엘레오노라 곤차가 델라 로베레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엘레오노라 곤차가는 프란체스코 2세 곤차가와 이사벨라 데스테의 딸로, 1509년 우르비노 공작 프란체스코 마리아 1세 델라 로베레와 결혼했다. 그녀는 예술 후원자였으며, 피에트로 벰보, 발다사레 카스틸리오네 등과 교류했다. 티치아노가 그린 초상화의 모델이기도 하다. 엘레오노라는 13명의 자녀를 두었으며, 구이도발도 2세 델라 로베레, 이폴리타 델라 로베레, 엘리사베타 델라 로베레, 줄리아 펠트리아 델라 로베레, 줄리오 델라 로베레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우르비노 공작부인 - 바티스타 스포르차
바티스타 스포르차는 페사로의 군주 알레산드로 스포르차의 딸로, 우르비노 공작 페데리코 다 몬테펠트로와 결혼하여 섭정으로 활동했으며, 인문주의 교육을 받고 1472년 산후병으로 사망했다. - 우르비노 공작부인 - 엘리사베타 곤차가
엘리사베타 곤차가는 만토바 후작의 딸이자 우르비노 공작의 부인으로, 르네상스 문화 발전에 기여했으며, 남편 사후 섭정을 맡았으나 추방당했고, 《궁정론》의 주요 등장인물로 알려져 있다. - 델라 로베레가 - 펠리체 델라 로베레
- 델라 로베레가 - 비토리아 델라 로베레
비토리아 델라 로베레는 우르비노 공국의 공주이자 토스카나 대공국의 대공비로서 델라 로베레 가문의 마지막 후계자였으며, 가문의 예술 컬렉션을 메디치 가문에 상속하여 예술품 보존에 기여했고, 코시모 3세 데 메디치를 통해 토스카나 대공국에 영향력을 행사했다.
엘레오노라 곤차가 델라 로베레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엘레오노라 곤차가 |
원어 이름 | Eleonora Gonzaga (엘레오노라 곤차가) |
작위 | 울비노 공비 |
출생일 | 1493년 12월 31일 |
출생지 | [[File:Flag of the Margraviate of Mantua (1328–1575).svg|border|25x20px]] 만토바 후국, 만토바 |
사망일 | 1570년 2월 13일 |
사망지 | [[File:Flag of Duchy of Urbino.svg|25x20px]] 울비노 공국, 울비노 |
매장지 | [[File:Flag of Duchy of Urbino.svg|25x20px]] 울비노 공국, 울비노, 산타 키아라 수도원 |
가문 | 곤차가 가문 |
결혼과 가족 | |
결혼일 | 1509년 9월 25일 |
배우자 | 울비노 공 프란체스코 마리아 1세 |
자녀 | 구이도발도 2세 이폴리타 이사벨라 줄리아 줄리오 |
아버지 | 만토바 후작 프란체스코 2세・곤차가 |
어머니 | 이사벨라 데스테 |
2. 생애
엘레오노라 곤차가는 프란체스코 2세 곤차가와 이사벨라 데스테의 7 자녀 중 첫째로 태어났다. 그녀의 아버지는 난봉꾼이였고, 어머니는 유명한 예술 후원가였다. 1509년 9월 25일 그녀는 교황 율리오 2세의 조카이자 세네갈리아와 소라 공작 조반니 델라 로베레의 아들 우르비노 공작 프란체스코 마리아 1세 델라 로베레와 혼인했다. 그들은 아들 둘, 딸 셋을 가졌다.
엘레오노라 곤차가는 프란체스코 마리아 1세 델라 로베레와의 사이에서 13명의 자녀를 두었다.[4][5]
남편의 추방으로 인한 우르비노 내의 상황을 책임지던 엘레오노라는 자신의 권역을 통해 중요한 예술 후원자였다. 높은 수준의 교육을 받은 공작의 딸로서, 피에트로 벰보, 야코포 사돌레토, 발다사레 카스틸리오네, 토르콰토 타소등과 친구였다. 티치아노는 1537년에 공식적으로 한 차례, 남편의 초상화를 그리러왔다가 같이 그녀의 초상화를 그렸지만, 그림 속 그녀의 얼굴은 같은 시기에 그린 티치아노의 그림 세 작품에서도 볼 수 있는 것이였다:《라 벨라》, 《가죽 외투를 걸친 소녀》, 그녀의 아들 구이도발도 2세가 주문한 것으로 보이는 《우르비노의 비너스》이다.
3. 자녀
3. 1. [[구이도발도 2세 델라 로베레]] (1514년-1574년)
엘레오노라 곤차가 델라 로베레와 프란체스코 마리아 1세 델라 로베레 사이에서 태어난 장남이다. 1514년 4월 2일에 태어났으며, 줄리아 바라노와 혼인하여 자녀를 가졌고, 이후 피에르 루이지 파르네세의 딸 비토리아 파르네세와 재혼하여 자녀를 가졌다. 마리아 테레사 키보말라스피나의 조상이다. 1574년 9월 28일에 사망했다.
3. 2. 이폴리타 델라 로베레 (1515년-1561년)
엘레오노라 곤차가 델라 로베레는 남편과의 사이에서 5명의 자녀를 두었으며, 이들 중 이폴리타 델라 로베레(1525년-1561년)는 몬탈토 공작 안토니오 다라곤과 결혼하였다. 안토니오 다라곤은 나폴리 왕 페르디난도 1세의 서자였다.
3. 3. [[엘리사베타 델라 로베레]] (1529년-1561년)
엘레오노라 곤차가와 프란체스코 마리아 1세 델라 로베레 사이에는 13명의 자녀가 태어났으며, 그 중 엘리사베타 델라 로베레는 1529년에 태어나 1561년 6월 6일에 사망했다. 그녀는 마사 후작 알베리코 1세 치보-말라스피나와 혼인하여 자녀를 가졌으며, 마리아 테레사 치보-말라스피나의 조상이다.
3. 4. [[줄리아 펠트리아 델라 로베레]] (1531년-1563년)
엘레오노라 곤차가는 프란체스코 마리아 1세 델라 로베레와의 사이에서 여러 자녀를 두었으며, 그 중 성인이 된 자녀는 5명이다. 구이도발도 2세 델라 로베레(1514년-1574년)는 우르비노 공작이 되었고, 이폴리타(1525년-1561년)는 몬탈토 공작 안토니오 다라곤과 결혼했다. 이사벨라(1529년-1561년)는 마사-카라라 공작 알베리코 1세 치보-마라스피나와 결혼했다. 줄리아(1531년-1563년)는 1549년에 몬테키오 후작 알폰소 데스테와 혼인하였다. 줄리오(1553년-1578년)는 추기경이 되었다.
3. 5. [[줄리오 델라 로베레]] (1533년-1578년)
엘레오노라 곤차가와 프란체스코 마리아 1세 델라 로베레 사이에서 태어난 아들로, 1533년에 태어났다.[5] 추기경이 되었으며, 이후 사생아인 이폴리토와 줄리오를 두었다.[5]
참조
[1]
서적
Women, Art and Architectural Patronage in Renaissance Mantua: Matrons, Mystics and Monasteries
Routledge
2016
[2]
서적
Nuovo dizionario istorico: ovvero, Istoria in compendio
Michele Morelli
1794
[3]
문서
ELEONORA Gonzaga, duchessa di Urbino
Dizionario Biografico degli Italiani
1993
[4]
문서
Later legitimised and named Marchese di San Lorenzo
[5]
문서
이후 적벌화되어 산로렌초 후작으로 임명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