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스타프 헤르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구스타프 헤르츠는 독일의 물리학자이다. 1925년 제임스 프랑크와 함께 프랑크-헤르츠 실험으로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다. 그는 베를린 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제1차 세계 대전 중에는 군 복무를 했다. 이후 여러 대학과 연구소에서 연구를 수행했으며, 나치 정권 하에서 직위를 박탈당한 후 소련에서 연구 활동을 이어갔다. 소련에서 동독으로 돌아온 후 라이프치히 대학교에서 교수로 재직했으며, 동독 물리학회 회장을 역임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양자물리학자 - 존 바딘
존 바딘은 트랜지스터와 초전도 현상에 대한 이론적 설명으로 노벨 물리학상을 두 번 수상한 미국의 물리학자로서, 트랜지스터 발명과 BCS 이론 발표를 통해 현대 전자공학과 물리학 발전에 혁신적인 기여를 했다. - 양자물리학자 - 안 륄리에
안 륄리에는 고차 고조파 발생 연구를 통해 아토초 펄스 생성 및 응용 분야를 개척하여 2023년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한 프랑스 출신의 물리학자이다. - 막스 플랑크 메달 수상자 - 난부 요이치로
난부 요이치로는 일본 태생의 미국 물리학자이며, 양자색역학, 끈 이론, 자발 대칭 깨짐 등 입자물리학 분야에 기여하여 2008년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다. - 막스 플랑크 메달 수상자 - 피터 디바이
피터 디바이는 분자 구조 및 물질의 물리적 성질 연구에 기여한 네덜란드 출신의 물리화학자로, 노벨 화학상 수상, 데바이 단위, 데바이 모델 등의 업적을 남겼으며, 나치 독일 시대 행적 논란 후 미국으로 이민하여 연구를 지속하며 현대 화학 및 물리학 발전에 영향을 미쳤다. - 유대인 노벨상 수상자 - 멜빈 캘빈
멜빈 캘빈은 광합성 과정의 탄소 고정 경로를 밝혀 1961년 노벨 화학상을 수상한 미국의 화학자로, 캘빈 순환을 규명하고 화학 생역학 연구소 설립, NASA 협력 등을 통해 과학 발전에 기여했다. - 유대인 노벨상 수상자 - 가브리엘 리프만
룩셈부르크 태생의 프랑스 물리학자이자 발명가인 가브리엘 리프만은 빛의 간섭을 이용한 컬러 사진술을 발명하고 모세관 전위계를 발명하는 등 물리학에 공헌하여 1908년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다.
구스타프 헤르츠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구스타프 루트비히 헤르츠 |
로마자 표기 | Guseutabeu Ludeubihi Hereucheu |
독일어 발음 | /ˈɡʊs.taf ˈluːt.vɪç hɛʁt͡s/ |
출생일 | 1887년 7월 22일 |
출생지 | 함부르크, 독일 제국 |
사망일 | 1975년 10월 30일 |
사망지 | 베를린, 독일 |
안장 장소 | 올스도르프 묘지 |
국적 | 독일 |
연구 분야 및 경력 | |
분야 | 물리학 |
직장 | 할레 대학교 베를린 공과대학교 라이프치히 대학교 러시아의 연구소 G 지멘스 AG 필립스 NV |
모교 | 베를린 대학교 |
박사 학위 논문 제목 | 압력 및 부분 압력에 따른 이산화탄소의 적외선 흡수 스펙트럼 |
박사 학위 년도 | 1911년 |
박사 지도 교수 | 하인리히 루벤스 |
학문적 조언자 | 막스 플랑크 |
박사 지도 학생 | 하인츠 포제 베르너 하르트만 |
알려진 업적 | 프랑크-헤르츠 실험 소련 핵무기 프로그램 |
수상 내역 | |
수상 | [[파일:Nobel Prize.png|10px]] 노벨 물리학상 (1925년) [[파일:Medal State Prize Soviet Union.png|10px]] 스탈린상 (1951년) [[파일:MaxPlanck 2DM grau.jpg|10px]]막스 플랑크 메달 (1951년) |
개인 생활 | |
배우자 | 엘렌 딜만(1919년~1941년) |
자녀 | 카를 요하네스 |
친척 | 하인리히 헤르츠 (삼촌) 한스 헤르츠 (손자) |
2. 생애
구스타프 헤르츠는 함부르크에서 태어나 하인리히 루돌프 헤르츠의 조카였다. 제1차 세계 대전에 참전하여 부상을 입었고, 여러 대학과 연구소에서 교수로 재직했다. 유대인 가계로 인해 나치 시절 어려움을 겪었으며, 제2차 세계 대전 이후에는 소련에서 연구 활동을 하다가 동독으로 돌아와 라이프치히 대학교 교수로 재직했다. 1955년부터 1967년까지 동독 물리학회 회장을 역임했으며, 1967년부터 1975년까지 명예회장을 지냈다.[4] 1975년 10월 30일 동베를린에서 88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1919년 엘렌 딜만과 결혼했으나 1941년 사별했다. 두 아들 칼 헬무트 헤르츠와 요하네스 하인리히 헤르츠는 모두 물리학자가 되었다.[6]
2. 1. 초기 생애 및 교육
구스타프 헤르츠는 함부르크에서 아우구스테(옛 성 아르닝)와 변호사 구스타프 테오도르 헤르츠(1858~1904) 사이에서 태어났으며, 하인리히 루돌프 헤르츠의 조카였다.[6] 그는 요하네움 학술학교를 졸업하고 괴팅겐 대학교(1906~1907), 뮌헨 루트비히 막시밀리안 대학교(1907~1908), 베를린 훔볼트 대학교(1908~1911)에서 수학했다. 1911년 하인리히 레오폴트 루벤스 밑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1][2]1911년부터 1914년까지 헤르츠는 베를린 대학교에서 루벤스의 조교로 일했다. 이 기간 동안 헤르츠와 제임스 프랑크는 기체에서 비탄성 전자 충돌에 대한 실험을 수행했는데,[3] 이는 프랑크-헤르츠 실험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 업적으로 1925년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다.[4]
2. 2. 제1차 세계 대전과 프랑크-헤르츠 실험
1913년 베를린 대학교 조교가 되었으나, 제1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자 징집되어 부상을 입었다. 1917년 베를린으로 돌아왔으나 원래 직위로 복귀하지 못하고 일반 기업 연구소에서 일했다.2. 3. 바이마르 공화국 시절
1925년, 헤르츠는 할레-비텐베르크 마르틴 루터 대학교 물리학 연구소의 정교수 겸 소장이 되었다. 1928년에는 베를린 공과대학교의 실험물리학 정교수 겸 물리학 연구소 소장이 되었다. 그곳에서 그는 기체 확산을 이용한 동위원소 분리 기술을 개발했다.[7] 제1차 세계 대전 당시 장교였던 헤르츠는 나치의 정책과 공무원직 복직법으로부터 일시적으로 보호받았지만, 결국 정책과 법이 더욱 엄격해졌고, 1934년 말 그는 "2차 유대인"(외조부인 구스타프 페르디난트 헤르츠(원래 이름은 다윗 구스타프 헤르츠)가 어린 시절 유대인이었고, 그의 온 가족이 1834년 루터교로 개종했었다)로 분류되어 베를린 공과대학교의 직위에서 사임해야 했다.[7] 그 후 그는 지멘스의 제2연구소 소장직을 맡았다. 그곳에서 그는 원자물리학과 초음파 연구를 계속했지만, 결국 동위원소 분리 연구는 중단했다. 그는 1945년 소련으로 떠날 때까지 이 직책을 유지했다.[2][6][8]2. 4. 나치 독일 시절
헤르츠는 1928년 베를린 공과대학교(Technische Hochschule Berlin, 현재의 베를린 공과대학교)의 실험물리학 정교수 겸 물리학 연구소 소장이 되었다. 그곳에서 그는 기체 확산을 이용한 동위원소 분리 기술을 개발했다. 제1차 세계 대전 당시 장교였던 헤르츠는 나치의 정책과 공무원직 복직법(Law for the Restoration of the Professional Civil Service)으로부터 일시적으로 보호받았지만, 결국 정책과 법이 더욱 엄격해졌고, 1934년 말 그는 "2차 유대인"으로 분류되어 베를린 공과대학교의 직위에서 사임해야 했다.[7] 그의 외조부인 구스타프 페르디난트 헤르츠(Gustav Ferdinand Hertz)(원래 이름은 다윗 구스타프 헤르츠(David Gustav Hertz))(1827-1914)가 어린 시절 유대인이었고, 그의 온 가족이 1834년 루터교로 개종했었다.[7] 그 후 그는 지멘스(Siemens)의 제2연구소 소장직을 맡았다. 그곳에서 그는 원자물리학과 초음파 연구를 계속했지만, 결국 동위원소 분리 연구는 중단했다. 그는 1945년 소련으로 떠날 때까지 이 직책을 유지했다.[2][6][8]2. 5. 소련에서의 활동
헤르츠는 자신의 안전을 걱정했고, 동료 노벨상 수상자인 제임스 프랑크처럼 미국이나 독일 이외의 다른 곳으로 이주하기를 원했다. 그래서 그는 세 명의 동료들과 계약을 맺었다. 만프레트 폰 아르덴은 그의 사설 연구소인 ''Forschungslaboratorium für Elektronenphysik''의 소장이었고, 페터 아돌프 티센은 베를린 훔볼트 대학교의 정교수이자 베를린-달렘에 위치한 카이저 빌헬름 물리화학 및 전기화학 연구소(KWIPC) 소장이었으며, 막스 볼머는 THB의 물리화학 연구소 소장이었다.[9] 이 계약은 소련과 먼저 접촉한 사람이 나머지를 대표하기로 하는 서약이었다. 그들의 계약 목표는 세 가지였다. (1) 연구소의 약탈을 막고, (2) 작업을 최소한의 중단으로 계속하며, (3) 과거의 어떤 정치적 행위에 대한 기소로부터 자신들을 보호하는 것이었다.[10] 제2차 세계 대전이 끝나기 전에, 나치당원이었던 티센은 공산주의자들과 접촉했다.[11]1945년 4월 27일, 티센은 소련군 소령이자 소련의 주요 화학자였던 인물과 함께 장갑차를 타고 폰 아르덴네의 연구소에 도착했다.[12] 협정에 참여한 네 명 모두 소련으로 끌려갔다. 헤르츠는 수후미에서 남동쪽으로 약 10km 떨어진 아구드세리(Agudzery)에 위치한, 굴립시(Gulrip'shi)의 교외 지역에 있는 G 연구소의 소장이 되었다.[12][13]
구스타프 헤르츠의 G 연구소에 할당된 과제는 다음과 같았다.
번호 | 과제 | 담당자 |
---|---|---|
1 | 불활성 기체 흐름 내 확산에 의한 동위원소 분리 | 구스타프 헤르츠 |
2 | 응축 펌프 개발 | 유스투스 뮬렌프포르트 |
3 | 우라늄의 동위원소 조성을 결정하기 위한 질량 분석기 설계 및 제작 | 베르너 슈체 |
4 | 필터용 프레임리스(세라믹) 확산 분할 개발 | 라인홀트 라이히만 |
5 | 확산 캐스케이드의 안정성 및 제어 이론 개발 | 하인츠 바르비히[12][14] |
바르비히는 지멘스에서 헤르츠의 부소장이었다.[15] G 연구소의 다른 구성원으로는 베르너 하르트만과 카를-프란츠 츠뷘케가 있었다.[16]
만프레드 폰 아르덴은 A 연구소의 소장이 되었다. 폰 아르덴네의 A 연구소의 목표는 다음과 같았다. (1) 전자기적 동위원소 분리 (폰 아르덴네가 책임자), (2) 동위원소 분리용 다공성 장벽 제조 기술 (페터 아돌프 티센이 책임자), (3) 우라늄 동위원소 분리용 분자 기술 (막스 슈텐벡이 책임자).
라브렌티 베리아와의 첫 회의에서 폰 아르덴네는 핵폭탄 제조에 참여해달라는 요청을 받았지만, 폰 아르덴네는 참여하면 독일로의 귀환이 불가능해짐을 깨닫고 동위원소 농축을 목표로 제안했고, 이는 받아들여졌다.
1940년대 말까지 수쿠미 연구소에는 거의 300명에 가까운 독일인들이 근무하고 있었으며, 그들은 전체 인력의 전부는 아니었다. A 연구소는 수쿠미의 교외 지역인 시노프에 있는 수쿠미 물리기술연구소의 기반이 되었다.[12][13] 볼머는 모스크바에 있는 9호 과학연구소(NII-9)[17]로 갔고, 그는 중수 생산을 위한 설계국을 배정받았다. A 연구소에서 티센은 동위원소 분리용 다공성 장벽 제조 기술 개발의 책임자가 되었다.[12]
1949년, 헤르츠, 티센, 바르비히를 포함한 6명의 독일 과학자들은 우라늄 농축을 담당했던 스베르들롭스크-44에 자문을 위해 초청받았다. 미국 오크리지의 기체 확산 공장보다 규모가 작았던 이 공장은 예상했던 90% 이상의 농축률의 절반 조금 넘는 수준에 그쳤다.[18]
1950년 이후 헤르츠는 모스크바로 이주했다. 1951년, 헤르츠는 바르비히와 함께 스탈린상 2등상을 수상했다.[12] 같은 해, 제임스 프랑크와 헤르츠는 독일물리학회로부터 막스 플랑크 메달을 공동 수상했다. 헤르츠는 1955년까지 소련에 머물렀다.[2]
2. 6. 동독 귀환 및 말년
헤르츠는 소련에서 돌아온 후 라이프치히 대학교의 정교수가 되었다. 1955년부터 1967년까지 동독 물리학회 회장을 역임했으며, 1967년부터 1975년까지 명예회장을 지냈다.[4] 1961년까지 라이프치히의 카를 마르크스 대학교(현 라이프치히 대학교)에서 근무했다.3. 수상 경력
4. 사회적 활동 및 유산
헤르츠는 베를린 과학 아카데미 회원, 괴팅겐 과학 아카데미 통신 회원, 헝가리 과학 아카데미 명예 회원, 체코슬로바키아 과학 아카데미 회원, 소련 과학 아카데미 외국인 회원이었다.[6]
5. 참고 문헌
- Über Zusammenstöße zwischen Elektronen und den Molekülen des Quecksilberdampfes und die Ionisierungsspannung desselben, Verh. Dtsch. Phys. Ges.|J. 프랑크 및 G. 헤르츠, 수은 증기의 전자와 분자 간 충돌 및 그 이온화 전압에 관하여, 독일 물리학회 회보|1914de, '''16''', 457–467
- 구스타프 헤르츠, ''이산화탄소의 적외선 흡수 스펙트럼과 압력 및 부분압력의 관계에 관하여 (박사 학위 논문)'' (Vieweg Braunschweig, 1911)
- 구스타프 헤르츠 (편저), ''핵물리학 교과서 I-III'' (Teubner, 1961–1966)
- 구스타프 헤르츠 (편저), ''핵물리학의 기초 및 연구 방법'' (Akademie Verlag, 1957)
- 구스타프 헤르츠, ''현대 물리학 발전에 있어서 구스타프 헤르츠'' (Akademie Verlag, 1967)
참조
[1]
서적
Über das ultrarote Adsorptionsspektrum der Kohlensäure in seiner Abhängigkeit von Druck und Partialdruck. (Dissertation).
Vieweg Braunschweig
1911
[2]
간행물
Mehra and Rechenberg
2001
[3]
논문
Über Zusammenstöße zwischen Elektronen und Molekülen des Quecksilberdampfes und die Ionisierungsspannung desselben
1914
[4]
간행물
Hentschel
1996
[5]
논문
April 1918: Five Future Nobel prize-winners inaugurate weapons of mass destruction and the academic-industrial-military complex
2004
[6]
웹사이트
Hertz – Nobel Biography
http://nobelprize.or[...]
[7]
논문
Juden wider Willen – Wie es den Nachkommen des Physikers Heinrich Hertz im NS-Wissenschaftsbetrieb erging
http://www.juedische[...]
2008-01-04
[8]
간행물
Hentschel
1996
[9]
웹사이트
Zur Ehrung von Manfred von Ardenne
http://www.sachsen.d[...]
[10]
간행물
Heinemann-Grüder
2002
[11]
간행물
Hentschel
1996
[12]
간행물
Oleynikov
2000
[13]
간행물
Naimark
1995
[14]
간행물
Kruglov
2002
[15]
간행물
Naimark
1995
[16]
간행물
Maddrell
2006
[17]
간행물
Oleynikov
2000
[18]
간행물
Holloway
199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