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PG II 분류 체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APG II 분류 체계는 전 세계 전문가들이 참여하여 2003년에 발표된 속씨식물 분류 체계이다. APG I 분류 체계에 비해 5개의 목이 추가되었고, 45개의 목과 457개의 과를 인정했다. 속씨식물을 기저 속씨식물, 목련군, 외떡잎식물군, 진정쌍떡잎식물군으로 크게 분류하며, 진정쌍떡잎식물군은 핵심진정쌍떡잎식물군으로, 핵심진정쌍떡잎식물군은 장미군과 국화군으로 세분된다. APG II 분류 체계는 2009년 APG III 분류 체계로 대체되었지만, 여전히 학계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03년 기재된 식물 - 선부추
- 2003년 기재된 식물 - 광대수염아과
광대수염아과는 꿀풀과의 아과로, 12개의 족과 여러 속으로 분류되며, 각 족은 특정 지역에 분포하고 고유한 특징을 지닌다. - 2003년 과학 - 빅 립
빅 립은 팬텀 에너지가 주도하는 우주의 가속 팽창으로 인해 모든 물질이 붕괴되는 종말 시나리오로, 우주 팽창 속도 증가에 따라 상호작용이 불가능해지는 현상을 예측하며, 암흑 에너지 상태 방정식 매개변수 'w' 값에 따라 발생 시점이 결정되지만 현재 관측 데이터로는 불확실하다. - 2003년 과학 - 2003년 11월 23일 일식
2003년 11월 23일 일식은 남극에서 최초로 관측된 개기 일식으로, 다양한 주기와 관련 정보가 표로 제시되었다. - 식물분류학 - 장미군
장미군은 1830년 프리드리히 고틀리프 바르틀링이 발표한 식물 분류군에서 유래한 아강으로, APG IV 분류 체계에 따라 17개 목, 135개 과로 분류되며, 포도목과 진정장미군으로 나뉜다. - 식물분류학 - 학명
학명은 칼 폰 린네의 이명법에 따라 라틴어 또는 라틴어화된 단어로 속명과 종소명을 조합하여 생물 종을 나타내는 공식적인 이름으로, 전 세계적으로 통용되며 하나의 종을 명확하게 구분하는 데 사용된다.
APG II 분류 체계 | |
---|---|
APG II 분류 체계 | |
![]() | |
개요 | |
유형 | 식물 분류 체계 |
적용 범위 | 속씨식물 |
발표 시기 | 2003년 |
이전 체계 | APG 분류 체계 |
이후 체계 | APG III 분류 체계 |
주요 특징 | |
분류 기준 | 분자계통학적 데이터 기반 |
계급 | 목 (目) 수준에서 기술 |
분류군 | 핵심 진정쌍떡잎식물군 (core eudicots) 강조 기저 속씨식물군 (basal angiosperms) 분류 명확화 |
분류 상세 | |
속씨식물군 | 암보렐라과 (Amborellaceae) 수련과 (Nymphaeaceae) 아우스트로바일레야목 (Austrobaileyales) |
진정속씨식물군 | 센리ョウ과 (Chloranthaceae) |
목련군 | 카넬라목 (Canellales) 코쇼우목 (Piperales) 쿠스노키목 (Laurales) 모쿠렌목 (Magnoliales) |
외떡잎식물군 | 쇼우부목 (Acorales) 오모다카목 (Alismatales) 키지카쿠시목 (Asparagales) 야마노이모목 (Dioscoreales) 유리목 (Liliales) 타코노키목 (Pandanales) 다시포곤과 (Dasypogonaceae) 야자목 (Arecales) 이네목 (Poales) 츠유쿠사목 (Commelinales) 쇼우가목 (Zingiberales) |
진정쌍떡잎식물군 | 마츠모목 (Ceratophyllales) 킨포우게목 (Ranunculales) 아와부키과 (Sabiaceae) 야마모가시목 (Proteales) 트게과 (Buxaceae) 야마구루마과 (Trochodendraceae) 군네라목 (Gunnerales) 아엑스토키시콘과 (Aextoxicaceae) 베르베리돕시스과 (Berberidopsidaceae) 비와모도키과 (Dilleniaceae) |
핵심 진정쌍떡잎식물군 | 나데시코목 (Caryophyllales) 뱌쿠단목 (Santalales) 유키노시타목 (Saxifragales) 크롯소소마목 (Crossosomatales) 후우로소우목 (Geraniales) 후토모모목 (Myrtales) 니시키기목 (Celastrales) 킨토라노오목 (Malpighiales) 카타바미목 (Oxalidales) 마메목 (Fabales) 바라목 (Rosales) 우리목 (Cucurbitales) 부나목 (Fagales) 아브라나목 (Brassicales) 아오이목 (Malvales) 무쿠로지목 (Sapindales) 미즈키목 (Cornales) 츠츠지목 (Ericales) 가리아목 (Garryales) 린도우목 (Gentianales) 시소목 (Lamiales) 나스목 (Solanales) 모치노키목 (Aquifoliales) 세리목 (Apiales) 키쿠목 (Asterales) 마츠무시소우목 (Dipsacales) |
2. 역사
APG II 분류 체계는 전 세계 여러 기관의 계통학 전문가들이 참여하여 만들어졌다. 2003년 "속씨식물 계통분류군(APG)의 속씨식물 목 및 과에 대한 분류 체계 업데이트: APG II"라는 논문으로 발표되었다.[1] 1998년에 발표된 APG 분류 체계에 비해 오스트로베일리아목, 카넬라목, 군네라목, 노박덩굴목, 장미자목의 5개 목이 추가되었다. 이들은 APG 체계에서는 목으로 분류되지 않았지만, 상위 목 수준의 분류군에는 포함되어 있었다. APG II 체계는 APG 체계보다 5개 적은 457개의 과를 인정했다. APG II 분류 체계에서 39개의 과는 어떤 목에도 속하지 않았지만, 이 중 36개는 속씨식물 내 상위 목 수준의 분류군에 속했다. 55개의 과는 "괄호로 묶인 과"로 알려졌는데, 이들은 더 넓은 범위의 분류군으로 묶거나, 더 세분화된 과로 분류하는 것을 모두 허용했다.
APG II 분류 체계에서 속씨식물은 크게 기저 속씨식물, 목련군, 외떡잎식물군, 진정쌍떡잎식물군으로 나뉜다. 진정쌍떡잎식물군은 다시 핵심진정쌍떡잎식물군으로 분류되며, 핵심진정쌍떡잎식물군은 장미군과 국화군으로 나뉜다.[1]
APG II 체계는 학계에 큰 영향을 주었고, 여러 참고 문헌에서 전체 또는 부분적으로(때로는 수정하여) 채택되었다. 2009년 10월에 발표된 APG III 체계에 의해 대체되었으나, 여전히 학계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1]
3. 주요 분류군
3. 1. 기저 속씨식물 (Basal Angiosperms)
암보렐라과
홀아비꽃대과
수련과 [+ 어항마름과]
아우스트로바일레이아목
붕어마름목
3. 2. 목련군 (Magnoliids)
카넬라목, 녹나무목, 목련목, 후추목은 비교적 원시적인 형태의 속씨식물을 포함한다.
3. 3. 외떡잎식물군 (Monocots)
외떡잎식물군은 속씨식물에 속하며, 떡잎이 한 장인 식물군이다. 크게 닭의장풀군과 비닭의장풀군으로 나뉜다.- 페트로사비아과(Petrosaviaceae)
- 창포목(Acorales)
- 창포과(Acoraceae)
- 택사목(Alismatales)
- 택사과(Alismataceae)
- 포테모게톤과(Aponogetonaceae)
- 천남성과(Araceae) (구 개구리밥과)
- 지모과(Butomaceae)
- 거머리말과(Cymodoceaceae)
- 가래과(Hydrocharitaceae)
- 가래과(Juncaginaceae)
- 지채과(Limnocharitaceae)
- 거머리말과(Posidoniaceae)
- 가래과(Potamogetonaceae)
- 거머리말과(Ruppiaceae)
- 자라풀과(Scheuchzeriaceae)
- 외대으아리과(Tofieldiaceae)
- 거머리말과(Zosteraceae)
- 비짜루목(Asparagales)
- 파과(Alliaceae)
- 꽃무릇과(Agapanthaceae)
- 수선화과(Amaryllidaceae)
- 백합과(Asparagaceae)
- 용설란과(Agavaceae)
- 아필란테스과(Aphyllanthaceae)
- 헤스페로칼리스과(Hesperocallidaceae)
- 히아신스과(Hyacinthaceae)
- 락스마니아과(Laxmanniaceae)
- 백합과(Ruscaceae)
- 테미스과(Themidaceae)
- 아스테리아과(Asteliaceae)
- 브랜디포르디아과(Blandfordiaceae)
- 보리아과(Boryaceae)
- 도리안테스과(Doryanthaceae)
- 별꽃풀과(Hypoxidaceae)
- 붓꽃과(Iridaceae)
- 이키솔리리온과(Ixioliriaceae)
- 라나리아과(Lanariaceae)
- 난초과(Orchidaceae)
- 테코필라에과(Tecophilaeaceae)
- 아스포델루스과(Xanthorrhoeaceae)
- 수선과(Asphodelaceae) (구 백합과)
- 원추리과(Hemerocallidaceae)
- 크세로네마과(Xeronemataceae)
- 마목(Dioscoreales)
- 히나노샤쿠조우과(Burmanniaceae)
- 마과(Dioscoreaceae)
- 김해란과(Nartheciaceae)
- 백합목(Liliales)
- 알스트로메리아과(Alstroemeriaceae)
- 캄피네마과(Campynemataceae)
- 콜키쿰과(Colchicaceae)
- 코르시아과(Corsiaceae)
- 백합과(Liliaceae)
- 루주리아가과(Luzuriagaceae)
- 멜란티움과(Melanthiaceae)
- 필레시아과(Philesiaceae)
- 리피고눔과(Rhipogonaceae)
- 청미래덩굴과(Smilacaceae)
- 판다누스목(Pandanales)
- 파나마야자과(Cyclanthaceae)
- 파초과(Pandanaceae)
- 스테몬과(Stemonaceae)
- 홍고소과(Triuridaceae)
- 벨로지아과(Velloziaceae)
3. 3. 1. 닭의장풀군 (Commelinids)
외떡잎식물 중 비교적 나중에 분지된 분류군으로, 다시포곤과, 야자목(Arecales), 닭의장풀목(Commelinales), 벼목(Poales), 생강목(Zingiberales)을 포함한다.- 다시포곤과(Dasypogonaceae)
- 야자목(Arecales)
- * 야자나무과(Arecaceae)
- 닭의장풀목(Commelinales)
- * 닭의장풀과(Commelinaceae)
- * 헤모도로과(Haemodoraceae)
- * 항구아나과(Hanguanaceae)
- * 필리드라과(Philydraceae)
- * 물옥잠과(Pontederiaceae)
- 벼목(Poales)
- * 아나르트리아과(Anarthriaceae)
- * 파인애플과(Bromeliaceae)
- * 센트로레피스과(Centrolepidaceae)
- * 사초과(Cyperaceae)
- * 에크데이오콜레아과(Ecdeiocoleaceae)
- * 곡정초과(Eriocaulaceae)
- * 플라겔라리아과(Flagellariaceae)
- * 히다텔라과(Hydatellaceae)
- * 조인빌레아과(Joinvilleaceae)
- * 골풀과(Juncaceae)
- * 마야카과(Mayacaceae)
- * 벼과(Poaceae)
- * 라파테아과(Rapateaceae)
- * 레스티오과(Restionaceae)
- * 가래과(Sparganiaceae)
- * 투르니아과(Thurniaceae)
- * 부들과(Typhaceae)
- * 통발과(Xyridaceae)
- 생강목(Zingiberales)
- * 칸나과(Cannaceae)
- * 코스타과(Costaceae)
- * 헬리코니아과(Heliconiaceae)
- * 로이아과(Lowiaceae)
- * 마란타과(Marantaceae)
- * 파초과(Musaceae)
- * 극락조화과(Strelitziaceae)
- * 생강과(Zingiberaceae)
3. 4. 진정쌍떡잎식물군 (Eudicots)
진정쌍떡잎식물군은 떡잎이 두 장인 식물군으로, 대부분의 속씨식물이 여기에 속한다. 미나리아재비목, 프로테아목을 비롯한 다양한 식물을 포함한다.- 회양목과 (Buxaceae) [+ 디디멜레스과 (Didymelaceae)]
- 나도밤나무과 (Sabiaceae)
- 수레나무과 (Trochodendraceae) [+ 심장잎아재비과 (Tetracentraceae)]
- 프로테아목 (Proteales)
- 미나리아재비목 (Ranunculales)
3. 4. 1. 핵심진정쌍떡잎식물군 (Core Eudicots)
진정쌍떡잎식물군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핵심진정쌍떡잎식물군은 장미군과 국화군으로 나뉜다.- 올리빌로과 (Aextoxicaceae)
- 베르베리돕시스과 (Berberidopsidaceae)
- 딜레니아과 (Dilleniaceae)
- 군네라목 (Gunnerales)
- 군네라과 (Gunneraceae)
- 미로타무누스과 (Myrothamnaceae)
- 석죽목 (Caryophyllales)
- 아카토칼푸스과 (Achatocarpaceae)
- 하마미즈나과 (Aizoaceae)
- 비름과 (Amaranthaceae) (구 명아주과)
- 안키스트로클라두스과 (Ancistrocladaceae)
- 아스테로페이아과 (Asteropeiaceae)
- 바르베우이아과 (Barbeuiaceae)
- 덩굴무릇과 (Basellaceae)
- 선인장과 (Cactaceae)
- 석죽과 (Caryophyllaceae)
- 디디에레아과 (Didiereaceae)
- 디온코필룸과 (Dioncophyllaceae)
- 끈끈이주걱과 (Droseraceae)
- 드로소필룸과 (Drosophyllaceae)
- 프랑케니아과 (Frankeniaceae)
- 기세키아과 (Gisekiaceae)
- 할로피툼과 (Halophytaceae)
- 몰루기나과 (Molluginaceae)
- 네펜테스과 (Nepenthaceae)
- 밤꽃과 (Nyctaginaceae)
- 피세나과 (Physenaceae)
- 자리공과 (Phytolaccaceae)
- 통발과 (Plumbaginaceae)
- 마디풀과 (Polygonaceae)
- 쇠비름과 (Portulacaceae)
- 랍도덴드론과 (Rhabdodendraceae)
- 사르코바투스과 (Sarcobataceae)
- 호호바과 (Simmondsiaceae)
- 스테그노스페르마과 (Stegnospermataceae)
- 위성류과 (Tamaricaceae)
- 단향목 (Santalales)
- 올락스과 (Olacaceae)
- 오필리아과 (Opiliaceae)
- 겨우살이과 (Loranthaceae)
- 미소덴드론과 (Misodendraceae)
- 단향과 (Santalaceae)
- 범의귀목 (Saxifragales)
- 풍나무과 (Altingiaceae)
- 아파노페탈룸과 (Aphanopetalaceae)
- 낙엽송과 (Cercidiphyllaceae)
- 돌나물과 (Crassulaceae)
- 녹나무과 (Daphniphyllaceae)
- 까치밥나무과 (Grossulariaceae)
- 물부추과 (Haloragaceae)
- 택사과 (Penthoraceae)
- 테트라카르파에과 (Tetracarpaeaceae)
- 조록나무과 (Hamamelidaceae)
- 수국과 (Iteaceae)
- 프테로스테몬과 (Pterostemonaceae)
- 작약과 (Paeoniaceae)
- 범의귀과 (Saxifragaceae)
4. 상세 분류
APG II 분류 체계는 45개 목과 450여 개의 과를 인정한다. 일부 과는 다른 과와 통합되거나 분리될 수 있도록 선택적인 분류를 허용한다. ("+" 기호 사용)
- '''속씨식물'''
- ::: 암보렐라과 (Amborellaceae)
- ::: 홀아비꽃대과 (Chloranthaceae)
- ::: 수련과 (Nymphaeaceae) [+ 어항마름과 (Cabombaceae)]
- :: 아우스트로바일레이아목 (Austrobaileyales)
- :: 붕어마름목 (Ceratophyllales)
- : '''목련군'''
- ::: 카넬라목 (Canellales)
- ::: 녹나무목 (Laurales)
- ::: 목련목 (Magnoliales)
- ::: 후추목 (Piperales)
- : '''외떡잎식물'''
- :::: 페트로사비아과 (Petrosaviaceae)
- ::: 창포목 (Acorales)
- ::: 택사목 (Alismatales)
- ::: 비짜루목 (Asparagales)
- ::: 마목 (Dioscoreales)
- ::: 백합목 (Liliales)
- ::: 판다누스목 (Pandanales)
- :: '''닭의장풀군'''
- ::::: 다시포곤과 (Dasypogonaceae)
- :::: 종려목 (Arecales)
- :::: 닭의장풀목 (Commelinales)
- :::: 벼목 (Poales)
- :::: 생강목 (Zingiberales)
- : '''진정쌍떡잎식물'''
- :::: 회양목과 (Buxaceae) [+ 디디멜레스과 (Didymelaceae)]
- :::: 나도밤나무과 (Sabiaceae)
- :::: 수레나무과 (Trochodendraceae) [+ 심장잎아재비과 (Tetracentraceae)]
- ::: 프로테아목 (Proteales)
- ::: 미나리아재비목 (Ranunculales)
- :: '''핵심진정쌍떡잎식물'''
- ::::: 올리빌로과 (Aextoxicaceae)
- ::::: 베르베리돕시스과 (Berberidopsidaceae)
- ::::: 딜레니아과 (Dilleniaceae)
- :::: 군네라목 (Gunnerales)
- :::: 석죽목 (Caryophyllales)
- :::: 단향목 (Santalales)
- :::: 범의귀목 (Saxifragales)
- ::: '''장미군'''
- :::::: 아플로이아과 (Aphloiaceae)
- :::::: 게이솔로마과 (Geissolomataceae)
- :::::: 익서바과 (Ixerbaceae)
- :::::: 피크람니아과 (Picramniaceae)
- :::::: 스트라스부르게리아과 (Strasburgeriaceae)
- :::::: 포도과 (Vitaceae)
- ::::: 크로소소마목 (Crossosomatales)
- ::::: 쥐손이풀목 (Geraniales)
- ::::: 도금양목 (Myrtales)
- :::: '''진정장미군 I'''
- ::::::: 남가새과 (Zygophyllaceae) [+ 크라메리아과 (Krameriaceae)]
- ::::::: 후아과 (Huaceae)
- :::::: 노박덩굴목 (Celastrales)
- :::::: 박목 (Cucurbitales)
- :::::: 콩목 (Fabales)
- :::::: 참나무목 (Fagales)
- :::::: 말피기아목 (Malpighiales)
- :::::: 괭이밥목 (Oxalidales)
- :::::: 장미목 (Rosales)
- :::: '''진정장미군 II'''
- ::::::: 타피스키아과 (Tapisciaceae)
- :::::: 십자화목 (Brassicales)
- :::::: 아욱목 (Malvales)
- :::::: 무환자나무목 (Sapindales)
- ::: '''국화군'''
- ::::: 층층나무목 (Cornales)
- ::::: 진달래목 (Ericales)
- :::: '''진정국화군 I'''
- ::::::: 지치과 (Boraginaceae)
- ::::::: 이카키나과 (Icacinaceae)
- ::::::: 온코테카과 (Oncothecaceae)
- ::::::: 발리아과 (Vahliaceae)
- :::::: 가리아목 (Garryales)
- :::::: 용담목 (Gentianales)
- :::::: 꿀풀목 (Lamiales)
- :::::: 가지목 (Solanales)
- :::: '''진정국화군 II'''
- ::::::: 브루니아과 (Bruniaceae)
- ::::::: 콜루멜리아과 (Columelliaceae [+ 타이케과 (Desfontainiaceae)])
- ::::::: 에레모시네과 (Eremosynaceae)
- ::::::: 에스칼로니아과 (Escalloniaceae)
- ::::::: 파라크리피아과 (Paracryphiaceae)
- ::::::: 폴리오스마과 (Polyosmaceae)
- ::::::: 스페노스테몬과 (Sphenostemonaceae)
- ::::::: 트리벨레스과 (Tribelaceae)
- :::::: 미나리목 (Apiales)
- :::::: 감탕나무목 (Aquifoliales)
- :::::: 국화목 (Asterales)
- :::::: 산토끼꽃목 (Dipsacales)
참고: "+ ..." = 선택적으로 별개의 과로, 이전 과에서 분리될 수 있다.
5. 비판 및 한계
APG II 분류 체계는 분자계통학적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만들어졌지만, 몇 가지 비판과 한계점이 존재한다.
분자계통학 연구 결과에 따라 분류 체계가 자주 변경될 수 있다는 점이 한계로 지적된다. 또한, 일부 분류군 간의 관계는 아직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아 논란의 여지가 있다.
참조
[1]
간행물
An update of the Angiosperm Phylogeny Group classification for the orders and families of flowering plants: APG II.
http://onlinelibrary[...]
2003
[2]
간행물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