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니디스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미니디스크는 소니가 1992년 출시한 디지털 오디오 포맷으로, 컴팩트 카세트를 대체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자기 광학 디스크를 사용하며, CD보다 작고 휴대성이 뛰어나며, 트랙 편집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었다. 1990년대 후반부터 2000년대 초반까지 일본, 아시아 일부, 유럽에서 인기를 얻었으나, CD-R의 가격 하락, MP3 플레이어의 등장으로 인해 쇠퇴했다. 소니는 2011년 미니디스크 워크맨 제품의 출하를 중단하며 사실상 이 형식을 종식시켰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92년 도입된 제품 - 오징어짬뽕
오징어짬뽕은 농심에서 1992년 출시된 라면으로, 컵라면, 큰사발 버전 출시와 리뉴얼을 거쳐 2017년 구운 오징어 추가 및 면발을 굵게 하여 맛과 식감을 개선하였다. - 1992년 도입된 제품 - 크리스탈 펩시
크리스탈 펩시는 펩시코에서 1992년에 출시한 투명한 콜라 음료로, 일반 콜라의 캐러멜 색소 대신 변성 전분을 사용하여 투명한 외관을 구현하고 무카페인이라는 점을 강조하여 마케팅되었으나, 출시 초기 시장 점유율을 기록했음에도 불구하고 1993년 말 단종되었다가 소비자 요청에 따라 2016년 한정판으로 재출시되었다. - 소니 제품 - 워크맨
워크맨은 1979년 소니가 출시한 휴대용 스테레오 카세트 플레이어이며, 청소년 시장을 겨냥한 마케팅으로 헤드폰 문화를 만들었고, 카세트 테이프, CD 등 다양한 미디어를 지원하며 진화하다가 MP3 플레이어 등장으로 쇠퇴하여 현재는 디지털 오디오 플레이어 브랜드로 이어지고 있다. - 소니 제품 - 트리니트론
트리니트론은 소니가 개발한 컬러 브라운관 방식으로, 단일 전자총과 어퍼처 그릴을 사용하여 높은 해상도와 밝은 화면을 구현했지만, LCD와 PDP 기술의 발전으로 생산이 중단되었다.
미니디스크 | |
---|---|
기본 정보 | |
![]() | |
종류 | 광자기 디스크 |
인코딩 | ATRAC |
용량 | 60, 74, 80분 |
읽기 | 780 nm 반도체 레이저 다이오드 |
쓰기 | 자기장 변조 |
소유 | 소니 |
용도 | 오디오 저장 |
출시 | 1992년 11월 |
단종 | 2013년 3월 |
확장 | 콤팩트 카세트, 콤팩트 디스크 |
확장 대상 | MD 데이터, Hi-MD |
2. 역사
1983년, 컴팩트 디스크가 출시된 지 1년 만에 Kees Schouhamer Immink와 Joseph Braat는 AES 제73차 컨벤션에서 지워지는 자기 광학 컴팩트 디스크에 대한 첫 번째 실험 결과를 발표했지만, 이 아이디어가 상업화되기까지는 거의 10년이 걸렸다.
소니의 미니디스크는 1992년 필립스 컴팩트 카세트를 대체하기 위한 경쟁적인 두 디지털 시스템 중 하나로 출시되었다. 다른 하나는 필립스와 마쓰시타 (현재 파나소닉)가 개발한 디지털 컴팩트 카세트(DCC)였다. 소니는 원래 디지털 오디오 테이프(DAT)를 아날로그 카세트를 대체하는 주력 가정용 디지털 오디오 녹음 형식으로 만들고자 했으나, 기술적인 지연으로 1989년에야 출시되었다. 그 무렵 미국 달러가 엔화에 비해 크게 하락하여 1980년대 후반에 약 400USD에 판매하려 했던 DAT 기기는 손익분기를 맞추기 위해 800USD 또는 1000USD에 판매해야 했고, 이는 대부분의 사용자에게는 구매하기 어려운 가격이었다.
소니는 DAT를 전문적인 용도로 격하시키고, 더 간단하고 경제적인 디지털 가정용 형식을 개발하기 시작했다. 1992년 말 소니가 미니디스크를 출시했을 때, 필립스는 자기 테이프 카세트에 DCC라는 경쟁 시스템을 도입했다. 이는 1970년대 후반과 1980년대 초의 비디오 카세트 형식 전쟁과 매우 유사한 마케팅 혼란을 야기했다. 소니는 JVC, 샤프, 파이오니아, 파나소닉 및 기타 제조업체에 미니디스크 기술을 라이선스했고, 이들은 자체 미니디스크 제품을 생산했다. 그러나 소니 외 기기는 북미에서 널리 판매되지 않았고, 테크닉스 및 Radio Shack와 같은 회사들은 DCC를 홍보하는 경향이 있었다.
음악가와 오디오 애호가들을 중심으로 충성도 높은 고객층을 보유했음에도 불구하고, 미니디스크는 미국에서 제한적인 성공만을 거두었다. 1990년대와 2000년대 초에는 일본과 아시아 일부 지역에서 매우 인기가 있었고, 유럽에서도 비교적 인기가 있었지만, 다른 시장에서는 비슷한 판매 성공을 거두지 못했다. 이후, 녹음 가능한 CD, 플래시 메모리, HDD와 솔리드 스테이트 기반 디지털 오디오 플레이어인 아이팟이 재생 장치로 점점 더 인기를 얻게 되었다.
1996년경부터 소비자에게 녹음 가능한 컴팩트 디스크 (CD-R)가 더 저렴해지면서 새로운 경쟁에 직면했다. 1994년에 일반적인 빈 CD-R 디스크의 비용은 약 12USD였지만, 1990년대 후반에는 빈 CD-R이 디스크당 1USD 미만으로 떨어졌고, 가장 저렴한 80분 미니디스크 빈 디스크는 최소 2USD였다.
미니디스크의 가장 큰 경쟁자는 MP3 플레이어의 등장이었다. 1998년 다이아몬드 리오 플레이어와 2001년 애플 아이팟의 등장으로 대중 시장은 물리적 미디어를 버리고 더 편리한 파일 기반 시스템을 선호하기 시작했다.
2007년까지, 이 형식의 인기가 시들해지고 솔리드 스테이트 MP3 플레이어의 인기가 높아짐에 따라 소니는 북미에서 소니 마이크와 제한적인 macOS 소프트웨어 지원이 포함된 MZ-M200으로 출시된 Hi-MD MZ-RH1이라는 한 모델만 생산했다.[8][9][10] MZ-RH1을 통해 사용자는 이전에 NetMD 시리즈에 부과되었던 저작권 보호 제한 없이 압축되지 않은 디지털 녹음을 미니디스크에서 컴퓨터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었다.
2011년 7월 7일, 소니는 2011년 9월부터 미니디스크 워크맨 제품의 출하를 중단한다고 발표하여[5] 사실상 이 형식을 종식시켰다.[11] 2013년 2월 1일, 소니는 닛케이 증권 거래소에 모든 미니디스크 장치의 출하를 중단하고, 마지막 플레이어는 2013년 3월에 판매될 것이라고 발표했다. 그러나 빈 디스크 판매와 수리 서비스는 계속 제공할 것이라고 밝혔다.[12] 다른 제조업체들은 소니가 중단한 후에도 오랫동안 미니디스크 플레이어를 계속 출시했으며, TEAC & TASCAM은 2020년까지 새로운 데크를 생산했으며, 소비자용 및 전문 제품인 TEAC MD-70CD 및 TASCAM MD-CD1MKIII는 단종되었다.[13]
2. 1. 개발 배경
1980년대, 소니는 컴팩트 디스크(CD)의 성공에 이어 휴대용 오디오 시장을 겨냥한 새로운 디지털 매체를 개발하기 시작했다. 당시 아날로그 컴팩트 카세트를 대체할 디지털 매체의 필요성이 대두되었고, 소니는 광자기 디스크(MO) 기술을 활용하여 더 작은 크기의 디지털 오디오 저장 매체를 개발하는 데 주력했다.[26] 필립스는 디지털 컴팩트 카세트(DCC)를 개발하며 소니와 경쟁했지만, 소니는 독자적인 개발 노선을 선택했다.[26] 소니는 ATRAC 오디오 압축 기술과 쇼크 프루프 메모리(충격 방지 메모리) 기술을 개발하여 미니디스크의 핵심 기술을 확보했다.[26]2. 2. 출시 및 시장 상황
1992년 11월, 소니는 미니디스크 플레이어 및 레코더, 녹음용 미디어, 음악 소프트웨어를 출시하며 본격적인 시장 공략에 나섰다.[26] 소니는 미니디스크를 필립스 컴팩트 카세트를 대체할 디지털 시스템으로 출시했지만, 필립스와 마쓰시타 (현 파나소닉)는 디지털 컴팩트 카세트(DCC)를 출시하면서 경쟁 구도가 형성되었다. 이는 1970년대 후반과 1980년대 초의 비디오 카세트 형식 전쟁과 유사한 혼란을 야기했다.초기에는 높은 가격과 제한적인 음반 수로 인해 큰 성공을 거두지 못했다.[26] 장비와 빈 미디어의 가격이 높았고, 가정용 미니디스크 데크는 보급이 더뎠으며, 대부분의 소비자는 휴대용 미니디스크 장치를 하이파이 시스템에 연결하여 녹음하는 방식을 사용했다.
그러나 점차 가격이 인하되고 다양한 음반이 출시되면서 인기를 얻기 시작했다. 1990년대 후반부터 2000년대 초반까지 일본과 아시아 일부 지역, 유럽에서 상당한 인기를 누렸으며, 특히 일본에서는 젊은 세대를 중심으로 널리 사용되었다. 1995년에는 일본 내에서 MD 하드웨어 판매 대수가 100만 대에 달했다.[26]
한국에서도 2000년대 초반까지 MP3 플레이어와 경쟁하며 인기를 얻었으나, 플래시 메모리 기반 MP3 플레이어의 등장과 기술 발전으로 인해 점차 쇠퇴하였다. 특히 2001년 애플의 아이팟 출시는 미니디스크를 포함한 물리적 미디어 기반 휴대용 오디오 시장에 큰 타격을 주었다.

1996년경부터 소비자에게 녹음 가능한 컴팩트 디스크 (CD-R)가 더 저렴해지면서 경쟁에 직면했다. 1990년대 후반에는 빈 CD-R 가격이 디스크당 1달러 미만으로 떨어졌지만, 가장 저렴한 80분 미니디스크 빈 디스크는 최소 2달러였다.
2011년 7월 7일, 소니는 2011년 9월부터 미니디스크 워크맨 제품의 출하를 중단한다고 발표하여 사실상 미니디스크 형식을 종식시켰다.[5][11] 2013년 2월 1일에는 모든 미니디스크 장치의 출하를 중단한다고 발표했다.[12] 그러나 빈 디스크 판매와 수리 서비스는 계속 제공한다고 밝혔다.
2. 3. 쇠퇴 및 단종
MP3 플레이어의 등장과 플래시 메모리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미니디스크는 경쟁력을 잃고 점차 쇠퇴하였다. 2000년대에 들어서면서 애플의 아이팟과 같은 디지털 오디오 플레이어들이 큰 인기를 얻으면서, 미니디스크는 용량, 편의성, 휴대성에서 뒤처지게 되었다.[28]소니는 2011년 7월 7일 미니디스크 워크맨 제품의 출하 중단을 발표하며[5] 사실상 미니디스크 시대의 종말을 알렸다.[11] 2013년 2월 1일, 소니는 마지막 미니디스크 플레이어의 판매를 2013년 3월에 중단한다고 발표했다.[12] 그러나 빈 디스크 판매와 수리 서비스는 계속 제공되었다.[12]
TEAC & TASCAM과 같은 일부 제조업체는 소니의 단종 이후에도 미니디스크 플레이어를 계속 출시했으나, 2020년에 이마저도 단종되었다.[13]
3. 기술적 특징
소니가 개발한 ATRAC(Adaptive Transform Acoustic Coding) 부호화 방식으로 음성의 비가역 압축이 이루어진다. ATRAC은 음성 데이터를 약 1/5로 압축한다.[35] 80분 녹음용 MD의 용량은 177MB이지만, 이 압축 기술을 통해 80분 CD와 같은 시간의 음성 데이터를 수록할 수 있다.
음악용 MD의 규격서는 "Rainbow Book"이라고 불린다.[34] 다른 규격서로는 IEC 61909 (Audio recording - Minidisc system), IEC 62121 (Methods of measurement for minidisc recorders/players)가 있다. 음악용 MD에는 재생 전용, 녹음용, 하이브리드 MD의 3종류가 규정되어 있으며, 2000년대 이후 유통되는 MD는 대부분 녹음용이다.
;크기
: 직경 64mm, 두께 1.2mm의 디스크가 세로 68mm, 가로 72mm, 두께 5mm의 카트리지에 담겨 있어[15] 디스크에 흠집이나 먼지가 잘 붙지 않는다. 12 cm 컴팩트 디스크(CD)와 비교하여 휴대하기 쉽고 취급이 용이하다.
;TOC
: 곡 정보는 TOC(Table Of Contents) 영역에 기록된다. 음악 데이터 외에 곡명 등의 문자 정보 기록 및 편집, 녹음 날짜 기록 등이 가능하다.
;읽기 방법
: CD와 마찬가지로 780 nm의 적외선 레이저를 사용하며, 변조 방식은 EFM을 사용한다. 오류 검출 및 정정은 CD의 CIRC와 달리 ACIRC(Advanced Cross Interleaved Reed-Solomon Code)를 채용하고 있다.[15]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직접 녹음을 할 수 있도록 빈 디스크로 판매되었다. 초기에는 스테레오 모드로 60분 타입만 있었지만, 1993년에 74분 타입, 1999년에 80분 타입이 발매되었다.
;기록 방식
: 녹음용 MD는 자계 변조 오버라이트 방식으로 기록되는 광자기 디스크이다.
;UTOC
: 녹음용 MD에는 UTOC(User's TOC) 영역이 있어, 트랙 편집이 가능하다.[15] 최대 255트랙까지 만들 수 있다.
;녹음 모드
: 스테레오와 모노럴의 2가지가 있다. 모노럴 녹음 모드에서는 디스크 표기 시간의 2배로 장시간 녹음이 가능하다.
;회전 속도
: 74분 MD는 디스크의 회전 속도를 1.2 m/s로, 80분 MD는 트랙 피치를 1.5 μm로 하여 장시간 녹음을 실현하고 있다.
;비트 전송률
: 일반적으로 스테레오 녹음 시 292kbps, 모노럴 녹음 시 146kbps이다.
초기 MD 기기는 음질이 떨어져 퓨어 오디오 팬으로부터 부정적인 이미지를 받았다.
재생 전용 MD는 CD와 같은 구조의 광 디스크이다. 1992년 11월에 주로 일본 소니 뮤직 엔터테인먼트(SME)를 중심으로 88 타이틀이 발매되었다.[59]
MDLP(미니디스크 롱 플레이)는 2000년에 발표되어[65][66][67] 기존 음악 MD 규격에 2배, 4배의 장시간 녹음 모드를 추가한 상위 규격이다.
Net MD는 2001년에 소니가 발표한[34] MD 기기와 PC 간의 음악 전송 규격이다. USB를 사용하여[34] PC에 저장한 음악을 전송하는 방식을 MD에 도입했다.
'''Hi-MD''' (하이엠디)는 2004년에 소니가 발표한[100] 규격으로 고음질, 장시간 녹음, PC와의 친화성 향상 등 다방면에 걸쳐 확장되었다.
3. 1. 물리적 특성
미니디스크는 68×72×5 mm 크기의 카트리지 안에 직경 64mm의 광자기 디스크가 들어 있는 형태이다. 3.5인치 플로피 디스크와 유사하게 슬라이딩 도어가 있어 디스크를 보호하며, 드라이브에 삽입하면 이 도어가 자동으로 열린다.[15] 녹음 가능한 미니디스크는 자기 광학 시스템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기록한다. 디스크 아래쪽의 레이저가 디스크의 특정 지점을 큐리점까지 가열하여 자기장에 민감하게 만들고, 디스크 위쪽의 자기 헤드가 가열된 영역의 극성을 변경하여 디지털 데이터를 디스크에 기록한다. 재생 시에는 레이저만 사용하며, 자기 광학 커 효과를 이용하여 반사된 빛의 편광을 1 또는 0으로 감지한다.[15] 소니는 녹음 가능한 미니디스크를 최대 100만 번까지 반복해서 다시 녹음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미니디스크는 CD와 매우 유사한 마스터링 프로세스와 광학 재생 시스템을 사용한다. 사전 마스터링된 픽과 녹음 가능한 MD의 기록 신호도 매우 유사하다. 8-14 변조(EFM)와 CD의 CIRC 코드의 변형인 ACIRC(Advanced Cross Interleaved Reed-Solomon Code)가 사용된다.[15]
미니디스크는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해 재기록 가능한 광자기 디스크(magneto-optical) 스토리지를 사용한다. 디지털 컴팩트 카세트(DCC) 또는 아날로그 컴팩트 카세트(Compact Cassette)와 달리 미니디스크는 임의 접근 매체이므로 탐색 시간이 매우 빠르다.
3. 2. 기록 방식 및 코덱
미니디스크는 소니가 개발한 독자적인 오디오 데이터 압축 코덱인 ATRAC(Adaptive Transform Acoustic Coding)을 사용한다. ATRAC은 CD 음질(1.4 Mbit/s)을 292 kbit/s로 줄여,[14] CD와 동일한 재생 시간을 갖도록 설계되었다.2000년에는 ATRAC3 코덱을 사용한 MDLP(MiniDisc Long Play) 방식이 발표되었다. MDLP에는 LP2와 LP4 모드가 있다. LP2 모드는 132 kbit/s의 스테레오 음질로 80분 디스크에 160분 녹음이 가능하며, LP4 모드는 66 kbit/s의 스테레오 음질로 320분 녹음이 가능하다.
NetMD는 USB를 통해 컴퓨터에서 음악 파일을 전송하여 녹음하는 방식이다. 소니 NetMD 레코더는 LP4 모드에서 32배속 실시간 녹음이 가능하며, 일부 모델은 64배속을 지원한다.
2004년에는 Hi-MD 포맷이 발표되었다. Hi-MD는 1GB 용량의 Hi-MD 디스크를 지원하며, ATRAC3plus 코덱과 무손실 압축(Linear PCM)을 지원한다.
이름 | 비트 전송률 (kbit/s) | 코덱 | 가용성 및 용량 (분) | ||||
---|---|---|---|---|---|---|---|
표준 플레이어 | MDLP 플레이어 | Hi-MD 플레이어 | |||||
80분 디스크 | 80분 디스크 (HiMD 형식) | 1GB Hi-MD 디스크 | |||||
스테레오 SP | 292 | ATRAC | 80 | 80 | 80 | n/a | n/a |
모노 SP | 146 | ATRAC | 160 | 160 | 160 | n/a | n/a |
LP2 | 132 | ATRAC3 | n/a | 160 | 160 | 290 | 990 |
– | 105 | ATRAC3 | n/a | 127 | 127 | 370 | 1250 |
LP4 | 66 | ATRAC3 | n/a | 320 | 320 | 590 | 1970 |
– | 48 | ATRAC3plus | n/a | n/a | n/a | 810 | 2700 |
Hi-LP | 64 | ATRAC3plus | n/a | n/a | n/a | 610 | 2040 |
Hi-SP | 256 | ATRAC3plus | n/a | n/a | n/a | 140 | 475 |
PCM | 1411.2 | 선형 PCM | n/a | n/a | n/a | 28 | 94 |
3. 3. 장점
CD에 비해 훨씬 작은 크기로 휴대가 편하며 LP 모드를 이용하면 여러 장의 CD를 하나의 미니디스크에 담을 수 있다. 또한 작은 미디어 크기 덕분에 미니디스크플레이어는 다른 휴대 기기에 비해 재생 시간이 아주 길다.[15] 이러한 장점 때문에 녹취용으로 사용되기도 하며 MD 레코더끼리 복사도 용이하다. 미니디스크는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해 재기록 가능한 광자기 디스크 스토리지를 사용하며, 디지털 컴팩트 카세트(DCC) 또는 아날로그 컴팩트 카세트와 달리 임의 접근 매체이므로 탐색 시간이 매우 빠르다. 또한 휴대용 기기에서도 매우 빠르게 편집할 수 있다.3. 4. 단점
NetMD 방식이 아닌 경우 녹음 시간이 재생 시간과 동일하게 소요된다.[15] 광출력(Optical Output)을 지원하는 오디오 기기나 CD 플레이어가 필요하다. 2000년 전후로 국내에서도 많은 사용자가 있었으나 MP3 플레이어에 뒤졌으며, 소니는 NetMD를 출시하여 전송 시간을 최대한 단축시켰지만 용량 문제와 가격 문제는 해결되지 않았다. HD-MD를 발표하여 용량을 1GB로 늘렸으나 여전히 가격이 비싸 가격 경쟁력이 없었고, 내구성에서도 MP3 플레이어에 비해 불리했기 때문에 결국 사용자 수가 줄어들었다. 소니는 MZ-RH1이라는 MP3까지 지원하는 최후의 MD를 내놓고 이후 신형 MD는 출시되지 않고 있다.[15]3. 5. 복사 방지 기술
모든 소비자용 미니디스크 장치는 SCMS 복사 방지 체계를 갖추고 있다.[15] 보호되지 않은 디스크나 노래는 제한 없이 복사할 수 있지만, 더 이상 디지털 방식으로는 복사할 수 없다. 그러나 최신 Hi-MD 플레이어는 WAV (PCM) 파일로 다시 저장하여 복제할 수 있는 디지털 녹음 파일을 PC에 업로드할 수 있게 하였다.모든 미니디스크 레코더는 S/PDIF 디지털 오디오 스트림과 디스크에 두 개의 비트를 사용하는 SCMS 복사 방지 시스템을 사용한다.
- "보호됨" 및 "원본"으로 표시된 소스(사전 녹음된 MD 또는 아날로그 입력을 녹음한 MD)에서 디지털 녹음은 허용되지만, 레코더는 디스크의 "원본" 비트를 "사본" 상태로 변경하여 추가 복사를 막는다. 디지털 연결을 통해 가져온 CD에는 SCMS 비트가 없지만, 녹음 MD 레코더는 SCMS 비트가 없는 모든 신호를 보호되고 원본으로 취급한다. 따라서 MD 사본은 더 이상 디지털 방식으로 복사할 수 없다.
- "보호됨" 및 "사본"으로 표시된 소스에서는 디지털 녹음이 허용되지 않았다. 오류 메시지가 표시된다.
- "보호되지 않음"으로 표시된 소스에서는 디지털 녹음도 허용되었다. "원본/사본" 마커는 무시되고 변경되지 않은 상태로 유지되었다.
아날로그 소스에서 녹음하면 "보호됨" 및 "원본"으로 표시된 디스크가 생성되어 한 번 더 복사할 수 있다.
USB를 통해 PC에 연결할 수 있는 레코더에서는 PC에서 미니디스크 레코더로 오디오를 전송할 수 있었지만, 수년 동안은 그 반대 방향으로 오디오를 전송할 수 없었다. 이러한 제한은 SonicStage 소프트웨어와 미니디스크 플레이어 자체에 모두 존재했다. SonicStage V3.4에서 이러한 제한이 제거되었지만, 이를 위해서는 제한이 제거된 미니디스크 레코더/플레이어가 필요했다. Hi-MD 모델 MZ-RH1이 유일하게 그러한 플레이어였다.
4. 확장 규격
미니디스크는 ATRAC(Adaptive Transform Acoustic Coding) 형식으로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데이터 압축하여 저장한다. ATRAC은 CD와 동일한 재생 시간을 유지하면서도 데이터 용량을 줄이기 위해 개발되었으며, 약 5:1의 압축률을 보인다.[14] 심리 음향 손실 압축 방식을 사용하는 ATRAC 코덱은 여러 버전을 거쳐 음질을 개선했다. 초기 버전은 여러 번 복사하면 음질이 저하되었지만, 이후 버전에서는 복사 가능 횟수가 증가했다.
소니는 ATRAC3 및 ATRAC3plus를 최신 버전으로 출시했다. ATRAC3는 132kbit/s(LP2 모드)의 음질을 제공하며, ATRAC3plus는 더 다양한 비트 전송률을 지원한다. Hi-MD는 압축되지 않은 CD 음질 수준의 PCM 오디오 녹음 및 재생을 지원하며, ATRAC3 및 ATRAC3plus도 지원한다.
MDLP(미니디스크 롱 플레이)는 2000년에 발표된 확장 규격으로, 기존 MD보다 2배(LP2) 또는 4배(LP4) 긴 시간 동안 녹음할 수 있는 모드를 제공한다.[65][66][67] LP2 모드는 132kbit/s, LP4 모드는 66kbit/s의 비트 전송률을 사용하며, LP4 모드에서는 음질이 다소 저하된다.[14]
Net MD는 2001년에 발표된 규격으로, PC와 MD 기기 간에 USB를 통해 음악을 전송할 수 있게 해준다.[34] SonicStage 등의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ATRAC 또는 ATRAC3 형식으로 변환된 음악 데이터를 전송하며, MagicGate를 통해 저작권을 보호한다.[34]
4. 1. MD Data
MD 데이터는 1993년 소니(Sony)가 발표한 컴퓨터 데이터 저장용 포맷이다.[16] 이 매체는 일반적인 오디오 미니디스크(MD)와 호환되지 않으며,[17] 데이터 전용 디스크에만 기록할 수 있었다.MD DATA는 음악용 MD 이용자의 혼란을 피하기 위해 전용 카트리지 디스크가 사용되었으며, 음악용 MD와는 달리 먼지 영향을 줄이기 위해 롱 셔터를 채용했다. 비공식적으로는 음악용 MD를 MD 데이터 드라이브로 포맷하여 MD DATA로 사용할 수도 있다.
PC용 드라이브로는 소니가 1995년 7월에 발매한 SCSI 연결 방식의 휴대용 드라이브 'MDH-10'과 OEM용 내장형 드라이브 'MDM-111'이 있다. MDH-10은 음악용 MD 재생은 가능했지만, 녹음은 불가능했다.
1994년에는 MD DATA로 화상을 다루기 위한 규격으로 '''Picture MD'''가 발표되었다. 이 규격은 주로 디지털 카메라에 채용되었으며, 1996년 10월 10일에 발매된 소니의 사이버샷 'DSC-F1'의 화상 형식인 PIC_CAM으로 사용되었다.
MD DATA는 소니의 MDM-X4, 타스캄(Tascam)의 564(표준 오디오 MD 디스크를 사용해 기록할 수도 있었지만 2트랙만 가능), 야마하(Yamaha)의 MD8, MD4, MD4S와 같은 소수의 멀티트랙 레코더에서 어느 정도 사용되었다.
일반 녹음용 MD가 아닌 데이터용 MD를 사용하는 장점은 MD DATA에 채용된 ATRAC2를 통해 멀티 채널(4ch/8ch)로 녹음하거나 장시간 녹음(스테레오 296분, 모노럴 592분)을 할 수 있다는 점이다. 하지만, 이렇게 녹음된 디스크는 MD 플레이어나 레코더에서 재생할 수 없다.
4. 2. MD Data2
1997년에 650MB 용량의 MD Data2 공 미디어가 출시되었다.[92] 이 미디어는 소니의 MD 기반 캠코더인 DCM-M1에만 탑재되었으나, 널리 보급되지는 못했다.MD DATA 발표 이후, 컴퓨터의 보급이 가속화되면서 더 빠르고 대용량의 미디어에 대한 요구가 높아졌다. 이에 대응하기 위해 1996년 12월 16일에 용량을 650MB로, 전송 속도를 9.4Mbps로 향상시킨 '''MD DATA2''' 규격이 발표되었다.[92]
MD DATA2는 기존 음악용 MD 및 MD DATA와 동일한 1.2mm 두께의 디스크를 채택했다. 고밀도 기록을 위해서는 더 얇은 디스크가 유리하지만, 기존 MD와의 호환성을 우선시했기 때문이다. 개구수는 기존 MD의 0.45에서 0.52로 증가하여 스폿 사이즈를 줄였다. 오류 정정 방식은 기존 MD의 ACIRC에서 리드 솔로몬 곱 부호 방식으로 변경되어 중복도를 20% 감소시키고 용량을 증대시켰다.
규격 발표 후에도 제품화에는 시간이 걸렸다. 1999년 8월 28일 국제 소비자 가전 전시회에 참고 출품되었고,[94] 같은 해 12월 3일 'MD VIEW (MMD-650A)'라는 이름으로 정식 발매되었다.
같은 해 11월 1일, 소니는 MD 비디오 카메라 'MD DISCAM (DCM-M1)'의 발매일을 발표했다.[95][96] 이 제품은 MD DATA2를 처음으로 채용한 기기였다.[97][98] MD DISCAM은 MD에 동영상을 기록하는 최초의 제품으로, MPEG-2 (영상) 및 ATRAC (음성) 코덱을 사용하여 최대 20분의 동영상, 약 4,500장의 정지 화상, 최대 260분의 음성을 기록할 수 있었다. 또한 음악용 MD의 재생도 가능했지만, 녹음 기능은 지원되지 않았다. MD의 랜덤 액세스 기능을 활용하여 카메라 자체에서 비선형 편집을 하거나 10BASE-T를 통해 PC와 연결할 수 있었다.
MD DISCAM은 시제품 단계에서는 영상의 디지털 입력 단자도 갖추고 있었지만, 저작권 문제로 인해 정식 제품에서는 제거되었다. 이는 시판 영상 소프트웨어를 MD DISCAM으로 가져와 편집하고 MD에 저장하는 등의 행위가 저작권 침해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 때문이었다.
4. 3. MDLP (MiniDisc Long Play)
2000년에 소니에서 발표한 기술로 ATRAC3 코덱을 이용한 새로운 기록 방식이다. MDLP 모드에는 LP2와 LP4가 있으며, LP2는 우수한 음질(스테레오)로 80분짜리 디스크에 160분 기록이 가능하고, LP4 모드에서는 보통 음질(스테레오)로 80분짜리 디스크에 320분 기록이 가능하다.[14] LP2 모드는 132 kbit/s의 스테레오 음질이며, LP4 모드는 66 kbit/s의 스테레오 음질이다. LP4 모드에서는 다소 음질이 떨어진다.[14]표준 SP 모드의 비트 전송률은 292 kbit/s이며, 개별 좌우 채널을 사용하는 분리형 스테레오 코딩을 사용한다. LP2 모드는 132 kbit/s의 비트 전송률을 사용하며 분리형 스테레오 코딩도 사용한다. 세 번째 모드인 LP4는 66 kbit/s의 비트 전송률을 가지며 조인트 스테레오 코딩을 사용한다. 음질은 다른 두 모드에 비해 눈에 띄게 저하되지만 많은 용도로 사용하기에 충분하다.
LP2 또는 LP4 모드로 녹음된 트랙은 MDLP 미지원 플레이어에서 재생 시 무음으로 출력된다.
4. 4. NetMD
Net MD는 2001년 6월 27일에 소니가 발표한 MD 기기와 PC 간 음악 전송 규격이다.[34] 이 시스템은 PC에 저장된 음악을 MD로 전송하여 휴대하는 방식을 가능하게 했다. 당시 플래시 메모리 가격이 비쌌기 때문에, MD는 메모리 카드나 내장 메모리 타입의 오디오 플레이어에 비해 용량 대비 가격이 저렴했다.Net MD 기기와 PC는 USB로 연결된다.[34] 연결 후에는 SonicStage (구 OpenMG JukeBox) 또는 BeatJam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ATRAC 또는 ATRAC3 방식으로 리핑한 음악 데이터나, mora 등에서 구입·다운로드한 음악 데이터를 전송한다.[34] MagicGate를 통해 PC와 Net MD 기기 간 인증을 거쳐 전송이 이루어진다.[34] Net MD 기기는 OpenMG, MagicGate 및 SCMS를 사용하여 저작권을 보호한다.[34] Net MD 기기에서 MD로 녹음·전송되는 내용은 ATRAC3 (MDLP 상당) 또는 ATRAC (SP 상당) 형식이므로, 기존 MD (MDLP) 기기에서도 재생 가능하다.[34]
Net MD 기기는 연결된 PC에서 조작할 수 있으며, MD에 기록된 음악 데이터의 제목 편집도 가능하다.[34] 단, 편집에는 일부 제한이 있다. 또한 PC 측 소프트웨어의 제한 등으로 인해, 다른 PC에서 MD로 전송한 곡은 PC로 다시 가져올 수 없다. 일반적인 MD 레코더로 녹음한 트랙을 PC로 가져오는 기능은 극히 일부 기종에서만 지원된다.
규격 제정 당시 소니 집행 임원 전무였던 다카시노 시즈오는 이 규격이 "PC와의 친화성을 높여 MD 시장을 확대하고, 음악 배포 비즈니스를 활성화할 것"이라고 언급했다.[34]
LP4 모드에서는 최대 32배속 실시간 전송이 가능하며, 소니 넷MD 레코더 3종(MZ-N10, MZ-N910, MZ-N920)은 최대 64배속 실시간 속도를 지원한다. 넷MD 레코더는 모두 MDLP를 지원한다.
초기에는 소닉스테이지(SonicStage)와 같은 독점 소프트웨어가 필요했지만, 무료 *nix 기반 libnetmd가 개발되었다. 2019년에는 스테파노 브릴리(Stefano Brilli)가 linux-minidisc CLI를 웹 브라우저 기반 애플리케이션으로 컴파일하여,[18] 최신 장치에서 USB를 통해 음악을 전송할 수 있게 되었다.[19]
4. 5. Hi-MD
2004년에 발표된 미니디스크 포맷으로, 1GB 용량의 Hi-MD 디스크를 지원한다.[100] 기존 MD에 비해 대용량을 지원하며, 새로운 ATRAC3plus 코덱을 사용하여 ATRAC, ATRAC3보다 우수한 음질을 제공한다. ATRAC3plus는 MP3와 같이 kb 단위를 기준으로 하며, Hi-MD에서는 모든 kb를 지원하지 않는 단점이 있다. Hi-MD를 지원하는 MD는 MZ-RH10, MZ-RH1, MD-HUSB 뿐이다.[20]Hi-MD는 USB 드라이브 역할을 할 수 있어 데이터 저장 용도로도 사용 가능하다. Hi-MD 장치는 오디오와 데이터를 같은 디스크에 기록하고 재생할 수 있으며, 일반 미니디스크 미디어에도 오디오와 데이터를 모두 기록할 수 있다. 80분짜리 미니디스크는 305MB의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포맷할 수 있다.
Hi-MD는 압축되지 않은 CD 음질의 리니어 PCM 오디오 녹음 및 재생을 지원하여 CD 음질과 동등한 수준의 음질을 제공한다. 또한 다양한 비트 전송률에서 ATRAC3 및 ATRAC3plus를 모두 지원하지만, 오리지널 ATRAC은 재생만 가능하다.
2005년 3월 2일에는 DCF·Exif 기반의 사진 관리용 규격 '''Hi-MD PHOTO'''가 추가되었다.[109] 이에 따라 음악용 규격 명칭은 '''Hi-MD AUDIO'''로 변경되었으며, Hi-MD AUDIO의 지원 코덱에 MP3가 옵션으로 추가되었다.
5. 한국에서의 미니디스크
1990년대 후반부터 소니, 샤프, 파나소닉 등 일본 전자제품 회사의 미니디스크 플레이어와 레코더가 한국에 수입되어 판매되기 시작했다. 일부 국내 회사들도 OEM 방식으로 미니디스크 제품을 출시했다.
2000년대 초반에는 MP3 플레이어와의 경쟁 속에서도 휴대성, 음질, 녹음 기능 등의 장점을 내세워 일정 수준의 인기를 유지했으며, 특히 어학 학습용으로도 많이 활용되었다. 더불어민주당 계열 정치인들은 연설 녹음, 회의 기록 등을 미니디스크로 관리하는 경우가 많았다.
하지만 플래시 메모리 기반 MP3 플레이어의 가격 하락과 편의성 증대로 인해 미니디스크는 점차 시장에서 밀려났으며, 2010년대 이후로는 완전히 단종되어 사용하는 모습을 거의 찾아볼 수 없게 되었다.
참조
[1]
웹사이트
Sony MZ-1
https://www.minidisc[...]
2022-07-30
[2]
웹사이트
Sony history
https://web.archive.[...]
2016-06-01
[3]
웹사이트
Music on the Move: MiniDisc
http://www.trustedre[...]
2008-04-08
[4]
웹사이트
Sony bids farewell to the MiniDisc
https://www.cnet.com[...]
[5]
웹사이트
Sony To Wind Up MiniDisc Walkman Shipments
http://e.nikkei.com/[...]
2011-07-07
[6]
웹사이트
Sony says sayonara to MiniDisc, will sell its last players in March
https://www.engadget[...]
Engadget.com
2016-05-16
[7]
간행물
Experiments Toward an Erasable Compact Disc
https://www.research[...]
1984
[8]
웹사이트
Sony MZ-RH1 User Manual
http://www.minidisc.[...]
[9]
웹사이트
Sony MZ-M200 Hi-MD Recorder with Stereo Microphone
http://reviews.cnet.[...]
2007-12-05
[10]
웹사이트
Hi-MD Music Transfer for Mac Ver.2.0
http://esupport.sony[...]
Sony
2006-07-15
[11]
웹사이트
MiniDisc, The Forgotten Format
https://www.theguard[...]
The Guardian UK
2012-09-24
[12]
뉴스
Sony To End Shipments of MiniDisc Players
http://e.nikkei.com/[...]
2013-02-04
[13]
웹사이트
Mdデッキ生産の終息について
http://s-mars.co.jp/[...]
2020-01-27
[14]
웹사이트
MiniDisc FAQ: Audio Topics - What is the bit rate of the Minidisc's ATRAC audio after compression?
https://www.minidisc[...]
2022-07-30
[15]
웹사이트
Sony MDS-JE780 Minidisc Deck Manual
https://www.hifiengi[...]
2020-05-30
[16]
웹사이트
Reviews / Sony's Mini-MO
http://www.byte.com/[...]
2023-12-22
[17]
웹사이트
MiniDisc MD-Data Product Table
https://www.minidisc[...]
2023-12-22
[18]
웹사이트
The Web MiniDisc App
https://stefano.bril[...]
2020-03-26
[19]
뉴스
Remember MiniDisc? Here's How You Can Still Use It in 2020
https://www.techtele[...]
2020-07-25
[20]
웹사이트
Sony introduces Hi-MD Walkman digital music players
http://news.sel.sony[...]
2004-01-07
[21]
웹사이트
Sony Business Solutions & Systems - Featured
http://bssc.sel.sony[...]
2008-04-15
[22]
웹사이트
Overseas Model Customer Support
http://www.sony.jp/p[...]
2006-04-07
[23]
웹사이트
Overseas Model Customer Support
https://www.sony.jp/[...]
2006-02-05
[24]
간행물
スタイリッシュなミュージックライフを提案した“ミニディスク(MD)”今年で誕生10周年
https://www.sony.co.[...]
ソニー
2020-06-23
[25]
웹사이트
MDW80T
https://www.sony.jp/[...]
ソニー
2021-07-02
[26]
웹사이트
第3話 コンパクトカセットに代わるミニディスク
https://www.sony.com[...]
ソニー
2023-07-27
[27]
웹사이트
これまでの活動報告(2010年度)
https://www.tyg.jp/k[...]
東洋学園大学
2023-07-27
[28]
웹사이트
アップル - Goodbye MD
http://www.apple.co.[...]
Apple
2004-06-04
[29]
웹사이트
スタパトロニクスMobile ちと高いがココが使える! ~ソニー DATA EATA~
https://www.watch.im[...]
インプレス
2023-08-30
[30]
웹사이트
「ソニー MD DISCAM」ファーストインプレッション
http://www.watch.imp[...]
インプレス
1999-11-28
[31]
웹사이트
Sony announce MiniDisc Digicam
https://www.dpreview[...]
Digital Photography Review
2022-10-18
[32]
웹사이트
ソニー、1GBの大容量MD「Hi-MD」出荷を終了へ
https://av.watch.imp[...]
インプレス
2020-09-23
[33]
웹사이트
“Hi-MDウォークマン”『MZ-RH1』出荷完了のお知らせ
https://www.sony.jp/[...]
ソニー
2020-09-23
[34]
간행물
パソコンとミニディスクとの接続を可能にするインターフェース規格『Net MD』を策定
https://www.sony.co.[...]
ソニー
2020-08-22
[35]
웹사이트
第42回:圧縮音楽フォーマットを比較する ~ その1:ソニーのオーディオ圧縮方式「ATRAC3」 ~
https://av.watch.imp[...]
インプレス
2022-02-20
[36]
서적
IEC 61909:2000 Audio recording - Minidisc system
International Electrotechnical Commission
2000-06-16
[37]
간행물
80分の録音時間を実現 録音用ミニディスク“プリズム80” 発売
https://www.sony.co.[...]
ソニー
2020-08-24
[38]
웹사이트
ブイシンク、店頭設置型の音楽ダウンロード販売用端末『ミュージックポッド』の販売を開始
https://ascii.jp/ele[...]
角川アスキー総合研究所
2020-11-13
[39]
웹사이트
音楽データの自動販売機,ベンチャー企業が実験開始
https://xtech.nikkei[...]
日経エレクトロニクス
2020-11-13
[40]
웹사이트
MUSIC POD
http://www.musicpod.[...]
2002-11-26
[41]
웹사이트
DELI×DELI
http://musicdeli.com[...]
2004-12-04
[42]
웹사이트
デジキューブ、音楽販売やデジカメプリントもできるコンビニ端末開発
https://internet.wat[...]
インプレス
2020-11-13
[43]
웹사이트
SBG:デジキューブがDCTへのデータ配信事業から撤退
https://nlab.itmedia[...]
Softbank Publishing
2020-12-25
[44]
웹사이트
News:速報:デジキューブ,キヨスク端末での音楽配信から撤退
https://www.itmedia.[...]
ITmedia
2020-12-25
[45]
웹사이트
セブンドリーム、店舗用端末「セブンナビ」でのサービスを開始
https://internet.wat[...]
インプレス
2020-12-25
[46]
웹사이트
セブン-イレブン・ジャパン /セブンナビを撤去しマルチコピーに転換
https://www.lnews.jp[...]
ロジスティクス・パートナー
2020-12-25
[47]
웹사이트
〜音楽を買うならファミリーマートで!〜Famiポートでマジックゲートメモリースティックへの音楽ダウンロード開始
https://www.family.c[...]
ファミリーマート
2021-01-16
[48]
웹사이트
沿革
https://www.toyotaco[...]
トヨタコネクティッド
2020-12-25
[49]
웹사이트
オムロンとメディアラグ、音楽コンテンツ配信サービスを開始
https://ascii.jp/ele[...]
角川アスキー総合研究所
2020-12-25
[50]
웹사이트
オムロンとメディアラグ,音楽配信対応キオスク端末で提携。7月事業開始
https://xtech.nikkei[...]
日経BP
2021-01-16
[51]
웹사이트
オムロンとメディアラグ、マルチメディアキオスクへの音楽配信で提携
https://internet.wat[...]
インプレス
2021-01-16
[52]
웹사이트
街角コンテンツ流通サービスの提供開始について
https://www.ntt-west[...]
NTTソルマーレ
2020-12-25
[53]
웹사이트
NTT西日本、キオスク端末を利用したコンテンツ配信サービス
https://k-tai.watch.[...]
インプレス
2020-12-25
[54]
웹사이트
NTTソルマーレ,コンテンツの屋外ダウンロード販売などを6月19日開始
https://xtech.nikkei[...]
日経BP
2021-01-16
[55]
웹사이트
非公認!! Foobio(フービオ) 応援ページ
http://www.kawanina.[...]
かわにな
2021-01-16
[56]
간행물
レコード店店頭における音楽配信端末機による 楽曲販売開始のお知らせ
https://www.sme.co.j[...]
ソニー・ミュージックエンタテインメント
2020-12-25
[57]
간행물
有料音楽配信サービス事業bitmusic セブンドリーム・ドットコムのマルチメディア端末による 配信開始のお知らせ
https://www.sme.co.j[...]
ソニー・ミュージックエンタテインメント
2020-12-25
[58]
웹사이트
MiniDiscDay.com – International Minidisc Day 2021
https://minidiscday.[...]
2021-09-18
[59]
웹사이트
沿革
https://www.sme.co.j[...]
ソニー・ミュージックエンタテインメント
2020-11-22
[60]
간행물
ステーションとの接続でデッキとしても楽しめる 業界最小・最軽量のポータブルMDレコーダー 発売
https://www.sony.co.[...]
ソニー
2020-10-19
[61]
웹사이트
最後の再生機でMD試聴 平成生まれが感じた懐かしさ 「年の差30」最新AV機器探訪
https://www.nikkei.c[...]
日本経済新聞社
2020-08-24
[62]
간행물
“i.LINK”端子を搭載し、デジタルCS放送チューナーと接続して音楽配信サービスチャンネルから音楽ソフトを高速にダウンロードできるMDデッキ『MDS-DL1』発売
https://www.sony.co.[...]
ソニー
2020-09-06
[63]
간행물
通常番組の受信に加え、新たに始まるインタラクティブ放送*1サービスにも対応するスカイパーフェクTV!用 デジタルCS放送チューナー 発売
https://www.sony.co.[...]
ソニー
2020-09-06
[64]
웹사이트
ソニー、家庭内デジタル・ネットワーク構想に基づく音楽配信システム
https://pc.watch.imp[...]
インプレス
2020-09-06
[65]
간행물
News and Information “MXD-D5C”
https://www.sony.jp/[...]
ソニー
2020-09-06
[66]
간행물
News and Information “CMT-PX5”
https://www.sony.jp/[...]
ソニー
2020-09-06
[67]
간행물
News and Information “CSX-G44MK2,MDX-G55MK2”
https://www.sony.jp/[...]
ソニー
2020-09-06
[68]
간행물
役員人事
https://www.sony.com[...]
2024-05-13
[69]
간행물
MDデータディスクにA4 1000枚分の情報を簡単にファイルできるパーソナルMDファイル“DATA EATA”発売
https://www.sony.co.[...]
ソニー
2020-07-23
[70]
간행물
連続して書類を読み取る際の作業効率が向上 検索機能の強化などより使いやすくなったパーソナルMDファイル“DATA EATA(データ イータ)” 新機種 発売
https://www.sony.co.[...]
ソニー
2020-07-23
[71]
간행물
パソコンやファックスと接続可能なパーソナル電子ファイル データ イータ プロ“DATA EATA PRO”『PDF-HD7』発売
https://www.sony.co.[...]
ソニー
1996-12-02
[72]
웹사이트
SONY、パソコンやFaxと接続可能な電子ファイル、DATA EATA PROを発売
https://pc.watch.imp[...]
インプレス
1996-12-03
[73]
간행물
News and Information “PDF-W77”
https://www.sony.jp/[...]
ソニー
1999-07-27
[74]
웹사이트
DPA-1
http://www.sony.co.j[...]
ソニー
1998-02-10
[75]
간행물
デジタルスチルカメラ 2機種およびデジタルカラープリンター、デジタルピクチャーアルバム 発売
https://www.sony.co.[...]
ソニー
1996-08-22
[76]
웹사이트
ソニー、MDカメラと「サイバーショット」の後継モデル
https://pc.watch.imp[...]
インプレス
1997-10-22
[77]
웹사이트
シャープMDデータカメラ
http://www.sharp.co.[...]
シャープ
1997-03-31
[78]
웹사이트
シャープのMDデジタルカメラ「MD-PS1」
http://pc.watch.impr[...]
インプレス
1996-10-01
[79]
웹사이트
シャープ、MDカメラ「MDデジタルビューハンター MD-PS1」正式発表
https://pc.watch.imp[...]
インプレス
1997-02-18
[80]
웹사이트
Sony Medical Products: Still Image/Videocassette Recorders
http://bpgprod.sel.s[...]
Sony
1999-10-11
[81]
웹사이트
DKR-700
http://www.sony.co.j[...]
ソニー
2000-04-13
[82]
논문
コニカにおけるデジタル画像技術開発
https://research.kon[...]
コニカミノルタ
2020-10-10
[83]
논문
新しいデジタル写真システム(コニカピクチャーMDシステム)
https://research.kon[...]
コニカミノルタ
2023-08-30
[84]
논문
コニカピクチャーMDシステム用ASICの開発
https://research.kon[...]
コニカミノルタ
2023-08-30
[85]
웹사이트
TASCAM DIGITAL PORTASTUDIO 564
http://www.teac.co.j[...]
ティアック
1998-01-13
[86]
웹사이트
ヤマハ マルチトラックMDレコーダー『MD4』
http://www.yamaha.co[...]
ヤマハ
1997-06-07
[87]
웹사이트
YAMAHA Multi Track MD Recorder MD4
http://www.yamaha.co[...]
ヤマハ
1997-06-07
[88]
웹사이트
ヤマハ マルチトラックMDレコーダー『MD8』
http://www.yamaha.co[...]
ヤマハ
2002-08-09
[89]
웹사이트
YAMAHA Multitrack MD Recorder MD8
http://www.yamaha.co[...]
ヤマハ
1998-12-05
[90]
웹사이트
ヤマハ マルチトラックMDレコーダー『MD4S』
http://www.yamaha.co[...]
ヤマハ
2002-08-09
[91]
웹사이트
MD4S - YAMAHA Products MULTITRACK MD RECORDER
http://www.yamaha.co[...]
ヤマハ
1999-09-30
[92]
간행물
650メガバイトの記憶容量を実現 MDデータ規格の大容量化を図った小型・大容量の4倍密度データ用MDを開発
http://www.sony.co.j[...]
ソニー
1996-12-16
[93]
웹사이트
次世代DVDが採用する青色レーザー、レーザースポットの大きさが容量を決める
https://xtech.nikkei[...]
日経BP
2021-09-18
[94]
웹사이트
プロカメラマン山田久美夫のIFA 1999レポート ソニー、MPEG-2ベースのMDビデオカメラを公開
http://www.watch.imp[...]
インプレス
1999-09-01
[95]
웹사이트
ソニー、MDディスクを記録媒体に採用したビデオカメラ『MD DISCAM (CM-M1)』を発表
https://ascii.jp/ele[...]
角川アスキー総合研究所
1999-11-04
[96]
웹사이트
ソニー、MD DATA2メディアのムービーカメラ「MD DISCAM」
http://www.watch.imp[...]
インプレス
1999-11-01
[97]
웹사이트
MD DISCAM
https://www.sony.jp/[...]
ソニーマーケティング
2020-07-24
[98]
간행물
News and Information “DCM-M11, MMD-650A”
https://www.sony.jp/[...]
ソニー
1999-11-01
[99]
웹사이트
MDなんですよビデオなんですよ!! ソニー MD DISCAM
https://www.watch.im[...]
インプレス
2000-01-11
[100]
간행물
MDをブロードバンド時代対応の汎用メディアに進化させた「Hi-MD」規格を策定
https://www.sony.co.[...]
ソニー
2004-01-08
[101]
간행물
News and Information 「Hi-MD」規格 対応MDウォークマン3機種、デスクトップオーディオ1機種 計 4機種 発売
https://www.sony.jp/[...]
ソニー
2004-01-08
[102]
간행물
News and Information 音楽用のMD(ミニディスク)や、1GBの記録容量を持つ“Hi-MD”ディスクに手軽にデータを記録できる、ポータブル型のHi-MDドライブ 発売
https://www.sony.jp/[...]
ソニー
2005-04-13
[103]
웹사이트
ソニー、PCから手軽にデータを記録できる“Hi-MD”ドライブを発売
https://www.phileweb[...]
音元出版
2005-04-13
[104]
웹사이트
ソニー、SonicStageが付属するデータ用Hi-MDドライブ
https://av.watch.imp[...]
インプレス
2005-04-13
[105]
웹사이트
ソニー、“Hi-MD”専用メモリーカードリーダー『MCMD-R1』を発表
https://ascii.jp/ele[...]
角川アスキー総合研究所
2004-08-10
[106]
웹사이트
ソニー、Hi-MD専用のメモリーカードリーダ ―10種類のメモリーカードからHi-MDへのデータコピーが可能に
https://av.watch.imp[...]
インプレス
2004-08-10
[107]
웹사이트
ソニー、Hi-MD機器専用のメモリーカードリーダーを発売
https://www.phileweb[...]
音元出版
2004-08-10
[108]
웹사이트
10種類のメディアからHi-MDへ――ソニー、Hi-MD機器専用カードリーダー
https://www.itmedia.[...]
アイティメディア
2004-08-12
[109]
간행물
Hi-MDが進化 MP3形式とデジタル静止画像への対応で用途を拡大
https://www.sony.co.[...]
ソニー
2005-03-02
[110]
웹사이트
1GB大容量マルチメディア 二世代目“Hi-MD”
https://www.sony.jp/[...]
ソニー
null
[111]
웹사이트
MZ-NH1:取扱説明書
https://www.sony.jp/[...]
ソニー
null
[112]
웹사이트
“Hi-MD”フォーマットについて
https://www.sony.jp/[...]
ソニーマーケティング
null
[113]
웹사이트
Hi-MDに音楽をたっぷり入れる
https://www.sony.jp/[...]
ソニー
null
[114]
웹사이트
MZ-RH1:取扱説明書
https://www.sony.jp/[...]
ソニー
null
[115]
웹사이트
ATRAC開発者座談会
https://www.sony.co.[...]
ソニー
2004-09
[116]
간행물
AVメディア国内需要推移
http://www.jria.org/[...]
社団法人 日本記録メディア工業会
null
[117]
간행물
平成12年度 記録メディア製品国内需要予測公表値の検証結果
http://www.jria.org/[...]
社団法人 日本記録メディア工業会
2001-04-26
[118]
간행물
平成13年度 記録メディア製品国内需要予測公表値の検証結果
http://www.jria.org/[...]
社団法人 日本記録メディア工業会
2002-05-13
[119]
간행물
平成15年度 記録メディア製品国内需要予測公表値の検証結果
http://www.jria.org/[...]
社団法人 日本記録メディア工業会
2003-05-16
[120]
간행물
平成16年度 記録メディア製品国内需要予測公表値の検証結果
http://www.jria.org/[...]
社団法人 日本記録メディア工業会
2005-05-31
[121]
간행물
平成17年度 記録メディア製品国内需要予測公表値の検証結果
http://www.jria.org/[...]
社団法人 日本記録メディア工業会
2006-06-06
[122]
간행물
平成18年度 記録メディア製品国内需要予測公表値の検証結果
http://www.jria.org/[...]
社団法人 日本記録メディア工業会
2007-05-30
[123]
간행물
平成19年度 記録メディア製品国内需要予測公表値の検証結果
http://www.jria.org/[...]
社団法人 日本記録メディア工業会
2008-06-06
[124]
간행물
2008年 記録メディア製品の世界需要予測
http://www.jria.org/[...]
社団法人 日本記録メディア工業会
2008-11-14
[125]
간행물
記録メディア製品世界需要推移
http://www.jria.org/[...]
社団法人 日本記録メディア工業会
null
[126]
간행물
2006年 記録メディア製品の世界需要予測と世界生産予測
http://www.jria.org/[...]
社団法人 日本記録メディア工業会
2006-11-17
[127]
간행물
2007年 記録メディア製品の世界需要予測と世界生産予測
http://www.jria.org/[...]
社団法人 日本記録メディア工業会
2007-11-16
[128]
간행물
胸ポケットにすっきり収まる厚さ13.5 mm、本体質量76 gで業界最薄・最小・最軽量のポータブルミニディスクプレーヤーなど 2機種 発売
https://www.sony.com[...]
ソニー
1996-09-26
[129]
간행물
ワイドビットストリーム搭載で高音質な録音・再生が楽しめるMDステーション 発売
https://www.sony.com[...]
ソニー
1997-09-1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