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구과목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구과목은 겉씨식물 중 하나로, 배주가 노출된 특징을 가지며, 소나무, 전나무, 측백나무 등이 속한다. 로버트 브라운에 의해 겉씨식물과 속씨식물로 처음 구분되었고, 존 린들리에 의해 소철목과 함께 구분되었다. 현재는 4개의 아강으로 분류되며, 구과아강은 소나무과, 아라우카리아과, 나한송과, 금송과, 측백나무과, 개비자나무과, 주목과 등으로 나뉜다. 구과목의 정확한 계통 발생에 대한 연구가 진행 중이며, 7개의 과를 포함한다. 한국에는 소나무과, 주목과, 측백나무과 등의 구과식물이 분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구과목 - [생물]에 관한 문서
식물 분류
학명Pinales
명명자Gorozh.
하위 분류군
하위 분류아라우카리아과 (Araucariaceae)
†아르크토피티아과 (Arctopityaceae) (화석)
†케이롤레피디아과 (Cheirolepidiaceae) (화석)
†팔리시아과 (Palissyaceae) (화석)
측백나무과 (Cupressaceae)
소나무과 (Pinaceae)
나한송과 (Podocarpaceae)
금송과 (Sciadopityaceae)
주목과 (Taxaceae)
속하는 과의 종 수아라우카리아과 (41)
측백나무과 (130-140)
소나무과 (220-250)
나한송과 (170-200)
금송과 (1)
주목과 (30-50)
이명Coniferales
Coniferophyta
'' 어근으로 시작하는 분류군 이름은 기반이 되는 속이 없기 때문에 불법명칭으로 간주됨)
모식 속Pinus
모식 속 명명자L.
Pinus sylvestris, 스코틀랜드 소나무
Pinus sylvestris
한국어 정보
목 이름구과목
식물계
상문종자식물상문
구과식물문
구과식물강
잣나무
잣나무 Pinus koraiensis

2. 분류

구과식물은 전통적으로 형태적 특징에 따라 분류되었으나, 최근에는 분자계통유전학적 연구를 통해 새로운 분류 체계가 제시되고 있다. 2008년 이후 분자계통유전학에 기반한 분류학 연구가 증가했지만, 일관성을 보이지는 않았다. 특히 현존하는 분류군과 멸종된 분류군 간의 관계, 멸종된 분류군 내의 관계, 그리고 개구리밥목의 위치 등으로 인해 분류가 복잡해졌다. 개구리밥목은 모든 나자식물의 기저군, 침엽수의 자매군(‘gnetifer’ 가설), 또는 소나무과의 자매군(‘gnepine’ 가설) 등으로 다양하게 분류되어 왔다.

현존하는 침엽수는 대부분 단일 계통군을 형성하는 것으로 보인다. 2018년에는 나자식물 계통 연구 그룹(Gymnosperm Phylogeny Group)이 설립되어 합의에 도달하려는 목표를 가지고 있다.

2. 1. 역사

로버트 브라운은 1825년 종자식물을 배주(밑씨)의 노출 여부에 따라 겉씨식물과 속씨식물로 처음 구분하였다. 이후 아돌프 브롱니아르가 '겉씨식물'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였다. 존 린들리는 겉씨식물을 소철목과 구과목으로 나누었으며, 이후 연구를 통해 소철과, 소나무과, 주목과, 마황과 등으로 분류하였다.

벤담과 후커는 주목류를 구과류에 포함시켜 겉씨식물강을 마황과, 구과류, 소철과의 세 목으로 분류하였다. 엥글러 분류 체계에서는 겉씨식물문을 소철목, 베네티탈레스, 코르다이탈레스, 은행나무목, 구과류, 마황목의 여섯 강으로 나누었다.

20세기에는 구과목과 마황목의 두 강으로 분류하는 체계가 주로 사용되었다. 크롱퀴스트는 겉씨식물문을 구과식물문(구과강, 마황목)과 소철식물문(소철강)으로 나누었다. 분자계통유전학 시대에는 소철강과 구과강의 두 강으로 나누는 분류 체계가 제안되기도 하였다.

2. 2. 계통 분류

현재 겉씨식물은 크게 4개의 아강으로 분류된다. 구과아강은 다시 다음과 같이 분류된다.

2. 3. 하위 분류군 (과)

구과목에는 다음 과들이 속한다.

속/종비고
개비자나무과 (Cephalotaxaceae)3속 20종
금송과 (Sciadopityaceae)1속 1종(금송)
나한송과 (Podocarpaceae)18속 170-200종
소나무과 (Pinaceae)11속 220-250종
아라우카리아과 (Araucariaceae)3속 41종
주목과 (Taxaceae)3속 12-30종
측백나무과 (Cupressaceae)30속 130-140종



역사적으로 20세기 대부분 동안 구과식물강(Coniferae) 분류에 기반하여 현존하는 6~7개 과로 구성된 소나무목(Pinales)이 표준으로 여겨졌다. 이 과들은 단일 목으로 취급되었다.

비고
남양삼나무과 (Araucariaceae)
측백나무과 (Cupressaceae)측백나무속, 노간주나무속, 세쿼이아속
소나무과 (Pinaceae)전나무속, 소나무속, 삼나무속, 낙엽송속, 가문비나무속
구과난과 (Podocarpaceae)
주목과 (Taxaceae)주목속
개비자나무과 (Cephalotaxaceae)
삼나무과 (Taxodiaceae)



이후 삼나무과(Taxodiaceae)와 측백나무과(Cupressaceae)는 합병되었고, *일본잎갈나무*는 별도의 과(Sciadopityaceae, 금송과)로 분류되었다. 개비자나무과(Cephalotaxaceae)는 주목과(Taxaceae)에 포함되었고, 피로클라다과 (Phyllocladaceae)는 구과난과(Podocarpaceae)에 포함되었다. 주목과(Taxaceae)는 때때로 별도의 목(Taxales)으로 취급되기도 하였다.

크리스텐후스와 동료들(2011)은 소나무목(Pinales)에 소나무과(Pinaceae)만을 포함시켰는데, 이는 속씨식물 계통 웹사이트와 구과식물 데이터베이스에서도 따랐다. 이 모델에서 소나무목(Pinales, Pinaceae)은 11개 속과 약 225종으로 구성되며, 원래 이 목에 포함되었던 다른 모든 구과식물은 측백나무목(Cupressales)과 같은 다른 목에 포함된다.

3. 진화

분자계통유전학적 연구에 따르면, 소철류겉씨식물의 기저군이고, 은행나무류는 나머지 겉씨식물의 자매군인 것으로 밝혀졌다. '구과식물' 가설에 따르면, 구과식물은 구과 I 단계통군(마황류, 구과아강)과 구과 II 단계통군(측백나무류)으로 나뉜다. 2018년 연구에서는 관다발식물 계통 발생 포스터속씨식물 계통 발생 웹사이트의 기초가 되는 종자식물의 상세한 계통 발생이 제시되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