한다.- ''Brazoria'' Engelm. & A.Gray
- ''Macbridea'' Elliott ex Nutt.
- ''Physostegia'' Benth.
- ''Synandra'' Nutt.
- ''Warnockia'' M.W.Turner
2. 9. 익모초족 (Leonureae)
익모초속( ''Leonurus'' L.)[14], 흰꽃광대나물속( ''Lagopsis'' (Bunge ex Benth.) Bunge)[14], ''Chaiturus'' Ehrh. ex Willd.[14], ''Lagochilus'' Bunge ex Benth.[14], ''Loxocalyx'' Hemsl.[14], ''Panzerina'' Soják[14] 등이 이 족에 속한다. 유라시아 대륙에 널리 분포하며, 한국에는 익모초가 자생한다.2. 10. 플로미스족 (Phlomideae)
속단속 (''Phlomoides'' Moench)[15], ''Phlomis'' L.[15]2. 11. 분류 불확실 (incertae sedis)
꿀풀아과 내에서 아직 정확한 분류학적 위치가 밝혀지지 않은 속들은 다음과 같다.[6][7][8][9][10][11][12][13][14][15]- 털향유속(''Galeopsis'' L.)
- ''Colquhounia'' Wall.
- ''Garrettia'' H.R.Fletcher
- ''Metastachydium'' Airy Shaw ex C.Y.Wu & H.W.Li
- ''Paralamium'' Dunn
- ''Pseudomarrubium'' Popov
- ''Roylea'' Wall. ex Benth.
참조
[1]
웹사이트
Lamiaceae Genera
https://www.mobot.or[...]
Missouri Botanical Garden
2017
[2]
간행물
Kew Bulletin 58(3): 765
2003
[3]
논문
Molecular Phylogenetics, Character Evolution, and Suprageneric Classification of Lamioideae (Lamiaceae).
http://www.biodivers[...]
2010
[4]
웹사이트
Lamiaceae – Datenblatt bei World Checklist of Selected Plant Families des Board of Trustees of the Royal Botanic Gardens, Kew.
http://apps.kew.org/[...]
Board of Trustees of the Royal Botanic Gardens, Kew
2015-02-23
[5]
GRIN
[6]
간행물
Annals of the Missouri Botanical Garden 97(2): 216
2010
[7]
서적
Flore Descriptive et Analytique des Environs de Paris
1845
[8]
간행물
Annals of the Missouri Botanical Garden 97(2): 217
2010
[9]
서적
Flora Dalmatica 2: 214
1847
[10]
서적
Die Natürlichen Pflanzenfamilien 4(3a): 208
1895
[11]
서적
Florula belgica, opera majoris prodromus, auctore ... 44
1827
[12]
간행물
Taxon 60(2): 481
2011
[13]
서적
Flora Telluriana 3: 45
1837
[14]
서적
Florula belgica, opera majoris prodromus, auctore ... 46
1827
[15]
간행물
Annals of the Missouri Botanical Garden 97(2): 217
20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