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름표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구름표범은 고양이과에 속하는 포유류로, 짙은 회색 또는 황토색 바탕에 검은색과 어두운 회색 얼룩무늬가 특징이다. 아시아 남부 지역에 분포하며, 과거에는 고양이속과 표범속의 중간 종으로 여겨졌으나, 현재는 표범아과로 분류된다. 구름표범은 나무를 잘 타는 습성을 가지고 있으며, 주로 단독 생활을 하며 야행성 또는 박명 활동을 한다. 서식지 감소와 밀렵으로 인해 개체 수가 감소하여 멸종 위기에 처해 있으며, CITES 부속서 I에 등재되어 보호받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동남아시아의 포유류 - 카얀강늘보로리스
카얀강늘보로리스는 보르네오 섬의 특정 지역에 서식하며 독특한 얼굴 가리개를 가진 늘보로리스 속의 영장류로, 유전적 분석을 통해 독립된 종으로 인정받았으나, 서식지 파괴와 불법 거래 등으로 인해 멸종 위기에 처해 국제적인 보호를 받고 있다. - 동남아시아의 포유류 - 황금자칼
황금자칼은 개과의 포유류로 유럽, 아시아에 걸쳐 분포하며, 잡식성 식단을 섭취하는 기회주의적 사냥꾼이자 청소 동물로서 인간과의 관계는 인도 민속과 신화에서 지적이고 교활한 존재로 묘사되는 등 다양하게 나타난다. - 표범아과 - 눈표범
눈표범은 고양이과 동물로 중앙아시아와 남아시아의 고산 지대에 서식하며, 길고 두꺼운 털, 큰 발, 긴 꼬리가 특징이며, 유전자 분석 결과 호랑이와 가장 가까운 종으로 밝혀졌으며, 밀렵과 서식지 파괴로 인해 개체 수가 감소하여 여러 국가에서 보호 노력이 진행 중이다. - 표범아과 - 보르네오구름표범
보르네오구름표범은 보르네오섬과 수마트라섬에 서식하는 회색빛 노란색 또는 회색 몸에 구름 모양 얼룩무늬가 있는 고양이과 포유류로, 서식지 파괴 등으로 인해 IUCN 적색 목록에 취약종으로 등재되어 국제적인 보호를 받고 있다. - 1821년 기재된 포유류 - 빈투롱
빈투롱은 사향고양이과에 속하는 포유류로, 덥수룩한 털과 잡는 꼬리가 특징이며, 인도, 네팔, 동남아시아 숲에서 서식하며, 잡식성으로 과일, 작은 동물 등을 먹고, 멸종위기종으로 보호받고 있다. - 1821년 기재된 포유류 - 큰돌고래
큰돌고래는 전 세계 온대 및 열대 해역에 서식하며 지능이 높고 사회적인 돌고래과 포유류로, 소리와 몸짓으로 의사소통하고 반향정위를 사용하며, 인간과의 다양한 상호작용을 겪고 있다.
구름표범 - [생물]에 관한 문서 | |
---|---|
지도 | |
기본 정보 | |
학명 | Neofelis nebulosa |
명명자 | 에드워드 그리피스 (1821) |
속 | 운표범속 |
종 | 구름표범 |
영명 | Clouded leopard |
기타 영명 | Mainland clouded leopard Indochinese clouded leopard |
생존 상태 | 취약 (VU) |
와싱턴 조약 | 와싱턴 조약 부속서 I |
분포 | 아시아 |
몸길이 | 68.6 ~ 108 cm |
꼬리길이 | 61 ~ 91 cm |
로마자 표기 | Unpyo |
분류 | |
계 | 동물계 |
문 | 척삭동물문 |
강 | 포유강 |
목 | 식육목 |
과 | 고양이과 |
아과 | 표범아과 |
이미지 | |
![]() | |
![]() | |
![]() | |
![]() |
2. 분류 및 계통
구름표범은 1821년 에드워드 그리피스(Edward Griffith)가 *Felis nebulosa*라는 학명으로 처음 학계에 보고하였다.[3] 이후 여러 학자들이 구름표범의 분류학적 위치에 대해 다양한 의견을 제시했다. 브라이언 호턴 호지슨(Brian Houghton Hodgson)은 1841년에 네팔산 구름표범 표본을 *Felis macrosceloides*로 제안했고,[4][5] 로버트 스윈호(Robert Swinhoe)는 1862년에 타이완산 구름표범 가죽을 Felis brachyura로 제안했다.[6] 1867년 존 에드워드 그레이(John Edward Gray)는 이 세 종을 모두 아종으로 포함하는 *Neofelis* 속을 제안했다.[7]
고양이속과 표범속의 중간적인 종으로 여겨졌으나,[79] 최근에는 표범아과로 분류된다.[73][83] 현재 *N. nebulosa*는 아종 분화에 대한 뚜렷한 증거가 부족하여 단형종으로 간주된다.[8]
2. 1. 하위 분류
과거에는 여러 아종이 제안되었으나, 현재는 아종 분화에 대한 뚜렷한 증거가 부족하여 단일 종으로 간주된다.[8] 과거에 제안되었던 아종은 다음과 같다.- 타이완구름표범 (''Neofelis nebulosa brachyurus'') - 타이완 섬에 서식했던 것으로 추정되나 멸종된 것으로 보인다.[6][80]
- ''Neofelis nebulosa macrosceloides'' - 네팔, 미얀마에 서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4][5]
- ''Neofelis nebulosa nebulosa'' - 중국 남부, 미얀마 동부에 서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3]
1821년 에드워드 그리피스(Edward Griffith)가 중국 광둥에서 가져온 표범 가죽을 바탕으로 *Felis nebulosa*를 제안했고,[3] 1867년 존 에드워드 그레이(John Edward Gray)는 이 세 종을 모두 아종으로 포함하는 속명 *Neofelis*를 제안했다.[7]
2006년에는 수마트라 구름표범이 별개의 종으로 분리되었고,[11][12] 타이완과 하이난섬의 개체군은 본토 구름표범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된다.[8]
2. 2. 계통
구름표범속은 고양이과 내에서 표범아과에 속한다. 분자 계통학적 연구에 따르면 구름표범은 약 932만 년 전에서 447만 년 전에 다른 표범아과 동물들과 분기되었다.[13] 1960년대에 구름표범과 표범속 종의 두개골을 형태학적으로 분석한 결과, 구름표범이 표범아과와 고양이과 사이의 진화적 연결고리를 형성한다는 것이 밝혀졌다.[47] 핵 DNA 분석에 따르면 구름표범은 표범아과의 다른 모든 구성원에 대한 자매군이다.[13]2006년, 보르네오섬과 수마트라섬에 서식하는 구름표범은 유전적, 형태적 차이를 근거로 별도의 종인 보르네오구름표범(''Neofelis diardi'')으로 분리되었다.[11][12]
과거에는 4종의 아종이 인정되었으나,[82][85] 2006년 유전자 분석 및 형태적 특징에 근거하여 수마트라섬과 보르네오섬의 개체군이 보르네오구름표범(''Neofelis diardi'')으로 분리되었다.[74][82][85] 2017년 이후로는 대륙 및 타이완 개체군으로 이루어진 구름표범(''Neofelis nebulosa'')에는 아종이 인정되지 않는다.[73]
과거에 인정되었던 아종은 다음과 같다.
아종명 | 학명 | 분포 지역 | 비고 |
---|---|---|---|
타이완구름표범 | Neofelis nebulosa brachyurus | 타이완 | 1983년 이후 서식이 확인되지 않아 멸종된 것으로 추정.[80] |
Neofelis nebulosa macrosceloides | 네팔, 미얀마 | ||
Neofelis nebulosa nebulosa | 중국 남부, 미얀마 동부 |
구름표범의 털은 짙은 회색 또는 황토색 바탕에 검은색과 어두운 회색 얼룩무늬가 덮여 있는 경우가 많다. 머리에는 검은 점들이 있고, 귀는 검은색이다. 부분적으로 융합되거나 끊어진 줄무늬가 눈구석에서 뺨을 지나 입가에서 목까지, 그리고 목덜미를 따라 어깨까지 이어진다. 길쭉한 얼룩무늬는 등뼈를 따라 계속되고 허리에는 하나의 중앙 줄무늬를 형성한다. 어깨 측면에 있는 두 개의 큰 어두운 회색 털 얼룩은 각각 뒤쪽으로 어두운 줄무늬가 강조되어 있으며, 이는 앞다리로 이어져 불규칙한 반점으로 흩어진다. 옆구리는 어두운 회색의 불규칙한 얼룩무늬로 표시되며, 뒤쪽에는 길고 비스듬하며 불규칙하게 굽거나 고리 모양의 줄무늬가 있다. 이러한 얼룩무늬는 구름 모양을 나타내어 영어 이름의 유래가 되었다. 아랫면과 다리는 반점이 있고 꼬리는 크고 불규칙하며 쌍으로 된 반점이 있다. 다리는 짧고 굵고 발은 넓다. 암컷은 수컷보다 약간 작다.[16]
구름표범은 네팔, 부탄, 인도의 히말라야 산기슭에서 미얀마, 방글라데시 남동부, 태국, 말레이 반도, 그리고 중국 양쯔강 이남 지역에 걸쳐 서식한다. 싱가포르와 타이완에서는 지역적으로 멸종되었다.[1]
구름표범은 주로 단독 생활을 하며, 야행성 동물이다. 초기 기록에는 구름표범이 희귀하고 비밀스러우며, 수상생활을 하고 열대우림에 서식하는 것으로 묘사된다.[17] 무선 추적 장치를 부착한 결과, 주로 야행성이었지만 박명 활동을 하는 경우도 있었다.[39] 인도 북동부에서는 해가 진 후 저녁 늦게 가장 활동적이었다.[33]
3. 형태
설골이 골화되어서 고르릉거릴 수 있다. 눈동자는 수직으로 긴 슬릿 모양으로 수축된다.[17] 홍채는 갈색 황색에서 회색 녹색이다. 멜라니즘 구름표범은 드물다. 다른 대형 고양이과 동물에 비해 다리가 다소 짧다. 뒷다리가 앞다리보다 길어서 점프와 도약 능력이 향상된다. 척골과 요골이 융합되지 않아 나무를 오르거나 먹이를 추격할 때 더 넓은 움직임 범위를 제공한다. 구름표범의 무게는 11.5kg 에서 23kg이다. 암컷의 머리부터 몸통까지 길이는 68.6cm 에서 94cm이고 꼬리는 61cm 에서 82cm이다. 수컷은 81cm 에서 108cm이고 꼬리는 74cm 에서 91cm이다.[18] 어깨 높이는 50cm 에서 55cm이다.[19]
두개골은 길고 낮으며 강한 후두골과 시상봉합이 있다. 송곳니는 매우 길고, 위쪽 송곳니는 치근 폭의 약 세 배에 달한다. 첫 번째 소구치는 일반적으로 없다.[16] 위쪽 송곳니 한 쌍의 길이는 4cm 이상이다.[18] 교합력은 송곳니 끝에서 544.3 뉴턴이고, 교합력 지수는 송곳니 끝에서 122.4이다.[20] 구름표범은 몸집에 비해 가장 큰 송곳니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종종 "현대판 검치호"라고 불린다.[17]
4. 분포 및 서식지
네팔에서는 1987년과 1988년에 구름표범이 발견되었는데, 이전에는 네팔에서 멸종된 것으로 추정되었다.[21] 그 이후로 시바푸리 나가르준 국립공원과 안나푸르나 보존 지역에서 구름표범이 기록되었다.[22][23]
인도에서는 시킴, 서벵골 북부, 트리푸라, 미조람, 마니푸르, 아삼, 나갈랜드, 아루나찰프라데시 주와 메갈라야 아열대림에서 서식한다.[26][27][28][29]
부탄에서는 로열 마나스 국립공원, 지그메 싱예 왕축 국립공원, 핍수 야생동물 보호구역, 지그메 도르지 국립공원, 프럼생글라 국립공원, 붐델링 야생동물 보호구역과 여러 비보호 지역에서 기록되었다.[34][35] 방글라데시에서는 2016년 치타공 구릉 지대의 상구 마타무하리에서 기록되었다.[36] 미얀마에서는 2015년 카렌 주의 산악림에서 카메라 트랩에 의해 처음으로 기록되었다.[37]
태국에서는 후아이 카 카엥 야생동물 보호구역의 비교적 개방적인 건조 열대림과 카오 야이 국립공원의 밀림 서식지에 서식한다.[38][39][40] 라오스에서는 남엣-푸루이 국립보호지역의 건조 상록수림과 준상록수림에서 기록되었다.[41] 캄보디아에서는 2008년과 2009년 사이에 프놈 프리치 야생동물 보호구역의 낙엽성 쌍떡잎식물림에서,[42] 그리고 2012년과 2016년 사이에 중앙 카드몬 산맥 국립공원, 남부 카드몬 국립공원, 보툼 사코르 국립공원, 프놈 삼코스 야생동물 보호구역에서 기록되었다.[43] 말레이 반도에서는 2009년과 2015년 사이에 타만 네가라 국립공원, 울루 무다 숲, 파소 숲 보호구역, 벨룸-테멩고르, 테멩고르 숲 보호구역과 몇몇 연결 지점에서 기록되었다.[44]
타이완 구름표범의 마지막 확인 기록은 1989년 타로코 국립공원에서 어린 개체의 가죽이 발견된 때이다.[45] 1997년부터 2012년까지 타이완 보호 지역 내외 1,450곳 이상에서 실시된 광범위한 카메라 트랩 조사에서는 기록되지 않았다.[46]
좁은 의미의 본 종은 인도, 네팔, 동남아시아 대륙부(인도차이나 반도·말레이 반도), 중국에 분포한다.[73]
5. 생태
구름표범은 고양잇과 동물 중 가장 나무를 잘 타는 동물 중 하나이다. 사육 상태에서는 머리부터 먼저 수직 나무줄기를 내려오고, 뒷발을 나무 가지에 구부려 매달리는 모습이 관찰되었다.[47] 회내가 가능하며, 뒷발과 꼬리를 가지에 감아 매달릴 수 있고, 최대 1.2m 높이까지 뛰어오를 수 있다.[47] 낮에는 나무 위에서 휴식을 취하지만, 밤에는 지상에서 사냥을 하기도 한다.[18]
구름표범의 울음소리는 짧고 높은 울음소리, 큰 울음소리 등이 있으며, 멀리서나 가까이서 다른 고양이를 찾으려고 할 때 낸다. 서로 친근하게 만났을 때는 푸르릉거리며 코를 치켜들고, 공격적일 때는 낮은 소리로 으르렁거리고 이빨을 드러내고 코를 찡그리며 쉿쉿거린다.[48]
먹이는 동물성으로, 느림보로리스와 긴코원숭이 등의 영장류, 기타 소형 포유류, 조류, 뱀 등을 먹는다. 큰 먹이로는 멧돼지나 사슴을 먹기도 한다.[75][78][79][80][81] 나무 위에서 먹이를 공격하거나, 나무 위에서 지면을 지나가는 먹이를 공격한다.[78][79][80][81] 가금류나 드물게 가축을 공격하기도 한다.[75] 태국에서는 폐꼬리원숭이,[51] 인도멧돼지사슴, 벵골로리스, 아시아꼬리붓쥐, 말레이천산갑 및 버드모어땅다람쥐를 사냥하는 것이 관찰되었다.[39] 중국에서는 짖는사슴과 꿩류를 먹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52] 말레이시아 북부 반도에서는 수컷 구름표범이 빈투롱을 입에 물고 있는 모습이 사진에 찍혔다.[53]
5. 1. 번식
수컷과 암컷 모두 평균 26개월에 처음으로 번식을 시작한다. 암컷은 약 6일 동안 발정기에 있으며, 발정주기는 약 30일 지속된다.[60] 야생에서는 보통 12월부터 3월 사이에 짝짓기가 이루어진다. 암수는 수일 동안 여러 번 짝짓기를 한다. 수컷은 암컷의 목을 잡는데, 암컷은 소리를 내어 반응한다. 때때로 수컷은 구애 중에 암컷을 물기도 하며, 성적 만남 중에는 매우 공격적이다. 암컷은 매년 한 번 새끼를 낳을 수 있다.[18]
암컷은 포유기간 93±6일 후에 보통 세 마리, 한두 마리에서 다섯 마리까지 새끼를 낳는다.[60] 새끼는 눈을 감고 태어나며, 무게는 140g에서 280g이다. 어두운 고리 모양이 아니라 짙은색 점이 찍혀 있다. 눈은 약 10일 후에 뜬다. 5주 안에 활동적이 되며, 약 3개월령에 완전히 젖을 뗀다. 약 6개월령에 성체의 무늬를 갖추고, 약 10개월령에 독립한다.[18]
사육 중인 구름표범의 평균 수명은 11년이다.[54] 한 개체는 거의 17년까지 살았다.[55] 구름표범의 세대시간은 약 7년이다.[56] 임신기간은 86~95일이다.[79][80] 나무구멍에 새끼를 낳으며,[78] 사육하에서는 한 번에 1~5마리(주로 2~3마리)의 새끼를 낳은 예가 있다.[80]
6. 인간과의 관계
구름표범은 넓은 면적의 숲을 필요로 한다.[57] 그러나 대규모 산림 벌채와 야생 동물 밀매를 위한 상업적 밀렵으로 서식지가 감소하면서 위협받고 있다.[61] 미얀마에서는 1991년부터 2006년까지 조사된 4개 시장에서, 미얀마에서 보호종임에도 불구하고 대부분 가죽과 골격인 최소 279마리 구름표범의 신체 부위 301개가 발견되었다. 일부 시장은 미얀마와 중국, 태국의 국경 근처에 위치하고 있어 국경을 넘나드는 밀수를 용이하게 한다.[58]
네팔에서는 1988년 11월부터 2020년 3월까지 전국 9개 지역에서 최소 51마리의 구름표범으로 구성된 27건의 구름표범 신체 부위 사례가 발견되었으며, 이 중 17건에서는 밀렵꾼과 상인들이 체포되었다.[59]
6. 1. 보존 노력

구름표범은 멸종위기에 처한 야생 동식물종의 국제거래에 관한 협약(CITES) 부속서 I에 등재되어 있다. 방글라데시, 중국, 인도, 말레이시아, 미얀마, 네팔, 타이완, 태국, 베트남에서는 사냥이 금지되어 있다.[60] 하지만 이러한 금지 조치는 인도, 말레이시아, 태국에서는 제대로 시행되지 않고 있다.[61]
미국에서는 구름표범이 멸종위기종 보호법에 따라 멸종위기종으로 지정되어 있어 살아있는 동물이나 신체 부위의 거래가 금지되어 있다.[2]
2018년부터 매년 8월 4일에는 세계 각국의 동물원과 보호 단체에서 국제 구름표범의 날을 기념하고 있다.[62]

구름표범은 20세기 초부터 동물원에서 사육되어 왔다. 1980년대에는 유럽 멸종위기종 프로그램, 종 보존 계획, 인도 보존 번식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조정된 번식 프로그램이 시작되었다. 2014년 기준으로 64개 기관에서 구름표범을 사육하고 있다.[63]
초기 구름표범 사육 번식 프로그램은 구애 행동에 대한 무지로 인해 성공적이지 못했다. 수컷은 암컷에게 공격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번식 성공을 위해서는 수컷과 암컷 구름표범의 호환성이 매우 중요한 것으로 간주되었다.[18] 어린 나이에 짝을 이루게 하면 유대감을 형성하고 성공적으로 번식할 기회를 얻는다. 구름표범을 번식시키는 시설에서는 암컷에게 은밀하고 전시되지 않는 공간을 제공해야 한다.[19] 1992년, 2015년, 2017년에 인공수정을 이용한 최근 사육 번식 성공 사례가 있다.[64]
유럽, 아시아, 호주에 있는 44개 동물원의 271마리 구름표범에 대한 질병률과 사망률 연구에 따르면, 그중 17%가 호흡기 질환으로, 12%가 어미의 무관심과 기아로, 10%가 전반적인 전염병으로, 10%가 소화기 질환으로, 10%가 외상으로 사망했다.[65]
번식 프로그램 성공 사례는 다음과 같다:
연도 | 동물원 | 새끼 수 | 비고 |
---|---|---|---|
2011년 3월 | 그래스미어 내슈빌 동물원 | 3마리 | 사육사에 의해 길러짐, 각 새끼 무게 0.23kg |
2011년 6월 | 포인트 디파이언스 동물원 및 수족관 | 2마리 | 태국 카오케오 오픈 동물원에서 온 번식쌍 |
2012년 | 그래스미어 내슈빌 동물원 | 4마리 | |
2015년 5월 | 포인트 디파이언스 동물원 및 수족관 | 4마리 |
개발로 인한 서식지 파괴, 모피나 상아를 목적으로 한 남획, 한약재, 애완용, 동물원 사육 등을 목적으로 한 남획 등으로 개체 수가 감소하고 있다.[80] 대만과 하이난섬의 개체군은 멸종된 것으로 생각된다.[80]
일본 국내에서는 1983년에 노게야마 동물원이 처음으로 사육하에서 번식에 성공했다.[79]
참조
[1]
IUCN
Neofelis nebulosa
2021-11-19
[2]
MSW3 Wozencraft
Species Neofelis nebulosa
[3]
서적
General and particular descriptions of the vertebrated animals arranged comfortably to the modern discoveries and improvements in zoology
Baldwin, Cradock & Joy
2020-11-19
[4]
학술지
Classified Catalogue of Mammals of Nepal
https://books.google[...]
2018-05-10
[5]
학술지
Felis macrosceloides
https://archive.org/[...]
1853
[6]
학술지
On the mammals of the Island of Formosa (China)
https://archive.org/[...]
1862
[7]
학술지
Notes on the skulls of cats (Felidae)
1867
[8]
학술지
A revised taxonomy of the Felidae: The final report of the Cat Classification Task Force of the IUCN Cat Specialist Group
https://repository.s[...]
2020-12-20
[9]
서적
Recherches sur les ossemens fossiles : où l'on rétablit les caractères de plusieurs animaux dont les révolutions du globe ont détruit les espèces. Volume IV: Les ruminans et les carnassiers fossiles
G. Dufour & E. d’Ocagne
2020-11-17
[10]
학술지
The classification of existing Felidae
https://archive.org/[...]
1917
[11]
학술지
Molecular evidence for species-level distinctions in clouded leopards
2006
[12]
학술지
Geographical variation in the clouded leopard, Neofelis nebulosa, reveals two species
2006
[13]
학술지
The Late Miocene radiation of modern Felidae: A genetic assessment
https://zenodo.org/r[...]
2019-09-11
[14]
서적
Biology and Conservation of Wild Felids
Oxford University Press
2019-09-16
[15]
학술지
Phylogenomic evidence for ancient hybridization in the genomes of living cats (Felidae)
2016
[16]
서적
The Fauna of British India, including Ceylon and Burma
Taylor and Francis, Ltd.
1939
[17]
서적
Wild cats of the World
Taplinger Publishing
1975
[18]
서적
Wild cats of the World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20-11-26
[19]
서적
Clouded leopard (Neofelis nebulosa) Husbandry Guidelines
http://www.cloudedle[...]
Association of Zoos and Aquariums
2013-01-27
[20]
학술지
Bite forces and evolutionary adaptations to feeding ecology in carnivores
2007
[21]
학술지
The clouded leopard in Nepal
1989
[22]
학술지
Clouded leopard in Shivapuri Nagarjun National Park, Nepal
2012
[23]
학술지
Clouded leopard camera-trapped in the Annapurna Conservation Area, Nepal
2013
[24]
학술지
Factors affecting the occurrence and activity of clouded leopards, common leopards and leopard cats in the Himalayas
2020
[25]
서적
Peaceful Co-Existence with Wildlife
Future Generations University
2022
[26]
학술지
The Clouded Leopard in Assam
1992
[27]
학술지
The clouded leopard
1996
[28]
학술지
The clouded leopard in Manipur and Nagaland
1997
[29]
학술지
The cats in North East India
2003
[30]
학술지
First photograph of a clouded leopard at Pakke Tiger Reserve, India
https://www.research[...]
2010
[31]
학술지
Assessing mammal distribution and abundance in intricate Eastern Himalayan habitats of Khangchendzonga, Sikkim, India
2011
[32]
학술지
Abundance and density estimates for common leopard Panthera pardus and clouded leopard Neofelis nebulosa in Manas National Park, Assam, India
2014
[33]
학술지
Activity patterns of the small and medium felid (Mammalia: Carnivora: Felidae) guild in northeastern India
2019
[34]
학술지
Royal Manas National Park, Bhutan: a hot spot for wild felids
2013
[35]
학술지
Identifying important conservation areas for the clouded leopard Neofelis nebulosa in a mountainous landscape: Inference from spatial modeling techniques
2018
[36]
논문
Strongholds under siege: Range-wide deforestation and poaching threaten mainland clouded leopards (''Neofelis nebulosa'')
2020
[37]
논문
First structured camera-trap surveys in Karen State, Myanmar, reveal high diversity of globally threatened mammals
2017
[38]
논문
The carnivore community in a dry tropical forest mosaic in Huai Kha Khaeng Wildlife Sanctuary, Thailand
1991
[39]
논문
Ecology of three sympatric felids in a mixed evergreen forest in North-central Thailand
2005
[40]
논문
Ecology and conservation of the leopard cat ''Prionailurus bengalensis'' and clouded leopard ''Neofelis nebulosa'' in Khao Yai National Park, Thailand
2007
[41]
논문
Temporal partitioning by felids, dholes and their potential prey in northern Laos
2020
[42]
논문
Habitat preferences and activity patterns of the larger mammal community in Phnom Prich Wildlife Sanctuary, Cambodia
2011
[43]
논문
Status and conservation significance of ground-dwelling mammals in the Cardamom Rainforest Landscape, southwestern Cambodia
2017
[44]
논문
Habitat use and predicted range for the mainland clouded leopard ''Neofelis nebulosa'' in Peninsular Malaysia
https://www.research[...]
2017
[45]
논문
The mystery of the Formosan clouded leopard
1996
[46]
논문
Is the clouded leopard ''Neofelis nebulosa'' extinct in Taiwan, and could it be reintroduced? An assessment of prey and habitat
2015
[47]
논문
Untersuchungen zur Stammesgeschichte der Pantherkatzen (Pantherinae) II: Studien zur Ethologie des Nebelparders ''Neofelis nebulosa'' (Griffith 1821) und des Irbis ''Uncia uncia'' (Schreber 1775)
https://archive.org/[...]
1968
[48]
MSc
Behavioral Assessment of the Clouded Leopard (''Neofelis nebulosa''); A Comparative Study of Reproductive Success
George Mason University
2010
[49]
논문
Ecology of the clouded leopard in Khao Yai National Park, Thailand
1999
[50]
논문
Density and movements of mainland clouded leopards (''Neofelis nebulosa'') under conditions of high and low poaching pressure
2020
[51]
논문
Sighting of a clouded leopard (''Neofelis nebulosa'') in a troop of pigtail macaques (''Macaca nemestrina'') in Khao Yai National Park, Thailand
1990
[52]
논문
Evidence of wild tigers in southwest China – a preliminary survey of the Xishuangbanna National Nature Reserve
2008
[53]
논문
First record of a clouded leopard predating on a binturong
2014
[54]
논문
Some notes on the longevity of two species of Indian wild cats in captivity
https://www.biodiver[...]
2020-04-09
[55]
웹사이트
Clouded leopard
http://www.aspinallf[...]
The Aspinall Foundation
n.d.
[56]
논문
Generation length for mammals
2013
[57]
논문
Clouded leopards, the secretive top-carnivore of South-East Asian rainforests: their distribution, status and conservation needs in Sabah, Malaysia
2006
[58]
보고서
The wild cat trade in Myanmar
https://www.traffic.[...]
TRAFFIC Southeast Asia
2020-12-20
[59]
논문
Clouded Leopard ''Neofelis nebulosa'' (Grifth, 1821) (Mammalia: Carnivora: Felidae) in illegal wildlife trade in Nepal
2020
[60]
서적
Wild Cats: Status Survey and Conservation Action Plan
IUCN/SSC Cat Specialist Group
1996
[61]
보고서
Asian big cat conservation and trade control in selected range States: evaluating implementation and effectiveness of CITES Recommendations
http://www.felidae.o[...]
TRAFFIC
2010-10-09
[62]
웹사이트
International Clouded Leopard Day
https://www.aspinall[...]
2019-08-05
[63]
서적
National Studbook of Clouded leopard (''Neofelis nebulosa''). TR. No. -2014/ 010
http://cza.nic.in/up[...]
Central Zoo Authority
2019-05-11
[64]
웹사이트
First Clouded Leopard Cub Produced with Cryopreserved Semen
https://nationalzoo.[...]
2020-11-01
[65]
논문
Clouded Leopard (''Neofelis nebulosa'') morbidity and mortality in captive-bred populations: A comprehensive retrospective study of medical data from 271 individuals in European, Asian, and Australian zoos
2020
[66]
웹사이트
Cute! Clouded Leopard Cubs Born at Nashville Zoo
http://www.livescien[...]
2011
[67]
웹사이트
Welcome Our New Clouded Leopard Cubs
http://www.pdza.org/[...]
2011
[68]
뉴스
The Nashville Zoo celebrates two sets of clouded leopard cubs
http://www.al.com/li[...]
2012
[69]
웹사이트
Four extremely rare leopards born in US zoo
http://www.rte.ie/ne[...]
2015-05-23
[70]
웹사이트
State Animals, Birds, Trees and Flowers of India
http://www.frienvis.[...]
2017-06-07
[71]
웹사이트
DZG inspired acclaimed artist
https://www.dudleyzo[...]
2016-09-06
[72]
논문
Neofelis nebulosa
2024-08-16
[73]
논문
A revised taxonomy of the Felidae. The final report of the Cat Classification Task Force of the IUCN/SSC Cat Specialist Group
https://repository.s[...]
[74]
서적
ネコ科分類リスト
誠文堂新光社
[75]
서적
スンダウンピョウ、ウンピョウ
エクスナレッジ
[76]
간행물
科学の台湾
台湾博物館協会
[77]
웹사이트
Yahoo! 辞書 - たいわんとら【台湾虎】
http://dic.yahoo.co.[...]
[78]
서적
原色ワイド図鑑3 動物
学習研究社
[79]
서적
ネコ科の分類
東京動物園協会
[80]
서적
ウンピョウ
講談社
[81]
서적
小学館の図鑑NEO 動物
小学館
[82]
논문
Molecular Evidence for Species-Level Distinctions in Clouded Leopards
Elsevier
[83]
논문
Order Carnivora
http://www.departmen[...]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84]
서적
その他の大型ネコ類
平凡社
[85]
논문
Geographical Variation in the Clouded Leopard, Neofelis nebulosa, Reveals Two Species
Elsevier
[86]
저널
The Evolution of CATS
http://sehrg.at.ua/_[...]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