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광암항 (창원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광암항은 1991년 국가어항으로 지정되어 경상남도 창원시 진동면에 조성된 항구이다. 1993년 기본 시설 계획을 수립하고 태봉천 하구와 광암해수욕장 사이의 공유수면 매립지에 건설되었으며, 2009년 방파제, 물양장 등의 시설을 갖춘 어항 공사가 완료되었다. 주요 어종으로는 도다리, 붕장어, 전어 등이 있으며, 진동만은 대한민국 최대의 미더덕 생산지로, 매년 봄철 미더덕을 주제로 한 축제가 열린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창원시의 어항 - 시락항
    시락항은 어획물 하역 및 처리를 위한 물양장과 방파제를 갖춘 지방어항으로, 도다리, 숭어, 우럭, 광어, 전어, 고등어, 갈치 등 다양한 어종이 잡히는 인근 지역 어업 활동의 거점이다.
  • 창원시의 어항 - 원전항
    원전항은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합포구 구산면에 위치한 어항으로, 2000년 기본 시설 계획 수립 후 특정 좌표로 둘러싸인 수역과 구산면 심리 일대 토지로 구성된 육역을 포함하는 어항구역을 가진다.
  • 마산합포구 - 마산남부시외버스터미널
    마산남부시외버스터미널은 창원시 마산합포구에 위치하여 수도권, 영남권 주요 도시 및 경남 남해안, 내륙 지역을 연결하는 시외버스 노선과 마산 농어촌 지역을 잇는 농어촌버스 노선을 운영한다.
  • 마산합포구 - 마산고등학교
    마산고등학교는 1936년에 개교하여 여러 시설을 확충하고 다양한 분야의 인재를 배출했으며, 민주화 운동에 기여한 동문들을 많이 배출했다.
  • 대한민국의 국가어항 - 남당항 (홍성군)
    남당항은 충청남도 홍성군 서부면에 위치한 어항으로, 가을에는 대하 축제, 봄에는 새조개 축제가 열려 미식가들의 발길이 끊이지 않는다.
  • 대한민국의 국가어항 - 대변항
    대변항은 부산광역시 기장군에 위치한 어항으로, 기장 멸치의 본고장이며 멸치젓갈 생산과 미역 양식이 유명하고, 영화 친구의 촬영지이기도 하다.
광암항 (창원시) - [지명]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광암항
유형국가어항
주소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합포구 진동면 요장리
지정일1991년 1월 1일
관리청해양수산부 동해어업관리단
시설관리자창원시장

2. 연혁

광암항은 1991년 국가어항으로 지정되었고, 1993년 기본시설 계획 수립 후 태봉천 하구와 광암해수욕장 사이 공유수면 매립지에 조성되었다.[1] 2009년에는 방파제, 방파호안, 돌제방파제, 물양장 등을 갖춘 어항으로 공사가 완료되었다.[2]

2. 1. 국가어항 지정 및 개발

광암항은 1991년에 국가어항으로 지정되었으며, 1993년 기본시설에 대한 계획이 수립된 후 태봉천 하구와 광암해수욕장 사이의 공유수면 매립지에 조성되었다.[1] 2009년에는 방파제, 방파호안, 돌제방파제, 물양장 등을 갖춘 어항으로 공사가 완료되었다.[2]

2. 2. 어항 시설 확충

2009년에 방파제, 방파호안, 돌제방파제, 물양장 등 어항 시설 확충 공사가 완료되었다.[1]

3. 어항 구역

본 항의 어항 구역은 다음과 같다.[1][2]

구분내용
수역기존 매립지 동측 모서리 끝단에서 정남서(S45°W) 방향으로 450m 지점(해상)에서 직각으로 200m 지점(해상)을 연결하고, 이 지점에서 내측각 150°로 580m 지점(해상)에서 90°로 육지와 각각 연결하는 선을 따라 형성된 공유수면이다.
육역경상남도 마산시 진동면 요장리 233-40 외 13필지(상세 내역은 생략)


3. 1. 수역

기존 매립지 동측 모서리 끝단에서 정남서(S45°W) 방향으로 450m 지점(해상)에서 직각으로 200m 지점(해상)을 연결하고, 이 지점에서 내측각 150°로 580m 지점(해상)에서 90°로 육지와 각각 연결하는 선을 따라 형성된 공유수면이다.[1]

3. 2. 육역

경상남도 마산시 진동면 요장리 233-40 외 13필지를 포함한다.[2] (상세 내역은 생략)

4. 특색

광암항은 도다리, 붕장어, 전어, 꽁치, 대구, 물메기 등 다양한 어종이 잡히는 곳이며, 특히 진동만에서 생산되는 미더덕은 전국 생산량의 70%를 차지할 정도로 유명하다. 매년 봄철에는 '마산 진동 불꽃낙화·미더덕축제'가 열린다.[1]

4. 1. 주요 어종 및 어획물 유통

광암항의 주요 어종은 도다리, 붕장어, 전어, 꽁치, 대구, 물메기 등이다. 항 내에는 활어를 모두 취급하는 수협 위판장이 있어 어민들이 어획물을 출하하거나 판매하기가 용이하다.[1]

4. 2. 대한민국 최대 미더덕 생산지

광암항 앞 바다인 진동만은 대한민국 최대의 미더덕 생산지이다.[1] 전국 생산량의 약 70%가 진동만 일대에서 양식된다.[1] 맛이 독특하고 씹히는 소리와 함께 입안 가득히 퍼지는 향이 일품인 미더덕이 인기를 끌기 시작한 것은 마산에서 전국으로 퍼져나간 아귀찜에서다.[1] 그 이후로 미더덕의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하면서 1999년부터는 아예 양식품종으로 지정되어 합법적인 미더덕 양식이 시행되었다.[1]

5. 축제

2009년 4월 19일부터 이틀간 마산 진동 광암항 일원에서 '제5회 마산 진동 불꽃낙화·미더덕 축제'가 개최되었다.[3]

5. 1. 마산 진동 불꽃낙화·미더덕 축제

2009년 4월 19일부터 이틀간 마산 진동 광암항 일원에서 '제5회 마산 진동 불꽃낙화·미더덕 축제'가 개최되었다.[3]

참조

[1] 간행물 국가어항구역지형도면 농림수산식품부 2008-11-06
[2] 간행물 국가어항구역(육역) 농림수산식품부 2008-11-06
[3] 뉴스 마산 진동 불꽃낙화·미더덕축제 대성황 http://www.newsis.co[...] 뉴시스 2009-04-1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