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광자기 디스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광자기 디스크(MO)는 강한 레이저로 가열하여 자기 상태를 변화시키고 자력으로 기록하며, 약한 레이저로 편광 변화를 감지하여 데이터를 읽는 저장 매체이다. 자성 변조 방식과 광 변조 방식을 사용하며, 하드 디스크 형식과 슈퍼 플로피 형식의 논리적 포맷을 가진다. 3.5인치와 5.25인치 크기가 있으며, ISO 규격 MO 디스크는 플로피 디스크처럼 사용 가능하다. 일본에서 널리 보급되었으나, ZIP 드라이브, CD-R, 플래시 메모리 등에 밀려 쇠퇴했으며, 2010년대 이후 생산 및 판매가 중단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광자기 디스크 - 미니디스크
    1992년 소니에서 개발한 미니디스크는 콤팩트 카세트 대체용 디지털 오디오 시스템으로, CD와 유사한 사용성을 지향하며 다양한 데이터 저장이 가능했으나 MP3 플레이어 등장으로 쇠퇴, 이후 기술적 개선 시도에도 불구하고 2011년 소니에 의해 형식이 종식되었다.
  • 레거시 하드웨어 - 플로피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는 자기 정보를 저장하는 유연한 자기 디스크로 개인용 컴퓨터의 주요 저장매체였으나, 다른 저장매체의 등장으로 사용이 감소하여 현재는 레거시 기술로 여겨지지만 일부 시스템에서 사용되며 디자인은 소프트웨어 인터페이스의 "저장" 아이콘으로 이어지고 있다.
  • 레거시 하드웨어 - 직렬 포트
    직렬 포트는 컴퓨터와 주변 기기가 비트 단위로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전송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로, RS-232 표준을 통해 널리 사용되었으나 현재는 USB에 밀려 사용이 줄었지만 특정 분야에서 여전히 활용된다.
  • 광 디스크 - 레이저디스크
    레이저디스크는 1978년 MCA와 필립스가 공동 개발한 아날로그 광학 비디오 매체로, VHS보다 뛰어난 화질과 음질, 랜덤 액세스 기능을 제공했으나, DVD의 등장, 고가, 녹화 기능 부재로 시장에서 사라졌지만, 고화질 영상과 재생 제어 기능으로 비디오 애호가들에게 인기가 있고 아케이드 게임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되었다.
  • 광 디스크 - 콤팩트 디스크
    콤팩트 디스크(CD)는 1982년 소니와 필립스에 의해 상용화된 광학 디스크로, 오디오 및 데이터를 저장하며, 다양한 규격과 형태로 활용되었으나 디지털 음원 서비스의 확산으로 판매량이 감소했다.
광자기 디스크
개요
광자기 디스크의 예
광자기 디스크의 예
종류기록 매체
기록 방식자기 기록
상세 정보
개발IBM
첫 출시1983년
저장 용량128MB ~ 9.1GB (3.5인치)
읽기/쓰기 방식광자기 효과
사용 분야데이터 저장
오디오
비디오

2. 기록 및 읽기 방식

광자기 디스크는 강한 레이저로 기록 디스크의 특정 점을 가열하여 자기 상태를 변화시킨 후, 자력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기록한다. 기록면이 식으면 웬만한 자력으로는 기록 상태가 지워지지 않는다.[1]

읽을 때에는 약한 레이저를 사용하여 기록된 상태에 따라 반사되는 편광의 차이를 판독한다. 광자기 디스크에는 자성을 띤 기록층이 형성되어 있으며, 외부에서 전자석으로 기록용 자계를 가하여 매체를 자화시킨다는 점에서 자기 디스크와 유사하지만, 기록층이 상온에서는 거의 자화되지 않고, 이를 가열하여 자화시킨다는 특징이 있다.[1]

2. 1. 기록 방식

광자기 디스크의 기록 방식에는 자성 변조 방식(MFM 방식)과 광 변조 방식이 있다.
자성 변조 방식(MFM 방식)은 다음과 같은 순서로 데이터가 기록된다.[1]

1. 미디어의 자성층에 고출력 레이저 광을 조사하여 자성이 없어지는 온도(큐리 온도: ISO 규격의 MO에서는 150°C - 180°C) 이상으로 순간적으로 가열한다.

2. 레이저로 조사된 부분이 레이저 광에서 벗어나 자성을 기록·보존할 수 있는 온도까지 냉각되기 시작하는 시점에서 전자석에 의해 기록층과 수직 방향의 자계를 가한다.

3. 자성체가 충분히 냉각되어 자성이 완전히 유지된다.

이러한 반복을 통해 자성체에 N극과 S극의 자성이 기록된다. 읽을 때에는 쓸 때보다 출력이 약한 레이저를 조사하여, N극과 S극의 방향 차이에 따라 레이저의 편광면이 회전하는 현상(자기 광학 커 효과)을 감지하여 이를 0과 1의 데이터로 읽어들인다.[1]
광 변조 방식에서는 먼저 일정 자계·고출력 레이저 광으로 기록층의 자력을 한 방향으로 정렬하여 초기화(소거)하고, 이어서 가하는 자계를 반전시킨 다음, 기록하고 싶은 부분을 빛으로 가열하여 자기를 반전시켜 기록을 수행한다.[1]

2. 2. 읽기 방식

약한 레이저를 사용하여 기록된 상태에 따라 반사되는 편광의 차이를 판독한다. 자기 디스크와 유사하게 자성을 띤 기록층을 이용하지만, 기록층이 상온에서는 거의 자화되지 않고 가열해야 자화된다는 특징이 있다.

2. 3. 미디어의 논리 포맷

광자기 디스크 미디어의 논리적 포맷으로는 '''하드 디스크 형식'''과 '''슈퍼 플로피 형식''' 두 종류가 있다.

; 하드 디스크 형식

: MO를 하드 디스크처럼 포맷한 형식으로, 파티션 분할이 가능하다. PC/AT 호환기에서는 「FDISK 형식」, FMR 시리즈・FM TOWNS에서는 「후지쯔 형식」이라고 불리는 것이 사용된다. 그 외, PC-9800 시리즈, Macintosh, UNIX 등에도 독자적인 형식이 있다.

: 슈퍼 플로피 형식에 비해 미디어의 마운트・언마운트(꺼내기)에 제한을 받을 수 있다.

; 슈퍼 플로피 형식

: MO를 대용량 플로피 디스크처럼 포맷한 형식으로, 주로 Windows에서 이용된다. 「MS-DOS 포맷 완료」로 시판되는 MO는 이 슈퍼 플로피 형식이다. 파티션 분할은 불가능하다.

: IBM 형식과 세미 IBM 형식의 두 종류로 세분할 수 있다. MO에서의 IBM 형식은 플로피 디스크에서의 IBM 형식과는 무관하다.

3. 종류

다양한 종류의 광자기 디스크가 개발되었다.

=== ISO 규격 MO 디스크 ===

ISO 규격 MO 디스크는 탈착 가능한 저장 매체 (이동식 미디어)이다. 3.5인치, 5.25인치 및 8인치 미디어가 있으며, 플로피 디스크 2장 두께의 플라스틱 카트리지에 수납되어 있어 기록면이 지문이나 긁힘 등으로부터 보호된다.

장치 드라이버 없이[4] 플로피 디스크처럼 라이팅 소프트 없이 데이터 읽기 및 쓰기를 할 수 있다. 하위 호환성이 있어 구형 미디어(예: 128MB 미디어)를 최신 드라이브(예: 2.3GB 지원 드라이브)에서 이용할 수 있다. (반대는 용량 문제로 불가).

3.5인치 미디어는 2000년 이후 '''Media ID'''라는 저작권 보호 기능이 탑재된 미디어/드라이브가 순차적으로 발매되었다.[5]

DVD-RAM과 달리 MS-DOS 기본 설정으로 조각 모음이 가능하며, 빈번한 동기화 및 백업용 미디어로 적합하다.[6]

일반적으로 PC에 사용되는 3.5인치 미디어는 128MB (ISO/IEC 10090), 230MB (ISO/IEC 13963), 540MB (ISO/IEC 15041), 640MB (ISO/IEC 15041), 1.3GB (ISO/IEC 17346), 2.3GB (ISO/IEC 22533) 용량이 있다. GB급 용량은 "GIGAMO(기가모)"라고 불린다.[7] GIGAMO에는 오버라이트 미디어가 없다.

5.25인치 미디어는 3.5인치 미디어 보급 전에 발매되었으며, 원반 크기는 콤팩트 디스크와 거의 같다. 보통 DVD-RAM 카트리지와 거의 동일한 형태의 카트리지 케이스에 수납되지만, 사용 기기에 따라 케이스에 수납되지 않는 경우도 있다. 5.25인치 미디어에는 Write Once Read Many 타입이나 의료 전용 미디어도 있다. PC, 워크스테이션, 서버에서 사용되며 최대 9.1GB(양면) 용량이다.

MO는 시크가 불가능한 퀵 디스크와 달리 임의 접근이 가능하다. 3.5인치 640MB까지는 내주에서 액세스를 시작하지만, GIGAMO는 외주에서 액세스한다. 5.25인치 미디어는 디스크 양면에 기록한다.

==== 기록 방식 ====

광자기 변조 방식을 채용하며, 트랙은 플로피 디스크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의 동심원과 달리 나선형이다. 3.5인치 MO는 여러 기술을 도입하여 대용량화를 이루어왔다.

용량기록 방식기타
128 MB마크 포지션 기록, CAV, 512바이트/섹터, 그루브 기록
230 MBZCAV
640 MB마크 엣지 기록, 2048바이트/섹터
1.3 GBMSR
2.3 GBMSR과 랜드&그루브 기록



MSR은 자기 초해상도(Magnetically induced Super Resolution영어[8])로, 프론트 마스크와 리어 마스크를 통해 레이저 빔 스폿(조사 면적)을 좁혀 기록 밀도, 읽기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소재가 섭씨 150도가 되었을 때만 기록층의 자기를 재생층으로 전사하는 중간층을 마련하여 읽기 정확도를 높였다. 그러나 이 읽기 방식의 특성상, 기존보다 읽기용 레이저의 출력이 약 7배로 높아져 결과적으로 재기록 횟수를 격감시켰다.

==== 데이터 전송 방법 ====

초기 MO 디스크는 디스크 1회전에 자성층 데이터 소거(포맷), 자성층 데이터 기록(쓰기), 자성층에 기록된 데이터 검증(베리파이)의 3단계를 거쳤기 때문에 헤드와 MO 간의 물리적인 데이터 전송 속도가 느렸다.

크기가 큰 5.25인치 타입에서는 여러 개의 레이저를 조사하여 여러 단계를 동시에 수행하여 물리적인 데이터 전송 속도를 높인 드라이브도 있었다.

현재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물리적인 기록 속도를 향상시키는 동시에, MO 드라이브에 탑재되는 캐시 메모리의 대용량화와 캐시 컨트롤러의 개선을 통해 데이터 전송의 개선도 도모하고 있다.


  • 「소거」와 「기록」을 1회전 중의 단계에서 수행하는 기술(다이렉트 오버라이트. 대응하는 드라이브와 미디어를 조합하여 사용한 경우에만 유효)
  • 디스크 회전 속도 향상(1996년 말 최대 3,600 rpm → 2005년 말 최대 6,750 rpm)
  • 디스크 데이터 밀도 향상


==== 내구성 ====

MO는 다음과 같은 요인들 덕분에 내구성이 매우 뛰어나다.

  • 카트리지에 보관되어 긁힘이나 먼지로 인한 손상이 적다.
  • 디스크 양면을 덮는 두꺼운 폴리카보네이트 보호층이 있어 긁힘에 강하다.
  • 기록 시 사용하는 레이저 출력이 CDDVD보다 약해 디스크 손상이 적다.
  • 가열하지 않으면 자기 영향을 받지 않아 자석을 가까이 해도 손상되지 않는다.
  • CD-R이나 DVD-R과 달리 자외선에 의한 열화가 거의 없다.
  • 플로피 디스크와 달리 헤드가 직접 닿지 않아 디스크나 헤드 마모가 없다.


이러한 장점들로 인해 MO는 다른 미디어의 약점을 겪지 않아 꾸준한 지지를 받는다.

하지만 드라이브 구조상 레이저 경로에 프리즘을 사용하기 때문에 흡연 장소나 먼지가 많은 곳에서 사용하면 쓰기/읽기 오류가 발생해 고장날 수 있다. 분해 청소로 회복 가능하지만 숙련이 필요하다. 또한 고온에서 사용하면 디스크 냉각이 늦어져 쓰기 속도가 느려진다.[9]

드라이브 자체 내구성은 10만 시간이다. 각 미디어 제조사의 가속 열화 시험에 따르면 데이터 보존 수명은 50~100년으로 추정된다. 현재도 MO만큼 내구성이 좋은 미디어는 드물어, 전문가용 수요가 꾸준하다. MO의 재기록 횟수는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를 넘는 1,000만 회(GIGAMO는 100만 회 이상)이다.

=== 미니디스크 (MD) ===

MD는 음성 녹음용과 데이터 기록용 광자기 디스크로 나뉜다.

Hi-MD는 MD의 상위 호환 미디어로, MD와 같은 크기로 1GB의 용량을 실현하고 있다. 자기벽 이동 검출 방식(DWDD)을 채용하고 있다.

=== 기타 ===

  • '''방송 업무용'''

방송 업무용 광자기 디스크
규격연도기록 방식용량 및 전송 속도비고
30cm 양면 아날로그 기록 매체1992년NTSC 또는 PAL 아날로그 영상 신호 기록--
20cm 단면 디지털 기록 매체1989년D2 호환 NTSC 컴포지트 영상 신호 기록1.8GB / 96Mbps-
30cm 양면 디지털 기록 매체1995년D2 호환 NTSC 컴포지트 영상 신호 기록23GB / 96Mbps-


  • '''HS''' (Hyper Storage): 1995년 소니가 개발한 광자기 디스크이다. 3.5인치 플로피 디스크와 거의 같은 크기의 카트리지에 담겨 있으며, 용량은 약 650MB이다. 히타치 제작소3M이 개발에 협력했다.[10]
  • '''AS-MO''' (Advanced Storage Magneto Optical): 5인치 광자기 디스크로, 샤프를 포함한 16개 회사에서 개발되었다. 직경 120mm의 단면 디스크로 6GB의 대용량 기록을 실현했다.[11] 1998년 4월에 규격이 제정되었지만,[12] 제품화되지는 않았다.[13]
  • '''iD PHOTO''': AS-MO 기술을 응용하여[14] 산요 전기, 올림푸스, 히타치 맥셀 3사가 1999년에 개발했다. 2인치(5cm) 크기에 730MB 용량을 가진다.
  • '''2인치 MO''': 샤프소니가 2000년 3월에 발표했다.[15][16]
  • '''차세대 광자기 기록''': 1990년대 후반부터 하드 디스크의 기록 밀도 한계가 문제시되면서, 고속 읽기/쓰기, 고기록 밀도의 광자기 디스크가 연구되고 있다.
  • 자구 확대 재생 기술(MAMMOS)
  • DWDD
  • 광 스위칭 자석을 사용한 기록 방식 (2013년 11월 25일 발표): 제곱인치당 30GB 기록 가능

3. 1. ISO 규격 MO 디스크

ISO 규격 MO 디스크는 탈착 가능한 저장 매체(이동식 미디어)이다. 3.5인치, 5.25인치 및 8인치 미디어가 있으며, 플로피 디스크 2장 두께의 플라스틱 카트리지에 수납되어 있어 기록면이 지문이나 긁힘 등으로부터 보호된다.

장치 드라이버 없이[4] 플로피 디스크처럼 라이팅 소프트 없이 데이터 읽기 및 쓰기를 할 수 있다. 하위 호환성이 있어 구형 미디어(예: 128MB 미디어)를 최신 드라이브(예: 2.3GB 지원 드라이브)에서 이용할 수 있다. (반대는 용량 문제로 불가).

3.5인치 미디어는 2000년 이후 '''Media ID'''라는 저작권 보호 기능이 탑재된 미디어/드라이브가 순차적으로 발매되었다.[5]

DVD-RAM과 달리 MS-DOS 기본 설정으로 조각 모음이 가능하며, 빈번한 동기화 및 백업용 미디어로 적합하다.[6]

일반적으로 PC에 사용되는 3.5인치 미디어는 128MB (ISO/IEC 10090), 230MB (ISO/IEC 13963), 540MB (ISO/IEC 15041), 640MB (ISO/IEC 15041), 1.3GB (ISO/IEC 17346), 2.3GB (ISO/IEC 22533) 용량이 있다. GB급 용량은 "GIGAMO(기가모)"라고 불린다.[7] GIGAMO에는 오버라이트 미디어가 없다.

5.25인치 미디어는 3.5인치 미디어 보급 전에 발매되었으며, 원반 크기는 콤팩트 디스크와 거의 같다. 보통 DVD-RAM 카트리지와 거의 동일한 형태의 카트리지 케이스에 수납되지만, 사용 기기에 따라 케이스에 수납되지 않는 경우도 있다. 5.25인치 미디어에는 Write Once Read Many 타입이나 의료 전용 미디어도 있다. PC, 워크스테이션, 서버에서 사용되며 최대 9.1GB(양면) 용량이다.

MO는 시크가 불가능한 퀵 디스크와 달리 임의 접근이 가능하다. 3.5인치 640MB까지는 내주에서 액세스를 시작하지만, GIGAMO는 외주에서 액세스한다. 5.25인치 미디어는 디스크 양면에 기록한다.

3. 1. 1. 기록 방식

광자기 변조 방식을 채용하며, 트랙은 플로피 디스크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의 동심원과 달리 나선형이다. 3.5인치 MO는 여러 기술을 도입하여 대용량화를 이루어왔다.

용량기록 방식기타
128 MB마크 포지션 기록, CAV, 512바이트/섹터, 그루브 기록
230 MBZCAV
640 MB마크 엣지 기록, 2048바이트/섹터
1.3 GBMSR
2.3 GBMSR과 랜드&그루브 기록



MSR은 자기 초해상도(Magnetically induced Super Resolution영어[8])로, 프론트 마스크와 리어 마스크를 통해 레이저 빔 스폿(조사 면적)을 좁혀 기록 밀도, 읽기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소재가 섭씨 150도가 되었을 때만 기록층의 자기를 재생층으로 전사하는 중간층을 마련하여 읽기 정확도를 높였다. 그러나 이 읽기 방식의 특성상, 기존보다 읽기용 레이저의 출력이 약 7배로 높아져 결과적으로 재기록 횟수를 격감시켰다.

3. 1. 2. 데이터 전송 방법

초기 MO 디스크는 디스크 1회전에 자성층 데이터 소거(포맷), 자성층 데이터 기록(쓰기), 자성층에 기록된 데이터 검증(베리파이)의 3단계를 거쳤기 때문에 헤드와 MO 간의 물리적인 데이터 전송 속도가 느렸다.

크기가 큰 5.25인치 타입에서는 여러 개의 레이저를 조사하여 여러 단계를 동시에 수행하여 물리적인 데이터 전송 속도를 높인 드라이브도 있었다.

현재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물리적인 기록 속도를 향상시키는 동시에, MO 드라이브에 탑재되는 캐시 메모리의 대용량화와 캐시 컨트롤러의 개선을 통해 데이터 전송의 개선도 도모하고 있다.

  • 「소거」와 「기록」을 1회전 중의 단계에서 수행하는 기술(다이렉트 오버라이트. 대응하는 드라이브와 미디어를 조합하여 사용한 경우에만 유효)
  • 디스크 회전 속도 향상(1996년 말 최대 3,600 rpm → 2005년 말 최대 6,750 rpm)
  • 디스크 데이터 밀도 향상

3. 1. 3. 내구성

MO는 다음과 같은 요인들 덕분에 내구성이 매우 뛰어나다.

  • 카트리지에 보관되어 긁힘이나 먼지로 인한 손상이 적다.
  • 디스크 양면을 덮는 두꺼운 폴리카보네이트 보호층이 있어 긁힘에 강하다.
  • 기록 시 사용하는 레이저 출력이 CDDVD보다 약해 디스크 손상이 적다.
  • 가열하지 않으면 자기 영향을 받지 않아 자석을 가까이 해도 손상되지 않는다.
  • CD-R이나 DVD-R과 달리 자외선에 의한 열화가 거의 없다.
  • 플로피 디스크와 달리 헤드가 직접 닿지 않아 디스크나 헤드 마모가 없다.


이러한 장점들로 인해 MO는 다른 미디어의 약점을 겪지 않아 꾸준한 지지를 받는다.

하지만 드라이브 구조상 레이저 경로에 프리즘을 사용하기 때문에 흡연 장소나 먼지가 많은 곳에서 사용하면 쓰기/읽기 오류가 발생해 고장날 수 있다. 분해 청소로 회복 가능하지만 숙련이 필요하다. 또한 고온에서 사용하면 디스크 냉각이 늦어져 쓰기 속도가 느려진다.[9]

드라이브 자체 내구성은 10만 시간이다. 각 미디어 제조사의 가속 열화 시험에 따르면 데이터 보존 수명은 50~100년으로 추정된다. 현재도 MO만큼 내구성이 좋은 미디어는 드물어, 전문가용 수요가 꾸준하다. MO의 재기록 횟수는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를 넘는 1,000만 회(GIGAMO는 100만 회 이상)이다.

3. 2. 미니디스크 (MD)

음성 녹음용과 데이터 기록용 광자기 디스크가 있다.

Hi-MD는 MD의 상위 호환 미디어로, MD와 같은 크기로 1GB의 용량을 실현하고 있다. 자기벽 이동 검출 방식(DWDD: Domain Wall Displacement Detection)을 채용하고 있다.

3. 3. 기타


  • '''방송 업무용'''

방송 업무용 광자기 디스크
규격연도기록 방식용량 및 전송 속도비고
30cm 양면 아날로그 기록 매체1992년NTSC 또는 PAL 아날로그 영상 신호 기록--
20cm 단면 디지털 기록 매체1989년D2 호환 NTSC 컴포지트 영상 신호 기록1.8GB / 96Mbps-
30cm 양면 디지털 기록 매체1995년D2 호환 NTSC 컴포지트 영상 신호 기록23GB / 96Mbps-


  • '''HS''' (Hyper Storage): 1995년 소니가 개발한 광자기 디스크이다. 3.5인치 플로피 디스크와 거의 같은 크기의 카트리지에 담겨 있으며, 용량은 약 650MB이다. 히타치 제작소3M이 개발에 협력했다.[10]
  • '''AS-MO''' (Advanced Storage Magneto Optical): 5인치 광자기 디스크로, 샤프를 포함한 16개 회사에서 개발되었다. 직경 120mm의 단면 디스크로 6GB의 대용량 기록을 실현했다.[11] 1998년 4월에 규격이 제정되었지만,[12] 제품화되지는 않았다.[13]
  • '''iD PHOTO''': AS-MO 기술을 응용하여[14] 산요 전기, 올림푸스, 히타치 맥셀 3사가 1999년에 개발했다. 2인치(5cm) 크기에 730MB 용량을 가진다.
  • '''2인치 MO''': 샤프소니가 2000년 3월에 발표했다.[15][16]
  • '''차세대 광자기 기록''': 1990년대 후반부터 하드 디스크의 기록 밀도 한계가 문제시되면서, 고속 읽기/쓰기, 고기록 밀도의 광자기 디스크가 연구되고 있다.
  • 자구 확대 재생 기술(MAMMOS: Magnetic AMplifying Magneto-Optical System)
  • DWDD
  • 광 스위칭 자석을 사용한 기록 방식 (2013년 11월 25일 발표): 제곱인치당 30GB 기록 가능

4. 보급과 쇠퇴

MO는 일본에서 널리 보급되었으나, 세계적으로는 ZIP 드라이브, CD-R, 플래시 메모리 등에 밀려 보급이 미미했다.

4. 1. 해외

1990년대에는 드라이브 단가가 저렴한 ZIP 드라이브가 세계적으로 보급되면서 광자기 디스크(MO)는 다른 이동식 매체와 함께 그 영향을 받아 보급이 미미했다. MO 드라이브는 일종의 자기 디스크와 광 디스크 양쪽의 기구를 내장하고 있기 때문에 고비용이 들었다. 게다가 주류였던 3.5인치는 2000년대 이전의 기술로는 플로피 디스크 드라이브 베이 크기에 맞추기 위해 구조적으로 무리가 있었고, 드라이브의 신뢰성이 디스크의 신뢰성에 미치지 못했다. 5.25인치 미디어는 견고성이 우선시되어 이동식 매체로서는 너무 무겁고 컸기 때문에 업무용 외에는 보급되지 않았다. 1990년대 후반부터 CD-R이 저렴하게 유통되기 시작했고, 더 나아가 플래시 메모리의 대용량·저가격화에 따른 보급도 진행되면서 MO는 존재감이 없는 (혹은 그 이하의) 존재로 남아있다.

4. 2. 일본

초창기부터 기업이나 관공서를 중심으로 등장 시점부터 데이터의 저장·운반용으로 널리 보급되었으며, 데스크톱 퍼블리싱이나 디자인·인쇄·출판 분야에서는 미디어 신뢰성의 높이와 용량에 대한 가성비가 좋아 널리 사용되었다. 특히 PC-9800 시리즈에서는 장치 드라이버를 필요로 하지 않고 SCSI 연결된 MO로부터의 부팅도 가능했기 때문에, Windows의 보급 초기에 널리 유통되었다 (PC/AT 호환기종에서는 장치 드라이버가 필요했다). Windows 95까지는 HDD가 없는 시스템도 구축 가능했다. 1990년대에는 Zip 드라이브의 보급에 밀리는 경향도 있었지만, Zip 드라이브가 쇠퇴하기 시작하면서 한때 기세를 되찾기도 했다. 그러나 PC 자체가 AT 호환 기종으로의 이행으로, 시스템이 표준 지원하지 않는 SCSI 연결에서 ATAPI 등으로의 이행에 늦어진 것으로 인해, 대신 CD-RWDVD 드라이브가 컴퓨터에 표준 탑재되는 것이 급증하면서, 시장 트렌드에서 탈락하는 원인이 되었다. 나중에는 더욱 소형화되고 고속인 플래시 메모리 (주로 USB 메모리)가 저렴하게 유통되면서 쇠퇴의 길을 걸었다. 후지쯔에서 CD-ROM·MO를 모두 사용할 수 있는 콤보 드라이브가 개발·시작되었지만, 시장 판매에는 이르지 못했다. MO는 드라이브의 소형화나 인터페이스에 USB 버스 파워 타입을 채용한 제품이 등장하면서, 신뢰성·장기 보존성이 뛰어난 미디어로 재평가하는 움직임도 있었지만, 대용량화에서 DVD나 BD, DDS, 플래시 메모리에 뒤처진 점도 있어, 수요는 늘지 않았다. 관련 기업에 의해 1999년 결성된 "MO 포럼"[17]도 2009년부터 휴면, 2010년에 해산[18]했다.

5. 생산 및 판매 중단

MO디스크 드라이브 및 기록 매체의 생산과 판매는 모두 종료되었다. 올림푸스2005년에 생산을 중단하고 2006년 3월에 MO 사업에서 완전히 철수했다. 코니카 미놀타2010년 9월에 판매를 종료했고, 후지쯔2012년 3월 30일을 기점으로 모든 지원을 종료했으며[19], 버팔로도 생산을 종료했다. 로지텍2013년 6월 하순에 출시한 "LMO-FC654U2"[20]를 마지막 모델로 생산을 중단했다.

히타치 맥셀은 2009년 9월 말에, 미쓰비시 화학 미디어는 2009년 12월 말에 MO 디스크 판매를 종료했다[21].아이・오 데이터 기기도 판매를 종료했고, 소니는 3.5인치 MO는 2017년 6월, 5.25인치 MO는 2018년 2월을 마지막으로 현행품 목록에서 제외되었다[22][23].

라디오 방송 업무용으로는 신뢰성, 내구성, 사용 편의성 면에서 2000년대 중반 이후 MO를 적극적으로 채용했다. 소니의 3.5인치 규격 준수 업무용 MO "'''Pro-MO'''(프로모)"가 널리 채용되었으나[24], 2015년 7월 이후 2020년까지 생산이 종료[25]되면서 각 방송국에서는 사용을 중단하는 추세이다.

참조

[1] 웹사이트 3.5-inch magneto-optical disc (1991 – 2000s) https://obsoletemedi[...] 2019-02-20
[2] 간행물 CD-ROM調査研究報告書 https://www.jipdec.o[...] データベース振興センター 1989
[3] 웹사이트 IBM100 - The Invention of the Rewritable Magneto-Optical Disk http://www-03.ibm.co[...] 2019-02-20
[4] 문서 一部の[[オペレーティングシステム]] (OS) で[[ユニバーサル・シリアル・バス|USB]]接続タイプのMOドライブを使う場合、また540MB迄の容量と640MB以上のメディアを一セッションで混用する場合にトラブルが生じて再起動が必要となる事例など、ドライバの導入が必要とされる場合もある。それでもドライバ不要の場面が多いことは、トラブル時の障害切り分けやデータを外部に書き出せる媒体として有用である。
[5] 간행물 デジタルコンテンツの著作権保護を行う 3.5型MOの「メディアID」機能を推進することで合意 https://pr.fujitsu.c[...] 富士通 2021-09-18
[6] 문서 フラグメントを解消できないDVD-RAMの場合、読み書き速度は時間を経るにつれて多大な時間を要すようになる。
[7] 간행물 富士通とソニーが、1.3GBの3.5型光磁気ディスクシステムを共同開発 https://www.sony.co.[...] ソニー 2021-09-18
[8] 웹사이트 外部磁界不要の磁気超解像 (<特集>磁気光学・光磁気記録) https://dl.ndl.go.jp[...] 日本応用磁気学会 2022-02-06
[9] Wayback 可児市の投票システム障害、原因はMOドライブの異常発熱 - ニュース - nikkei BPnet http://www.nikkeibp.[...] 2014-07-07
[10] 간행물 3.5インチで容量650メガバイト 大容量光磁気ディスク“HS”ディスクユニット 発売 ---個人のコンピューター環境を可搬メディアで実現する高性能--- https://www.sony.co.[...] ソニー 2021-09-18
[11] 논문 AS-MOフォーマット https://dl.ndl.go.jp[...] シャープ 1998-12
[12] 웹사이트 ASTCとは https://www.sophia-i[...] IT用語辞典バイナリ 2021-01-26
[13] 웹사이트 ASMOとは https://kotobank.jp/[...] コトバンク 2021-01-26
[14] 논문 画像情報記録 映像情報メディア学会 2000
[15] 웹사이트 Sony Japan プレスリリース シャープとソニー、小型高密度光磁気ディスクを共同開発 https://www.sony.co.[...] ソニー 2020-09-16
[16] 웹사이트 シャープとソニー、2インチMOの新規格を共同開発 https://pc.watch.imp[...] PC Watch 2020-09-16
[17] 웹사이트 MOフォーラム設立 https://pr.fujitsu.c[...] 富士通 2021-02-13
[18] Wayback MOフォーラム http://www.mo-forum.[...] 2010-04-06
[19] 웹사이트 MO(光磁気ディスク) https://www.fmworld.[...] 富士通 2021-02-13
[20] 웹사이트 プレスリリース - MOを利用中の方に。Windows8、Mac OS Xでも使えるMOドライブ「LMO-FC654U2」新発売! https://logitec.co.j[...] ロジテック 2021-02-13
[21] 웹사이트 MOディスク販売、三菱化学メディアと日立マクセルが終了へ ソニーは継続 https://www.itmedia.[...] ITmedia NEWS 2021-02-13
[22] Wayback 商品一覧 記録メディア http://www.sony.jp/r[...] 2017-06-11
[23] Wayback 商品一覧 記録メディア http://www.sony.jp/r[...] 2018-02-15
[24] 웹사이트 Sony ProMedia http://www.sony.jp/p[...] ソニー 2021-02-13
[25] Wayback Sony Promedia https://www.sony.jp/[...] 2015-07-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