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광주광역시의 무형문화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광주광역시의 무형문화재는 광주광역시가 지정한 대한민국의 무형문화재를 의미한다. 1974년 남도판소리를 시작으로, 현재 23개의 종목이 지정되어 있다. 지정 목록에는 종목, 소재지, 관리자, 지정일 등의 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며, 지정 해제된 목록도 존재한다. 광주광역시에서는 무형문화재의 보존과 전승을 위해 전수 교육, 공연 및 전시, 지원 정책 등을 시행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광주광역시의 문화유산 - 광주광역시의 기념물
    광주광역시의 기념물은 광주광역시가 지정한 문화유산으로, 정자, 사당, 묘역, 고분, 유적지, 노거수 등을 포함한다.
  • 광주광역시의 문화유산 - 광주광역시의 민속문화재
    광주광역시의 민속문화재는 역사적, 문화적 가치를 지닌 유물, 건축물, 유적 등을 포함하며, 가옥, 장례 및 신앙 관련 유물, 입석, 석장승, 목장승, 묘, 분묘 출토 명기류 등이 광주광역시의 역사와 문화를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로 보존되고 있다.
  • 대한민국의 시도무형유산 - 경상북도의 무형문화재
    경상북도의 무형문화재는 지역 전통 문화를 보존하고자 지정된 무형 문화유산으로 농악, 민요, 술 제조, 공예 기술 등 다양한 분야를 포함하며 현재 46개가 지정되어 있으나 후계자 부족 등으로 해제된 것도 있다.
  • 대한민국의 시도무형유산 - 전라남도의 무형문화재
    전라남도의 무형문화재는 남도민요, 농악, 전통 공예, 전통주 제조법, 의례 음식 등 전라남도 지역의 다양한 무형 문화유산을 보존하기 위해 지정된 문화재로서, 전라남도는 예산 지원, 전승 장려 사업, 홍보 활동 등을 통해 보존 및 전승을 위해 노력하고 지역 경제 활성화에도 기여하고 있다.
광주광역시의 무형문화재
광주광역시 무형문화재 정보
명칭광주광역시 무형문화재
지정 종류무형문화재
지정 광역시광주광역시
지정 번호 및 명칭
제1호광주농악
제2호광주오매기
제3호광주북춤
제4호광주씻김굿
제5호필문농악
제6호광주지산농악
제7호광주 남구 송하동 당산제
제8호광주매듭장
제9호광주화류소리
제10호광주 장도장
제11호광주 발탈
제12호광주 남구 옹기장
제13호광주 송정농악
제14호광주 칠석고싸움놀이
제15호광주 침장
제16호광주 칼갈이
제17호광주 선자장
제18호광주 죽장

2. 지정 목록

광주광역시 무형문화재 지정 목록
번호명칭소재지지정일
제1호남도판소리광주광역시 전역1974년 5월 28일
제2호판소리강산제광주광역시 남구1976년 9월 30일
제3호탱화장광주광역시 광산구1985년 2월 25일
제4호필장광주광역시 남구2005년 3월 3일
제5호청자도공광주광역시 광산구1986년 9월 29일
제6호남도판소리서편제광주광역시 전역1989년 3월 20일
제7호남도의례음식장광주광역시 전역1989년 3월 20일
제8호광산농악광주광역시 광산구1992년 3월 16일
제9호남도창동편제광주광역시 동구1993년 3월 20일
제10호완제시조창광주광역시 서구1995년 4월 20일
제11호판소리고법광주광역시 남구1995년 4월 20일
제12호악기장광주광역시 동구1995년 11월 10일
제13호화류소목장광주광역시 동구1996년 12월 24일
제14호판소리강산제(심청가)광주광역시 서구1998년 2월 21일
제15호판소리동편제(춘향가)광주광역시 서구1998년 2월 21일
제16호판소리춘향가(동초제)광주광역시 남구2000년 5월 16일
제17호남도의례음식장광주광역시 북구2002년 12월 27일
제18호가야금병창광주광역시 북구2005년 3월 3일
제19호대목장광주광역시 남구2010년 2월 16일
제20호나전칠장광주광역시 남구2010년 2월 16일
제21호탱화장광주광역시 북구2012년 11월 26일
제22호용전들노래광주광역시 북구2014년 7월 24일
제23호광주영산재광주광역시 북구2014년 7월 24일


2. 1. 목록 상세

(단체)지정일참조1호남도판소리
(南道판소리)광주 광주전역1974년 5월 28일 지정[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22,00010000,24]2호판소리강산제
(판소리岡山制)
광주 남구 서1동 112-151976년 9월 30일 지정[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22,00020000,24]3호탱화장
(撑畵匠)
광주 광산구 운수동 461985년 2월 25일 지정[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22,00030000,24]4호필장
(筆匠)광주 남구 백운동 621-2, 남구 백운동 623-37, 남구 백운동 631-82005년 3월 3일 지정[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22,00040000,24]5호청자도공
(靑磁陶工)
광주 광산구 연산동 산870-11986년 9월 29일 지정[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22,00050000,24]6호남도판소리서편제
(南道판소리西便制)광주 광주전역1989년 3월 20일 지정[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22,00060000,24]7호남도의례음식장
(南道儀禮飮食匠)
광주 광주전역 1989년 3월 20일 지정[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22,00070000,24]8호광산농악
(光山農樂)광주 광산구 소촌동 633-11992년 3월 16일 지정[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22,00080000,24]9호남도창동편제
(南道唱東便制)광주 동구 대인동 308-111993년 3월 20일 지정[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22,00090000,24]10호완제시조창
(完制時調唱)광주 서구1995년 4월 20일 지정[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22,00100000,24]11호판소리고법
(판소리鼓法)광주 남구1995년 4월 20일 지정[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22,00110000,24]12호악기장
(樂器匠)광주 광주전역 서석동 91-131995년 11월 10일 지정[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22,00120000,24]13호화류소목장
(樺榴小木匠)광주 동구 소태동 1201996년 12월 24일 지정[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22,00130000,24]14호판소리강산제(심청가)
(판소리江山制(沈靑歌))광주 서구1998년 2월 21일 지정[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22,00140000,24]15호판소리동편제(춘향가)
(판소리東便制(春香歌))광주 서구 양동 201998년 2월 21일 지정[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22,00150000,24]16호판소리춘향가(동초제)
(판소리春香歌(東超制))광주 남구 서1동 238-52000년 5월 16일 지정[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22,00160000,24]17호남도의례음식장
(南道儀禮飮食匠)광주 북구2002년 12월 27일 지정[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22,00170000,24]18호가야금병창
(伽倻琴倂唱)광주 북구 중흥3동 800-72005년 3월 3일 지정[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22,00180000,24]19호대목장
(大木匠)광주 남구 진월동 481-4 현대아파트 307동 703호2010년 2월 16일 지정[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22,00190000,24]20호나전칠장
(螺鈿漆匠)광주 남구 서1동 245-72010년 2월 16일 지정[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22,00200000,24]21호탱화장광주 북구송광무2012년 11월 26일 지정[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22,00210000,24]22호용전들노래광주 북구 용전동(사)용전들노래보존회2014년 7월 24일 지정[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22,00220000,24]23호광주영산재광주 북구 두암3동(사)광주전통불교영산회2014년 7월 24일 지정[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22,00230000,24]


3. 지정 해제 목록

광주광역시의 무형문화재 중 지정 해제된 목록은 없다.

4. 보존 및 전승

광주광역시에서는 무형문화재의 보존과 전승을 위해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무형문화재 보유자들의 전수 교육을 지원하고, 정기적인 공연 및 전시 활동을 통해 시민들에게 무형문화재의 가치를 알리고 있다. 또한, 다양한 정책적 지원을 통해 무형문화재가 다음 세대로 이어질 수 있도록 힘쓰고 있다.

4. 1. 전수 교육

광주광역시에서는 무형문화재의 기능을 다음 세대로 전수하기 위한 교육 프로그램을 지원하고 있다. 이러한 교육 프로그램은 무형문화재 보유자들이 직접 전수 교육에 참여하여 기능을 전수하고, 전통문화를 계승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광주광역시의 무형문화재는 다음과 같다.

번호등록명소재지
제1호남도 판소리북구
제4호필장남구
제5호청자 도공광산구
제6호남도 판소리 서편제전역
제8호광산 농악광산구
제9호남도 창 동편제동구
제10호완제 시조창서구
제11호판소리 고법남구
제12호악기장동구
제13호소목장동구
제14호판소리 강산제 (심청가)서구
제15호판소리 동편제 (춘향가)서구
제16호판소리 춘향가 (동초제)남구
제17호남도 예의 음식의 장인북구
제18호가야금 병창북구
제19호대목장남구
제20호나전칠기장남구


4. 2. 공연 및 전시

광주광역시에서는 무형문화재의 가치를 널리 알리고 보존하기 위해 다양한 공연 및 전시 활동을 지원하고 있다. 특히, 판소리, 농악, 가야금 병창 등 공연 예술 분야의 무형문화재가 활발하게 전승되고 있다.

광주광역시 무형문화재 (공연 분야)
번호등록명소재지
제1호남도 판소리북구
제6호남도 판소리 서편제전역
제8호광산 농악광산구
제9호남도 창 동편제동구
제10호완제 시조창서구
제11호판소리 고법남구
제14호판소리 강산제 (심청가)서구
제15호판소리 동편제 (춘향가)서구
제16호판소리 춘향가 (동초제)남구
제18호가야금 병창북구



남도 판소리는 여러 갈래로 나뉘어 전승되고 있으며, 광산 농악과 가야금 병창 등도 광주광역시의 대표적인 무형문화재로 지정되어 있다. 이러한 무형문화재들은 정기적인 공연과 전시를 통해 시민들에게 그 가치를 알리고 있다.

4. 3. 지원 정책

광주광역시는 무형문화재의 보존과 전승을 위해 다양한 정책을 지원하고 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