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목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교목은 일반적으로 생물학에서 주된 줄기가 뚜렷하고 키가 2~3미터 이상으로 자라는 나무를 의미한다. 녹지 관리에서는 각 기관의 기준에 따라 높이 3미터 이상 또는 5미터 이상의 수목을 교목으로 정의하기도 하며, 임업에서는 재목으로 사용할 수 있는 4~5미터 이상의 나무를 교목으로 본다. 교목은 산림에서 교목층을 형성하며, 초고목, 아교목 등으로 세분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식물형태학 - 나무
나무는 목부를 형성하고 육상 생태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고 문화적으로 숭배받지만, 멸종 위기에 처해 보존 노력이 필요한 식물이다. - 식물형태학 - 뿌리
뿌리는 식물체의 지하 기관으로, 물과 양분 흡수, 지지, 저장, 호르몬 생성, 공생 등의 기능을 수행하며, 다양한 형태와 특수 기능을 가진 뿌리도 존재하고, 식량, 약재 등으로 활용되며 환경 보호와 부정적 영향 모두에 관여한다. - 목본식물 - 카카오
카카오는 아욱과에 속하는 열대 식물로, 열매인 카카오콩을 가공하여 코코아, 초콜릿 등을 만들며, 아동 노동, 환경 파괴 등의 문제점을 안고 있어 품종 개발과 유전자원 보존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 목본식물 - 밤나무
밤나무는 한국과 일본 원산의 참나무과 낙엽성 교목으로, 밤 열매를 얻기 위해 재배되며 목재와 조경용으로도 이용되고, 타원형 잎과 향기로운 꽃, 가시 밤송이가 특징이며, 다양한 품종이 존재하고, 역사적으로 식량, 건축, 공예 등 다방면으로 활용되어 왔다.
교목 | |
---|---|
일반 정보 | |
학문 분야 | 식물학 |
나무의 크기 | 높이가 8m 이상인 나무 |
분류 | |
생태학적 분류 | 식물 |
형태학적 분류 | 목본식물 |
2. 정의
교목은 생물학, 임업, 조경 관리 등 분야에 따라 그 정의가 조금씩 다르다.
2. 1. 생물학
생물학에서 일반적인 교목은 성장했을 때 높이가 2m 또는 3m 이상이며, 주된 줄기가 뚜렷한 수목을 의미한다.[4][5] 좁은 의미로는 높이 8m~30m 정도의 수목을 가리키며, 산림에서는 교목층(tree layer)을 형성한다.[1] 교목층이 있는 산림은 교목림(forest, woods)이라고 불린다.[6]일본에서 볼 수 있는 교목의 예로는 소나무, 삼나무(아래 그림 1a), 은행나무, 녹나무, 튤립나무(아래 그림 1b), 계수나무(계수나무과), 자귀나무, 수양버들, 떡갈나무(아래 그림 1c), 자작나무, 벚나무, 느티나무(아래 그림 1d), 아까시나무, 단풍나무, 피나무, 오동나무(아래 그림 1e) 등이 있다.[7]
2. 1. 1. 초고목
높이가 30미터 이상인 키 큰 나무는 '''초고목'''(emergent, emergent tree)이라고도 불린다.[1] 동남아시아나 아프리카, 남미의 열대림에서는 일부 종이 초고목으로서 수관층을 뚫고 솟아오르는 경우가 있다.[1][8][9] 또한 오세아니아에 있는 유칼립투스속의 일부와 북미 서해안의 세쿼이아 및 세쿼이아덴드론은 초고목으로 이루어진 순림을 형성한다.[1]2. 1. 2. 아교목
넓은 의미의 교목 중 높이가 8m 이하인 것은 '''아교목''' 또는 '''소교목'''(subarbor)이라고 불리는 경우가 있다.[1] 아교목은 산림에서 '''아교목층'''을 형성한다.[1] 아교목의 예로는 사계나무 (녹나무과), 생강나무, 유도화, 사철나무, 매화 (장미과), 자귀나무, 배롱나무 (부처꽃과), 고로쇠나무, 붉나무, 산딸나무, 겹벚나무 (차나무과), 이팝나무 (이팝나무과), 호랑가시나무 등이 있다.[7]2. 1. 3. 라운키에르의 생활형
크리스텐 라운키에르는 휴면형에 기초하여 식물의 생활형을 분류했다[10]. 그 중에서 휴면아(休眠芽)를 높이 25cm 이상에 두는 식물을 지상식물(挺空植物, phanerophyte)로 분류하고, 다음과 같이 세분화했다. 여기에 큰 키 나무, 중간 키 나무, 작은 키 나무라는 번역어를 적용하기도 한다[10].- macrophanerophyte (대형 지상 식물, 큰 키 나무): 휴면아의 위치가 30m 이상.
- mesophanerophyte (중형 지상 식물, 중간 키 나무): 휴면아의 위치가 8m에서 30m 사이.
- microphanerophyte (소형 지상 식물, 작은 키 나무): 휴면아의 위치가 2m에서 8m 사이.
- nanophanerophyte (미소형 지상 식물, 왜소형 지상 식물, 관목): 휴면아의 위치가 25cm에서 2m 사이.
2. 2. 임업
임업에서는 재목으로 이용 가능한 4m에서 5m 이상의 것을 교목이라고 부르는 경우가 많다.[4][17][18]2. 3. 관리 및 식재
국토교통성에서는 높이 3m 이상의 수목을 교목, 1m에서 3m의 수목을 중목, 1m 이하의 수목을 관목으로 하는 경우가 많다.[11][12] 환경성의 "향기 나는 수목 데이터 목록표"에서는 높이 5m 이상의 수목을 교목, 2m에서 5m의 수목을 중목, 2m 이하의 수목을 관목으로 하고 있다.[13] 식재 시 2m 이상으로 성목에서 4m 이상이 되는 것[14], 식재 시 3m 이상으로 성목에서 5m 이상이 되는 것[15], 식재 시 4m 이상으로 크게 성장이 예상되는 것[16] 등도 교목의 정의에 포함된다.참조
[1]
서적
図説 植物用語事典
八坂書房
[2]
웹사이트
2022-04-10
[3]
웹사이트
2022-04-10
[4]
서적
岩波 生物学辞典 第5版
岩波書店
[5]
서적
広葉樹材の識別 IAWAによる光学顕微鏡的特徴リスト
海青社
[6]
서적
岩波 生物学辞典 第5版
岩波書店
[7]
서적
葉でわかる樹木 625種の検索
信濃毎日新聞社
[8]
서적
岩波 生物学辞典 第5版
岩波書店
[9]
서적
岩波 生物学辞典 第5版
岩波書店
[10]
서적
図説 植物用語事典
八坂書房
[11]
웹사이트
都市公園の樹木の点検・診断に関する指針(案)
https://www.mlit.go.[...]
国土交通省
2022-04-09
[12]
웹사이트
公園緑地工事数量算出要領
https://www.mlit.go.[...]
国土交通省
2022-04-09
[13]
웹사이트
かおりの樹木データ一覧表
https://www.env.go.j[...]
環境省
2020-01-19
[14]
웹사이트
1-7 敷地内の緑化
https://www.city.ots[...]
大津市
2022-04-09
[15]
웹사이트
5.用語について
https://www.city.ota[...]
大田区
2022-04-10
[16]
웹사이트
2)高木・中木・低木
https://www.city.set[...]
世田谷区
2022-04-09
[17]
웹사이트
2022-04-10
[18]
웹사이트
2022-04-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