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구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구도는 시각 예술에서 작품을 구성하는 핵심 요소로, 르네상스 시대부터 중요하게 여겨졌다. 서양 미술에서는 시점 개념과 함께 이상적인 비율과 조화를 추구했으며, 바로크 시대 이후에는 기존 구도 원칙을 파괴하는 시도가 나타나 감정 표현을 강조하기도 했다. 한국 미술에서는 전통적으로 여백의 미와 자연과의 조화를 중시하는 구도가 발전해왔으며, 근현대 미술에서는 서양의 영향을 받아 전통과 현대, 동양과 서양의 경계를 넘나드는 다양한 구도 실험이 이루어졌다. 디자인 요소로는 선, 형태, 색상, 질감, 명도, 입체, 공간 등이 있으며, 이러한 요소들은 시각 예술가가 작품을 구성하는 기본적인 어휘를 구성한다. 조직의 원칙으로는 형태와 비율, 배치, 균형, 시선의 경로, 여백, 색상, 대비 등이 있으며, 삼분할 법칙, 시점, 여백의 규칙, 단순화, 기하학적 요소 등을 활용하여 시각적인 효과를 극대화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시각 예술 - 만화가
    만화가는 만화를 기획하고 제작하는 사람으로, 작업 방식에 따라 단독 또는 분업으로 나뉘며,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사회적 담론 형성에 기여하고 대중문화에 큰 영향을 미친다.
  • 시각 예술 - 박제
    박제는 동물의 사체를 보존하여 생전 모습과 유사하게 만드는 기술 및 결과물로, 종교적 목적에서 기원하여 예술 형태로 발전했으며, 학술 연구, 교육, 전시, 장식 등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된다.
  •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분류 - 공 (악기)
    공은 금속으로 제작된 타악기로, 다양한 문화권에서 의식, 신호, 음악 연주 등에 사용되며, 형태와 용도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뉜다.
  •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분류 - 국무회의
    국무회의는 대한민국 대통령을 의장으로, 예산, 법률안, 외교, 군사 등 국정 현안을 심의하는 중요한 기관이며, 대통령, 국무총리, 국무위원으로 구성되고, 정례회의는 매주 1회, 임시회의는 필요에 따라 소집된다.
  •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분류2 - 공 (악기)
    공은 금속으로 제작된 타악기로, 다양한 문화권에서 의식, 신호, 음악 연주 등에 사용되며, 형태와 용도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뉜다.
  •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분류2 - 국무회의
    국무회의는 대한민국 대통령을 의장으로, 예산, 법률안, 외교, 군사 등 국정 현안을 심의하는 중요한 기관이며, 대통령, 국무총리, 국무위원으로 구성되고, 정례회의는 매주 1회, 임시회의는 필요에 따라 소집된다.
구도
구도 (미술)
정의시각 예술 작품에서 시각적 요소 또는 재료의 배치 또는 배열
관련 용어디자인, 예술적 표현, 시각적 예술
회화
설명회화에서 구도는 시각적 요소의 배치이며, 많은 맥락에서 주제와 분리될 수 있음
목표시청자가 그림을 볼 때 심미적으로 매력적이고 보는 사람에게 무언가를 '말하는' 방식으로 시각적 요소를 구성하고 배열하는 것
관련 요소통일
균형
조화
대비
리듬
패턴
비례
시공간의 통합
고려 사항캔버스 형식
시점
가장 중요한 요소 (시선이 가장 먼저 가는 곳)
사진
설명사진에서 구도는 장면 내 요소의 배열이며, 주제와 분리될 수 있음
목표시청자가 사진을 볼 때 심미적으로 매력적이고 보는 사람에게 무언가를 '말하는' 방식으로 시각적 요소를 구성하고 배열하는 것
관련 요소
모양
형태
질감
패턴
색상
공간
디자인
설명디자인에서 구도는 요소의 배열이며, 기능적인 목적을 가질 수 있음
목표시청자가 디자인을 볼 때 심미적으로 매력적이고 사용하기 쉬운 방식으로 시각적 요소를 구성하고 배열하는 것
관련 요소계층 구조
균형
대비
일관성
통일성
기능성

2. 역사적 배경

컴포지션이라는 용어는 '정리하다'는 의미를 가지며, 음악, 문필, 사진 등 의식적인 사고를 사용하여 정리된 미술 작품에도 적용된다. 시각 예술에서는 맥락에 따라 구도는 디자인, 폼, 시각적 질서, 형식적 구조 등 다양한 용어와 상호 호환적으로 사용된다. 인쇄 및 데스크톱 퍼블리싱그래픽 디자인에서는 컴포지션을 일반적으로 페이지 레이아웃이라고 부른다.

르네상스 시대부터 회화에 시점 개념이 도입되면서 그림의 구성은 유럽 예술에서 특히 중요해졌다. 알베르티는 회화의 구성 요소를 윤곽, 빛의 분포, 구성으로 보았다. 그는 "구성은 작품 속에서 다양한 부분을 결합함으로써 그림을 그리는 조작법이다."라고 정의했다.[15] 알베르티는 예술이 아름다움을 추구하고, 그것이 올바른 비율로 존재한다는 생각을 이미지에 적용해야 한다고 보았다.

이러한 접근 방식과 경쟁하며, 다른 목적을 위한 규칙도 확립되었다. 회화가 '효과', 즉 감정을 불러일으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경우 구성 이론은 완전히 달라질 수 있다.

2. 1. 서양 미술의 구도

르네상스 시대부터 회화에 시점 개념이 도입되면서, 그림의 구성은 유럽 예술에서 특히 중요해졌다. 우리의 눈은 혼란 없이 이미지를 부드럽게 파악할 수 있으며, 구도 개념은 쉽게 무너지지 않는다. 예를 들어 유럽에서 그려진 이야기의 패널이나 극동의 롤러로 그려진 패널의 경우에도 그림의 구도 개념은 그림처럼 한 번에 파악할 수 있다.[15]

예술 이론은 처음부터 그림의 구성을 정의하고 규칙을 식별하려고 했다. 알베르티는 회화의 구성 요소를 윤곽의 결정, 빛의 분포, 그리고 그것들의 구성으로 보았다.

이러한 접근 방식과 경쟁하며, 다른 목적을 위한 규칙도 확립되었다. 회화가 감정을 불러일으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경우, 구성 이론은 완전히 달라질 수 있다.

2. 1. 1. 르네상스 시대

르네상스 시대에 회화가 시점의 개념을 채택하면서 그림의 구성은 유럽 예술에서 특히 중요해졌다. 시스티나 성당의 미켈란젤로모네수련처럼 겉으로 보기에는 구조가 매우 어려운 작품에도 구도의 개념이 적용되었다.[15]

알베르티는 회화의 구성 요소를 윤곽의 결정, 빛의 분포, 그리고 그것들의 구성으로 보았다. 그는 "구성은 작품 속에서 다양한 부분을 결합함으로써 그림을 그리는 조작법이다."라고 정의했다.[15] 작가는 예술이 아름다움을 추구하고, 그것이 올바른 비율로 존재한다는 생각을 이미지에 적용했다.

이러한 접근 방식과 경쟁하며, 다른 목적을 위한 규칙도 확립되었다. 회화가 감정을 불러일으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경우, 구성의 이론은 완전히 달라질 수 있다. 테오도르 제리코메두사호의 뗏목에서 상황의 공포를 불러일으키는 추함의 불일치를 부서지는 수직의 삼각형 속에 나타냈다. 동시에 생존자에 대한 희망을 표현하면서 지평선 상의 작은 돛을 보여주었다.

2. 1. 2. 바로크 시대 이후

테오도르 제리코메두사호의 뗏목에서 대부분의 그림과 달리, 상황의 공포를 불러일으키는 추함의 불일치를 부서지는 수직의 삼각형 속에 나타냈다. 이를 통해 생존에 대한 희망을 표현하면서, 지평선 상의 작은 돛을 보여준다.[15] 이는 고전적인 구도 원칙을 파괴하고 극적인 감정 표현을 위한 불균형 구도를 사용한 시도였다.[16][17]

2. 2. 한국 미술의 구도

(이전 출력 결과가 없으므로, 수정할 내용이 없습니다. 원본 소스와 요약이 제공되면 해당 내용을 바탕으로 위키텍스트를 작성하여 출력하겠습니다.)

3. 디자인의 요소

디자인 요소는 시각 예술가가 작품을 구성하는 기본적인 어휘이다. 주요 디자인 요소는 다음과 같다.


  • : 눈이 작품 내에서 움직일 수 있도록 하는 시각적 경로이다.
  • 형태: 기하학적이든 유기적이든 작품 내에서 가장자리에 의해 정의된 영역이다.
  • 색상: 다양한 값과 강도를 가진 색조이다.
  • 질감: 촉각적 환상으로 변환되는 표면 품질이다.
  • 명도: 형태를 강조하는 데 사용되는 음영이다.
  • 입체: 3차원 길이, 너비 또는 깊이를 뜻한다.
  • 공간: 객체가 차지하는 공간(양수) 또는 객체 사이(음수)를 의미한다.[12]


이러한 요소들은 서로 연관되어 있으며, 전체 작품과도 관련되어 있다.

3. 1. 선과 형태

선은 시각적인 경로를 제공하여 감상자의 시선을 작품 안에서 움직이게 한다. 이러한 선은 자연에서도 발견되는 시각적 착시 현상이며, 예술 작품에서는 이러한 착시를 의도적으로 만들어낼 수 있다.[1] 전화선, 전력선, 배의 밧줄처럼 실제 존재하는 선일 수도 있고, 색상이나 대비의 경계, 또는 개별 요소들의 배열을 통해 만들어질 수도 있다. 흐릿한 움직임 또한 선으로 나타날 수 있다.[1]

주제 선은 분위기와 원근법에 영향을 주어 깊이감을 느끼게 한다. 비스듬한 선은 움직임을, 각진 선은 역동성과 긴장감을 전달한다. 선은 그림의 주요 대상에 시선을 집중시키거나, 그림을 여러 구획으로 나누는 역할을 하기도 한다. 작가는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에 따라 선을 과장하거나 강조할 수 있다. 명확한 주제점이 없는 많은 선은 이미지에서 혼돈을 암시하며, 예술가가 불러일으키려는 분위기와 충돌할 수 있다.

선의 각도와 프레임 크기와의 관계는 이미지의 원근감에 영향을 준다. 풍경 사진에서 주로 보이는 수평선은 평온함, 고요함, 공간감을 나타낸다. 반면 강한 수직선은 높이와 웅장함을 느끼게 한다. 좁게 각진 수렴선은 역동적이고 활기찬 느낌을 주며, 강하게 꺾인 대각선은 긴장감을 유발한다. 시각 예술의 관점은 근본적인데, 모든 다른 관점은 다른 각도의 선을 보기 때문이다. 이러한 관점의 변화는 이미지에 대한 다른 반응을 이끌어낸다.

직선과 비교했을 때, 곡선은 더 큰 역동성을 부여한다. 곡선은 부드러움과 연결되어 심미적으로 더 선호되는 경향이 있으며, 사진에서는 부드러운 조명과 함께 점진적인 그림자를 만들어 조화로운 선 구조를 형성한다. 곡선에는 'C'자형 곡선과 'S'자형 곡선 두 가지 주요 유형이 있다.[2]

형태는 기하학적이거나 유기적인 형태로 나타나며, 작품 내에서 가장자리에 의해 정의되는 영역이다.

3. 2. 색상

색상은 색조, 명도, 채도의 세 가지 속성을 가진다. 색조는 빨강, 노랑, 파랑 등 색상의 이름을 의미한다. 명도와 채도는 색상의 강도를 나타낸다. 채도가 높은 색상은 채도가 낮은 색상보다 더 순수하고 덜 회색을 띈다. 색상의 밝고 어두운 정도를 명도라고 한다. 색상은 감정에 영향을 미치는 힘을 가지고 있어, 분위기 조성에 활용될 수 있다. 또한 색상은 조화, 패턴, 빛, 움직임, 기호, 형태 및 대비를 표현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3. 3. 질감

질감은 물체가 실제로 느껴지는 감촉이나, 만졌을 때 느껴질 것 같은 모습을 의미한다. 질감은 물리적 또는 시각적으로 경험할 수 있다. 물리적인 질감을 만들기 위해 다양한 기법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시각 예술의 특징을 보고 느낄 수 있다. 여기에는 금속, 모래, 나무와 같은 표면이 포함될 수 있다. 시각적 질감은 물리적 질감의 환영을 만들어낼 때 발생한다. 사진, 그림, 드로잉은 더 현실적인 모습을 만들기 위해 시각적 질감을 사용한다.[21]

3. 4. 명도

명도는 빛이 물체에 반사되는 방식과 우리가 그것을 어떻게 보는지와 관련이 있다. 더 많은 빛이 반사될수록 명도는 높아진다. 흰색은 가장 높거나 밝은 명도이고 검은색은 가장 낮거나 어두운 명도이다. 색상 또한 명도를 가지며, 예를 들어 노란색은 명도가 높고 파란색과 빨간색은 명도가 낮다. 다채로운 장면을 흑백 사진으로 찍으면 명도만 남게 된다. 특히 회화와 소묘에서 중요한 디자인 요소인 명도는 예술가가 명도 대비를 통해 빛의 환영을 만들 수 있도록 한다.[6]

3. 5. 입체

입체는 길이, 너비, 높이를 가진 3차원적인 형태를 의미한다. , 피라미드, 정육면체, 원통, 원뿔과 같은 수학적인 형태는 기하학적 형태로 알려져 있다. 유기적 형태는 일반적으로 불규칙하고 비대칭적이다. 이러한 형태는 , 바위, 나무 등 자연에서 발견될 수 있지만, 건축에서도 볼 수 있다.[7] 드로잉과 회화에서 입체는 빛, 그림자, 명암, 색조를 통해 3차원 형태의 환영을 전달한다. 명암의 대비가 클수록 3차원 형태가 더 뚜렷하게 나타난다. 명암의 변화와 대비가 적은 형태는 변화와 대비가 큰 형태보다 평면적으로 보인다.

3. 6. 공간

공간은 물체 주변, 위, 그리고 내부에 있는 영역을 의미한다. 사진작가는 공간을 포착하고, 건축가는 공간을 만들며, 화가는 공간을 창조한다. 이 요소는 각 시각 예술에서 발견된다. 공간은 긍정적이거나 부정적일 수 있으며, 열려 있거나 닫혀 있을 수 있고, 얕거나 깊을 수 있으며, 2차원 또는 3차원일 수 있다. 드로잉이나 페인팅에서 공간은 실제로 존재하지 않지만, 공간의 환영은 존재한다. 긍정적 공간은 작품의 주제가 된다. 주변, 위, 그리고 내부의 빈 공간은 부정적 공간이다.

4. 조직의 원칙

조직의 원칙은 예술가가 시각 요소들을 조화롭게 배치하여 작품에 통일성을 부여하는 방법을 말한다. 이는 보는 이의 시선을 자연스럽게 이끌고 작품의 주제를 명확하게 전달하기 위해 사용된다.

예술가들은 작품의 초점을 결정하고, 그에 따라 여러 요소들을 구성한다. 이러한 요소들은 조화로운 전체, 즉 통일성을 이루도록 배열된다. 형태는 예술의 *요소*이며, 형태의 사용은 다양한 *원리*에 의해 특징지어진다.

구도를 구성하는 주요 원칙은 다음과 같다.


  • 형태와 비율: 대상의 형태와 그 비율을 어떻게 표현할 것인가를 결정한다.
  • 배치: 요소들을 어떻게 배치하고, 그 방향과 균형, 조화를 어떻게 이룰 것인가를 고려한다.
  • 균형: 작품 내 요소들이 균형 잡힌 구도로 배치되어 있을 때 시각적으로 아름답게 느껴진다.
  • 조화: 요소들이 서로 조화롭게 어우러져야 한다.
  • 색상: 색상, 명도, 채도를 활용하여 분위기를 조성하고, 조화, 패턴, 빛, 움직임, 형태, 대비 등을 표현한다.
  • 대비: 그림 내에서 밝고 어두움의 정도, 즉 명암 대비를 조절한다.
  • 리듬: 반복적인 요소를 통해 리듬감을 부여한다.
  • 조명: 빛의 방향과 강도를 조절하여 분위기를 조성하고 시선을 유도한다.
  • 반복: 요소를 반복적으로 배치하여 패턴을 만들거나 리듬감을 더한다. (패턴, 리듬, 기하학 등으로 연결된다.)
  • 원근법: 원근법을 사용하여 공간감을 표현한다.


이러한 원칙들은 서로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작용하며, 작품의 주제와 작가의 의도에 따라 다양하게 활용된다. 살바도르 달리와 같이 전통적인 구도를 파괴하고 새로운 시도를 하는 작가들도 있다.

예술 이론은 그림의 구성을 정의하고 규칙을 찾으려고 노력해왔다. 레온 바티스타 알베르티는 회화의 구성 요소를 윤곽, 빛의 분포, 구성의 세 가지로 보았다.

테오도르 제리코메두사호의 뗏목과 같이, 그림이 감정을 불러일으키는 것을 목적으로 할 때, 구성의 이론은 완전히 뒤집힐 수 있다.

4. 1. 시점

관찰자의 위치는 대상이 완전히 상상 속의 것이라 할지라도 이미지의 미학에 강력하게 영향을 미칠 수 있다.[2] 이는 그림 속 요소뿐만 아니라, 관찰자의 대상 해석에도 영향을 미친다.[2]

예를 들어, 어떤 소년을 위에서, 아마도 어른의 시선 높이에서 사진을 찍으면, 그의 체격은 작아 보인다. 아이의 시선 높이에서 찍은 사진은 그를 동등하게 대할 것이고, 아래에서 찍은 사진은 지배적인 인상을 줄 수 있다.[2] 그러므로, 사진작가는 관찰자의 위치를 선택하고 있는 것이다.

피사체가 프레임을 채울 때 더욱 극적으로 표현될 수 있다. 사물을 실제보다 더 크게 인식하는 경향이 있으며, 프레임을 채우는 것은 이러한 심리적 메커니즘을 충족시킨다.[2] 이는 배경의 방해 요소를 제거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사진에서 카메라의 위치를 변경하면 피사체가 경쟁할 방해 요소가 적거나 많아지도록 이미지를 변경할 수 있다.[2] 이는 더 가까이 다가가거나, 옆으로 이동하거나, 기울이거나, 팬하거나, 카메라를 수직으로 움직여서 달성할 수 있다.[2]

4. 2. 삼분할 법칙

삼분할 구도: 수평선이 하단 격자선에 가깝게 놓이고 어두운 영역이 왼쪽 3분의 1에 있고 과다 노출된 영역이 오른쪽 3분의 1에 있는 것을 참고하세요.


삼분할 구도는 이미지의 중요한 특징을 가로 및 세로로 이미지를 3등분하는 가로 및 세로선에 맞추어 배치하는 것이 시각적으로 즐겁다는 구도 지침이다. 목표는 피사체와 관심 영역(예: 수평선)이 이미지를 양분하는 것을 막고, 대신 이미지를 세 개의 동일한 열과 행으로 나누는 선 중 하나 근처, 이상적으로는 해당 선의 교차점 근처에 배치하는 것이다.

삼분할 구도는 황금비율의 단순화된 형태로 여겨진다. 황금비율은 역사적으로 예술가들이 구도 지침으로 사용해 온 것으로 생각되지만, 이 주장을 뒷받침할 증거는 거의 없다.

4. 3. 기타 원칙

홀수의 법칙은 이미지에서 홀수 개의 피사체가 짝수 개보다 더 흥미롭게 느껴진다는 원칙이다. 사진에 여러 피사체가 있는 경우, 3개 이상의 피사체를 포함하는 배치를 선택하는 것이 좋다. 피사체의 수가 짝수이면 이미지에 대칭성이 생기는데, 이는 부자연스러워 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중앙에 있는 인물이 이미지의 관심 대상인 두 명의 인물에 둘러싸인 모습은 보는 사람에게 더 우호적이고 편안하게 인식될 가능성이 높다.
공간의 법칙은 움직이는 피사체의 진행 방향에 여백을 두어 시각적 편안함을 주는 원칙이다. 예를 들어, 인물의 시선이 향하는 방향에 여백을 남기거나, 달리는 사람을 그릴 때 움직임을 나타내기 위해 그의 뒤가 아닌 앞에 여백을 추가하는 것이다.[1]
단순화는 불필요한 요소를 제거하여 주제에 집중하도록 하는 기법이다. 관련 없는 콘텐츠를 줄이면 시청자는 주 객체에 더 집중하게 된다. 이미지의 밝은 부분은 눈에 띄기 쉬우므로, 조명을 사용하여 불필요한 요소를 줄일 수도 있다.[2]
기하학과 대칭성에서 삼각형은 이미지 내에서 미적으로 선호되는 형태이다. 폴 세잔정물화 구성에 삼각형을 사용하여 안정감과 강인함의 느낌을 만들어냈다.[3]

일반적으로 이미지가 눈을 따라 움직이도록 유도하는 것이 보는 사람에게 더 편안하다. 이미지 A는 두 개의 산이 같은 크기로 나란히 배치되어 정적이고 흥미롭지 않다. 반면에 이미지 B는 산의 크기가 다르고, 하나는 수평선 근처에 배치되어 눈이 한쪽 산에서 다른 쪽 산으로 이동하도록 유도하여 더 흥미롭고 즐거운 이미지를 만들어낸다. 또한 자연계에서 객체는 거의 같은 크기가 아니고, 균등하게 배치되지 않기 때문에 더 자연스럽게 느껴진다.[4]

5. 한국 현대 미술에서의 구도

한국 현대 미술은 서구의 구성 원리와 한국 전통 회화의 정신을 융합하는 다양한 구도 기법을 탐구해 왔다. 사진, 설치 미술, 미디어 아트 등 다양한 매체에서 실험적인 구도가 시도되고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How to Use Leading Lines in Your Photography Composition https://www.clickand[...] 2019-02-06
[2] 서적 Understanding Composition: The Expanded Guide Ammonite Press 2015-02-21
[3] 웹사이트 What is the Definition of Color in Art? https://www.thoughtc[...] 2017-03-08
[4] 웹사이트 Element of Design: Color https://web.archive.[...] 2018-04-03
[5] 웹사이트 The Visual Elements http://www.artyfacto[...]
[6] 웹사이트 The Elements of Art-"Value" http://thevirtualins[...]
[7] 웹사이트 What Does the Term 'Form' Mean in Regards to Art? https://www.thoughtc[...] 2018-01-23
[8] 웹사이트 Exploring the Spaces Between and Within Us https://www.thoughtc[...] 2018-02-19
[9] 웹사이트 What is Space? https://www.sophia.o[...] Sophia Learning
[10] 서적 Composing Your Paintings Studio Vista "1979"
[11] 논문 The anterior bias in visual art: The case of images of animals "2011"
[12] 논문 絵画における構図変化の影響 : 印象評価と視線移動の観点から https://www.jstage.j[...]
[13] 논문 構図と顕著性に基づく写真撮影支援手法に関する研究 https://www.jstage.j[...]
[14] 논문 映像分析に基づく構図設計システムの開発 https://www.jstage.j[...]
[15] 문서 Sur les Nymphéas
[16] 서적 Première édition https://gallica.bnf.[...]
[17] 문서
[18] 웹사이트 How to Use Leading Lines in your Photography Composition https://www.clickand[...] 2019-02-06
[19] 웹사이트 What is the Definition of Color in Art? https://www.thoughtc[...] 2017-03-08
[20] 웹사이트 Element of Design: Color http://www.wcs.k12.m[...] 2019-07-01
[21] 웹사이트 The Visual Elements http://www.artyfacto[...] 2019-07-01
[22] 웹사이트 The Elements of Art-"Value" http://thevirtualins[...] 2019-07-01
[23] 웹사이트 What Does the Term 'Form' Mean in Regards to Art? https://www.thoughtc[...] 2018-01-23
[24] 웹사이트 Exploring the Spaces Between and Within Us https://www.thoughtc[...] 2018-02-19
[25] 웹사이트 What is Space? https://www.sophia.o[...] Sophia Learning 2019-07-01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