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구미 가스 누출 사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구미 가스 누출 사고는 2012년 9월 27일 경상북도 구미시의 휴브글로벌 공장에서 발생한 플루오린화 수소 가스 누출 사고이다. 이 사고로 5명의 근로자가 사망하고 18명이 부상을 입었으며, 인근 지역의 농작물 피해와 가축 중독 등의 피해가 발생했다. 사고 원인은 작업자의 실수로 탱크로리 밸브가 열린 것이며, 작업자와 소방대원의 안전 장비 미착용, 정부의 미흡한 초기 대응도 문제점으로 지적되었다. 사고 이후, 정부는 사고 지역을 특별재난지역으로 지정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구미시의 역사 - 선산군
    선산군은 신라 시대부터 존재했던 경상북도 구미시 서부의 옛 행정 구역으로, 조선 시대에 선산으로 개칭 및 도호부로 승격되었고, 일제강점기 행정구역 통폐합을 거쳐 1995년 구미시와 통합되었다.
  • 대한민국의 환경재해 - 1991년 낙동강 페놀 오염 사건
    1991년 낙동강 페놀 오염 사건은 두산전자의 페놀 원액 누출로 낙동강이 오염되어 대구 시민의 상수원 페놀 수치가 급증, 사회적 파장을 일으키고 환경 감시 체계 강화와 환경 관련 법규 제정의 계기가 된 사건이다.
  • 대한민국의 환경재해 - 인천 붉은 수돗물 사건
    인천 붉은 수돗물 사건은 2020년 5월 인천 서구 등 일대에서 팔당취수장 급수 체계 변경, 노후 수도관, 미흡한 단수 조치 등으로 발생한 수돗물 적수 사태로, 인천시의 보상 노력에도 불구하고 보상 지연 및 책임 소재 논란 등의 후유증을 남겼다.
  • 2012년 산업재해 - 2012년 브라자빌 탄약고 폭발 사고
    2012년 브라자빌 탄약고 폭발 사고는 2012년 3월 4일 콩고 공화국 브라자빌에서 발생한 일련의 폭발 사건으로, 전기 합선으로 추정되며, 인근 건물 파괴, 킨샤사 충격, 콜레라 확산, 국제 사회 지원, 관련자 재판, 영화 제작 등의 영향을 미쳤다.
  • 2012년 산업재해 - 원57
    뉴욕 57번가에 위치한 원57은 익스텔 개발 회사가 개발하고 크리스티앙 드 포르장파르크가 설계한 고층 건물로, 파크 하얏트 뉴욕 호텔과 고급 콘도미니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센트럴 파크 조망을 갖춘 "억만장자의 거리"의 대표 건물 중 하나이지만, 건설 과정의 사고와 설계 비판도 있었다.
구미 가스 누출 사고
사건 정보
사건2012년 구미 가스 누출 사고
날짜2012년 9월 27일
시간15시 43분 (KST)
위치경상북도 구미시 산동면 첨단기업4로 49-16
원인근로자 실수
최초 보고자구미소방서
결과특별재난지역 선포
보고된 사망자5명
보고된 부상자18명

2. 사고 발생

2012년 9월 27일 경상북도 구미시 산동면 봉산리 구미 제4국가산업단지에 위치한 플루오린 화학 제품 생산 업체인 주식회사 휴브글로벌 구미 공장에서 플루오린화 수소 가스(일명 불산가스) 누출 사고가 발생했다. 탱크로리에서 가스를 공장 내 설비에 주입하던 중 근로자의 실수로 밸브가 열리면서 가스가 유출되었고, 이 사고로 공장 근로자 5명이 사망하고 18명이 부상을 당했다.[11]

플루오린화 수소 가스 누출 이후 신속한 조치가 이루어지지 않아 산업단지 인근 지역까지 가스가 퍼지면서 농작물이 죽고 가축이 가스 중독 증상을 보이는 등 피해가 발생했다.[12]

2. 1. 사고 원인

2012년 9월 27일경상북도 구미시 산동면 봉산리 구미 제4국가산업단지에 위치한 플루오린 화학 제품 생산 업체인 주식회사 휴브글로벌 구미 공장에서 플루오린화 수소 가스(일명 불산가스) 누출 사고가 발생했다. 이 사고는 탱크로리에서 공장 내 설비로 가스를 주입하던 중 근로자의 실수로 밸브가 열리면서 발생한 것으로,[11] 경찰의 감시 카메라 분석 결과, 탱크로리에 원료 호스와 에어 호스가 모두 연결되지 않은 상태에서 밸브가 열린 것으로 밝혀졌다.

호스를 연결하는 작업자가 균형을 잃어 밸브를 열었을 것으로 추정되며, 작업자는 화학 방호복이나 가스 마스크를 착용하지 않았다.[6] 소방대원 역시 불화수소산에 대응하는 보호구를 착용하지 않아, 중화제 살포는 다음 날까지 이루어지지 못했다.[5]

또한, 독극물 제거가 완료되기 전에 위기 경보 레벨을 낮추고 피난 주민을 귀가시킨 정부의 대응 미흡도 지적되고 있다.[7]

3. 피해 상황

2012년 9월 27일 플루오린화 수소 가스 누출 사고로 공장 근로자 5명이 사망하고 18명이 부상을 당했다.[11] 이 사고로 인근 지역까지 가스가 퍼지면서 농작물이 죽고 가축이 중독 증상을 보이는 등 피해가 속출하였다.[12]

3. 1. 피해 규모

이 사고로 휴브글로벌 작업자 4명과 펌프 수리공 1명 등 총 5명이 사망했다.[4] 소방대원 등 18명이 중상을 입었고,[5] 2012년 10월 8일까지 주변 주민 등 4195명이 진찰을 받았다.[6] 증상을 호소한 사람 중에는 현장에서 1.5km 떨어진 주민도 포함되었다.[7]

2012년 10월 5일까지 조사한 결과, 농지 135ha, 가축 2738마리가 피해를 보았고, 자동차 516대가 부식되었다.[7]

4. 정부 대응

(내용 없음)

4. 1. 초기 대응 문제점

경찰의 감시 카메라 분석 결과, 탱크로리에 원료 호스와 에어 호스가 모두 연결되지 않은 상태에서 밸브가 열린 것으로 밝혀졌다.

이 때문에 호스를 연결하던 작업자가 균형을 잃으면서 밸브가 열렸을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작업자는 화학 방호복이나 가스 마스크를 착용하지 않았다.[6]

소방대원도 불화수소산에 대응하는 보호구를 착용하지 않아, 중화제 살포는 다음 날까지 이루어지지 못했다.[5]

독극물 제거가 완료되기 전에 위기 경보 단계를 낮추고 피난 주민을 귀가시킨 정부의 미흡한 대응도 지적되고 있다.[7]

5. (주)휴브글로벌

휴브글로벌은 한국과 중화인민공화국의 합작 기업으로, 의약품, 화장품 및 전자 부품 등의 원료를 제조했다. 본사는 서울특별시에 있었다.[5]

5. 1. 과거 사고 이력

2008년 9월, 휴브글로벌은 불산, 인산, 황산, 글리세린 등을 생산하는 공장 가동을 시작했다. 공장 부지 면적은 4060m2이며, 연간 생산량은 약 9000톤이었다.[4] 2009년 6월에는 불산 50% 용액 분출 사고로 작업자가 약상을 입었다.[8]

6. 논란 및 의혹

휴브글로벌 공장 터와 관련하여, 「산업집적활성화 및 공장설립에 관한 법률」에 규정된 산업용지 매매 제한을 피하기 위해 편법을 쓴 것이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되었다.[13]

6. 1. 산업단지 입지 규제 완화 문제

사고가 일어난 휴브글로벌 공장 터는 본래 2005년 반도체 장비 제조업체가 분양받은 공장터였으나 해당 업체가 3년간 방치하다가 갑자기 공장을 설립하고 등록을 마친 지 12일만인 2008년 5월 27일 휴브글로벌에 매각, 「산업집적활성화 및 공장설립에 관한 법률」 39조에 규정된 산업용지 매매 제한을 피하기 위하여 편법을 쓴 것이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되었다.[13]

구미 제4공단은 하이테크 산업을 유치하기 위해 개발되었으나, 2008년에 입지 규제를 완화하여 다른 업종의 진출도 가능하게 했다.[5]

참조

[1] 웹사이트 早稲田大学災害情報データベース http://www.adic.wase[...]
[2] 뉴스 フッ酸漏出事故の亀尾鳳山里を「特別災難地域」に=韓国 https://japanese.joi[...] 2013-10-17
[3] 웹사이트 韓国で大規模なフッ化水素酸漏れ、近隣住民が避難 https://www.afpbb.co[...] AFP BB 2013-10-18
[4] 뉴스 Gas leak at chemical plant kills 5, injures 18 http://koreajoongang[...] 2013-10-18
[5] 웹사이트 Questions remain after huge hydrofluoric acid leak http://www.rsc.org/c[...] RSCジャーナル 2013-10-18
[6] 뉴스 フッ酸ガス事故当時の映像を公開…過失が招いた惨事=韓国 https://japanese.joi[...] 2013-10-17
[7] 뉴스 フッ酸被害拡散、患者1500人超える…韓国・亀尾 https://japanese.joi[...] 2013-10-17
[8] 뉴스 フッ酸ガス漏れ工場、3年前にも事故=韓国 https://japanese.joi[...] 2013-10-17
[9] 웹인용 화학물질 누출사고의 위해성 평가를 통한 산업단지 환경영향평가 개선방안 연구 http://library.kei.r[...]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16-06-16
[10] 뉴스 ‘불산 가스 유출 사고’ 구미 특별재난지역 선포 http://news.kbs.co.k[...] KBS 2016-06-16
[11] 뉴스 구미 공장에서 폭발 사고...23명 사상 http://www.ytn.co.kr[...] YTN 2016-06-16
[12] 뉴스 "[뉴스현장]불산가스 휩쓸고 간 상처 그대로…마을 주민들 쓸쓸한 연말" https://web.archive.[...] 채널A 2016-06-16
[13] 웹인용 "첨단단지에 어떻게 화학공장이…" 투기 의혹 https://news.naver.c[...] 한국일보 2016-06-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