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구이도발도 2세 델라 로베레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구이도발도 2세 델라 로베레는 프란체스코 마리아 1세 델라 로베레와 엘레오노라 곤차가의 아들로, 1538년 아버지가 암살당한 후 우르비노 공작이 되었다. 그는 베네치아 공화국으로부터 군대 지휘관 직책을 받았으며, 파노의 교황령 총독과 교회군 총사령관을 역임했다. 1559년에는 사위 베르나르도 산세베리노를 돕기 위해 스페인 군주를 위해 오스만 튀르크와 전쟁을 벌였으며, 1573년 우르비노에서 발생한 반란을 진압했다. 구이도발도 2세는 페라라와 페사로를 여행한 후 1574년에 사망했으며, 그의 아들 프란체스코 마리아 2세 델라 로베레가 우르비노 공작위를 계승했다. 그는 줄리아 다 바라노와 결혼했으나 자녀는 없었고, 비토리아 파르네세와 재혼하여 세 명의 자녀를 두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우르비노 출신 - 발렌티노 로시
    발렌티노 로시는 이탈리아의 모터사이클 레이서로, 모토GP에서 7번의 우승을 기록하며 1996년 그랑프리에 데뷔하여 2001년부터 2009년까지 7번의 월드 챔피언십 타이틀을 획득하고 2021년 은퇴 후 자동차 경주에 참여했다.
  • 우르비노 출신 - 안토니오 2세 다 몬테펠트로
    안토니오 2세 다 몬테펠트로는 14세기 말에서 15세기 초 이탈리아의 콘도티에로이자 우르비노 백작이며, 몬테펠트로 가문 출신으로 우르비노를 통치했으나, 기록 부족으로 자세한 생애는 알려져 있지 않다.
  • 우르비노 공작 - 페데리코 다 몬테펠트로
    페데리코 다 몬테펠트로는 15세기 이탈리아의 우르비노 공작이자 뛰어난 용병대장이었고, 르네상스 시대의 예술과 인문주의를 후원하여 우르비노 궁정을 문화 중심지로 만들었으며, 피에로 델라 프란체스카를 비롯한 예술가들을 후원했다.
  • 우르비노 공작 - 로렌초 2세 데 메디치
    로렌초 2세 데 메디치는 1492년 피렌체에서 태어나 메디치 가문의 일원으로 피렌체의 영주와 우르비노 공작을 지냈으며, 마들렌 드 라 투르 도베르뉴와의 결혼으로 딸 카트린 드 메디시스를 두었으나 27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 델라 로베레가 - 펠리체 델라 로베레
  • 델라 로베레가 - 비토리아 델라 로베레
    비토리아 델라 로베레는 우르비노 공국의 공주이자 토스카나 대공국의 대공비로서 델라 로베레 가문의 마지막 후계자였으며, 가문의 예술 컬렉션을 메디치 가문에 상속하여 예술품 보존에 기여했고, 코시모 3세 데 메디치를 통해 토스카나 대공국에 영향력을 행사했다.
구이도발도 2세 델라 로베레 - [인물]에 관한 문서
인물 사진
티치아노의 초상화, 1545년
기본 정보
이름구이도발도 2세 데 della 로베레
작위우르비노 공작
통치 기간1538년 10월 20일 – 1574년 9월 28일
이전 통치자프란체스코 마리아 1세
다음 통치자프란체스코 마리아 2세
출생일1514년 4월 2일
출생지우르비노 공국, 우르비노
사망일1574년 9월 28일
사망지우르비노 공국, 페사로
배우자줄리아 다 바라노
배우자 2비토리아 파르네세
자녀비르지니아, 그라비나 공작부인
자녀 2프란체스코 마리아 2세, 우르비노 공작
자녀 3이사벨라, 비시냐노 공주
자녀 4라비니아, 프랑카빌라 공주
가문로베레 가문
아버지프란체스코 마리아 1세 데 della 로베레
어머니엘레오노라 곤차가

2. 생애

프란체스코 마리아 1세 델라 로베레와 엘레오노라 곤차가의 아들로 태어난 구이도발도 2세는 줄리아 다 바라노와 혼인하였으나 자식은 없었다. 1538년 아버지가 암살당하자 우르비노 공작이 되었다.[1]

1546년, 이탈리아 전쟁에서 용맹한 사령관이었던 아버지의 뒤를 이어 베네치아 공화국으로부터 군대 지휘관직(Governatore)을 받았다. 1547년 줄리아 다 바라노가 사망한 후, 1548년 비토리아 파르네세와 재혼했다. 이후 파노의 교황령 총독 및 교황령 군대 총사령관인 교회군 총사령관직을 수여받았다.

1559년, 구이도발도 2세는 자신의 사위인 베르나르도 산세베리노를 돕기 위해 스페인에 고용되어 오스만 튀르크를 상대로 전쟁을 치렀다.

1573년 1월 1일, 과도한 세금으로 인해 우르비노에서 반란이 일어났고, 구이도발도 2세는 이를 철저하게 진압하였다.

페라라페사로를 여행하던 중 병에 걸린 그는 1574년에 사망하였고, 아들 프란체스코 마리아 2세 델라 로베레가 우르비노 공작직을 계승하였다.

2. 1. 초기 생애

구이도발도 2세는 프란체스코 마리아 1세 델라 로베레와 엘레오노라 곤차가의 아들로 태어났다.[1] 1535년, 교황의 금지에도 불구하고 카메리노 공작과 카테리나 치보의 딸인 줄리아 다 바라노와 결혼했다. 줄리아 다 바라노와의 결혼에 대한 대응으로, 교황 바오로 3세는 구이도발도, 그의 신부 줄리아, 그리고 그의 장모 카테리나 치보를 파문했다. 이후 카메리노 공작으로 즉위하자, 바오로 3세는 공국을 금지령에 처했다. 아버지의 암살 이후, 1538년에 구이도발도는 우르비노 공작이 되었다.[1]

구이도발도와 줄리아는 버지니아 바라나 델라 로베레라는 자녀를 두었으며, 버지니아는 페데리코 보로메오와 결혼했다.

2. 2. 우르비노 공작 즉위

프란체스코 마리아 1세 델라 로베레와 엘레오노라 곤차가의 아들로 태어났다. 아버지 프란체스코 마리아 1세가 암살당하자 1538년에 우르비노 공작이 되었다.

1546년 이탈리아 전쟁 동안 용맹한 사령관이었던 아버지 덕분에 베네치아 공화국에게서 군대 지휘관직(Governatore)을 받았다. 1547년 첫번째 부인 줄리아 다 바라노가 사망하자, 1548년에 파르마 공작 피에르 루이지 파르네세의 딸인 비토리아 파르네세와 재혼했다. 이후 파노의 교황령 총독이 되었고, 교황령 군대의 총사령관인 교회군 총사령관직도 받았다.

1559년 베르나르도 산세베리노(구이도발도 2세의 사위)를 돕기 위해, 스페인의 군주에게서 고용되어 오스만 튀르크를 상대로 전쟁을 치렀다.

1573년 1월 1일, 막대한 세금으로 인해 우르비노에서 구이도발도 2세를 상대로 반란이 일어났고, 그는 이 반란을 철저하게 진압하였다.

페라라페사로를 여행한 뒤 병에 걸려 1574년에 사망하였다. 그의 아들 프란체스코 마리아 2세 델라 로베레가 우르비노 공작직을 계승하였다.

2. 3. 군사 경력

1546년 구이도발도 2세는 이탈리아 전쟁 동안 용맹한 사령관이었던 그의 아버지 프란체스코 마리아 1세 델라 로베레의 뒤를 이어 베네치아 공화국에게서 군대 지휘관직(Governatore)을 받았다.[1] 그는 갑옷 제작자인 바르톨로메오 캄피를 고용하여 갑옷을 제작하게 했다.[1]

이후 그는 파노의 교황령 총독이 되었고, 교황령 군대의 총사령관인 교회군 총사령관직을 수여받기도 했다.

1559년 그는 베르나르도 산세베리노(구이도발도 2세의 사위)를 돕기 위해, 스페인에게 고용되어 오스만 튀르크를 상대로 전쟁을 치렀다.

1573년 1월 1일, 막대한 세금으로 인해 우르비노에서 구이도발도 2세를 상대로 반란이 일어났고, 그는 반란을 철저하게 진압하였다.

2. 4. 우르비노 반란과 진압

1573년 1월 1일, 과도한 세금으로 인해 우르비노에서 구이도발도 2세를 상대로 반란이 일어났다.[1] 그는 이 반란을 유혈 사태도 불사하며 철저하게 진압하였다.[1]

2. 5. 죽음

페라라에서 페사로로 가는 길에 중병에 걸려 급사했다. 그의 아들 프란체스코 마리아 2세 델라 로베레가 우르비노 공작직을 계승하였다.

3. 가족 관계

wiki

배우자자녀
줄리아 다 바라노 (1547년 사망)
비토리아 파르네세 (1548년 재혼)



구이도발도 2세는 프란체스코 마리아 1세 델라 로베레와 엘레오노라 곤차가의 아들이었다. 그는 두 번 결혼하였다. 첫 번째 부인은 카메리노 공작의 딸인 줄리아 다 바라노였고, 슬하에 딸 비르지니아가 있었다. 두 번째 부인은 파르마 공작 피에르 루이지 파르네세의 딸인 비토리아 파르네세였으며, 프란체스코 마리아 2세 델라 로베레, 이사벨라, 라비니아를 낳았다.

3. 1. 첫 번째 결혼

구이도발도 2세는 프란체스코 마리아 1세 델라 로베레와 엘레오노라 곤차가의 사이에서 태어났다. 1535년, 교황의 금지에도 불구하고 카메리노 공작과 카테리나 치보의 딸인 줄리아 다 바라노와 결혼했다. 그러나 부부 사이에 자식은 없었다.[1]

줄리아와의 결혼에 대한 대응으로, 교황 바오로 3세는 1535년에 구이도발도, 그의 신부 줄리아, 그리고 그의 장모 카테리나 치보를 파문했다.

구이도발도와 줄리아는 비르지니아 바라나 델라 로베레라는 딸을 두었으며, 비르지니아는 페데리코 보로메오와 결혼했다. 그의 아버지가 암살당하자, 구이도발도는 1538년에 우르비노 공작이 되었다.[1]

3. 2. 두 번째 결혼

1547년 줄리아 다 바라노가 사망하자, 구이도발도 2세는 1548년에 파르마 공작 피에르 루이지 파르네세의 딸인 비토리아 파르네세와 재혼했다. 이후 그는 파노의 교황령 총독이 되었고, 교황령 군대의 총사령관인 교회군 총사령관 직을 수여받기도 했다.

구이도발도 2세와 비토리아 파르네세 사이에는 다음과 같은 자녀들이 있었다.

이름출생-사망비고
프란체스코 마리아 2세1549년 - 1631년우르비노 공작, 루크레치아 데스테와 결혼
이사벨라제6대 비지냐노 공작 베르나르도 산세베리노스와 결혼
라비니아바스토 후작 알폰소 펠리체 다발로스와 결혼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