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한국교통대학교 의왕도서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국립한국교통대학교 의왕도서관은 1980년 철도전문대학 도서관으로 개관하여, 1985년 의왕시로 이전했다. 2003년 철도도서관으로, 2005년 학술정보관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가 2011년 도서관과 전산정보관으로 분리되었다. 2012년 한국철도대학이 한국교통대학교로 통합되면서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되었다. 종합자료실, 참고자료실, 정기간행물실, 열람실을 운영하며, 2023년 5월 기준 71,128권의 장서를 보유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의왕시의 단체 - 내손도서관
내손도서관은 1999년 임시 개관 후 2000년 정식 개관하여 2007년 포일동으로 이전, 재개관했으며 자료실, 열람실, 시청각실, 문화강좌실 등의 시설을 갖춘 도서관으로 요일에 따라 운영 시간이 다르며 매주 월요일과 법정 공휴일은 휴관한다. - 의왕시의 단체 - 의왕시글로벌도서관
의왕시글로벌도서관은 2010년 9월에 개관하여 영어 및 한글 자료실, 북카페, 강당 등의 시설을 갖춘 도서관으로, 매주 금요일 및 공휴일에 휴관하며 평일과 주말 운영시간이 다르다. - 대한민국의 대학 도서관 - 서울대학교 중앙도서관
서울대학교 중앙도서관은 1946년 개교와 함께 설립되어 1975년 관악캠퍼스로 이전하면서 여러 분관을 통합, 현재 본관, 관정관 및 9개의 분관으로 운영되며 대한민국 대학도서관 중 최대 규모의 시설과 500만여 권의 단행본을 포함한 풍부한 장서를 보유하고 있다. - 대한민국의 대학 도서관 - 국립강릉원주대학교 원주도서관
국립강릉원주대학교 원주도서관은 1971년 원주간호고등기술학교 도서실로 시작하여 원주캠퍼스의 학술 정보 지원을 담당하며 약 63만 권의 자료를 소장하고 있다. - 경기도의 도서관 - 법원도서관
법원도서관은 법원조직법에 의해 설치된 대법원 직속 도서관으로, 1972년 법원행정처 도서과에서 시작하여 1981년 법원도서관으로 승격되었으며, 2023년 기준 29만 권 이상의 도서를 소장하고 관련 문헌을 제공한다. - 경기도의 도서관 - 과천시정보과학도서관
과천시정보과학도서관은 경기도 과천시에 있는 도서관으로, 매주 금요일, 국경일, 법정공휴일, 개관기념일(5월 16일)에 휴관하며, 관장 판단이나 도서관 사정으로 시장 승인 시 임시 휴관할 수 있다.
국립한국교통대학교 의왕도서관 - [지명]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한국교통대학교 의왕도서관 |
전신 | 철도도서관 |
구분 | 분관 |
운영 기관 | 한국교통대학교 |
개관 | 1980년 3월 |
국가 | 대한민국 |
소재지 | 경기도 의왕시 철도박물관로 157 |
홈페이지 | 한국교통대학교 도서관 |
사이트 설명 | 한국교통대학교 도서관 |
2. 역사
1980년 3월 철도전문대학 도서관 설치와 함께 개관하였다.[1] 1985년 8월 5일 철도전문대학이 경기도 의왕시 부곡교육단지로 이전하면서 도서관도 함께 이전하였다.[2] 1995년 8월 4일 철도전문대학 본관 건물이 1개 층 증축되면서 본관 4층으로 이전하였다.[2] 1999년 3월 1일 한국철도대학으로 교명이 변경되었다.[2] 2003년 8월 도서관 명칭이 '''철도도서관'''으로 변경되었다.[1] 2005년 9월 1일 철도도서관, 전자계산소, 100주년기념관이 '''학술정보관'''으로 통합되었다.[1] 2011년 4월 15일 학술정보관은 도서관과 전산정보관으로 분리되었다.[1] 2012년 3월 1일 한국철도대학이 한국교통대학교로 통합됨에 따라[2] 도서관 명칭이 '''한국교통대학교 의왕도서관'''으로 변경되었다.[1]
2. 1. 설립 초기 (1980-1999)
1980년 3월, 철도전문대학에서 도서관을 설치하면서 개관하였다.[1] 1985년 8월 5일, 철도전문대학이 경기도 의왕시 부곡교육단지로 이전하면서[2] 도서관도 함께 이전하였다.[1] 1995년 8월 4일, 철도전문대학 본관 건물이 1개 층 증축되면서 본관 4층으로 이전하였다.[2] 1999년 3월 1일, 철도전문대학 교명이 한국철도대학으로 변경되었다.[2]2. 2. 명칭 변경 및 통합 (2003-2011)
2003년 8월, 도서관 명칭이 '''철도도서관'''으로 변경되었다.[1] 2005년 9월 1일, 철도도서관, 전자계산소, 100주년기념관이 '''학술정보관'''으로 통합되었다.[1] 2011년 4월 15일, 학술정보관은 도서관과 전산정보관으로 분리되었다.[1]2. 3. 한국교통대학교 의왕도서관 (2012-현재)
2012년 3월 1일, 한국철도대학이 한국교통대학교로 통합됨에 따라[2] 도서관 명칭이 '''한국교통대학교 의왕도서관'''으로 변경되었다.[1]3. 이용 안내
이 섹션에서는 국립한국교통대학교 의왕도서관 이용에 관한 전반적인 내용을 다룬다. 자료 대출, 실별 안내 등 자세한 내용은 하위 문단을 참고하면 된다.
3. 1. 이용 시간
3. 2. 자료 대출
의왕도서관의 자료 대출 규정은 다음과 같다.[4]
도서관 내 모든 자료는 자유롭게 열람 및 검색할 수 있다. 도서를 대출하려면 ID 카드(학생증)와 도서를 함께 대출 창구에 제출하여 절차를 거쳐야 한다. 도서 대출증은 학생증으로 통합 사용하며, 대출 시 항상 소지해야 한다. 대출한 책은 기일 내에 반납해야 하며, 반납 연체 시 연체 기간만큼 대출이 중지된다. 대출한 도서는 1회에 한하여 연장(재대출)할 수 있으나, 연체했거나 다른 이용자가 대출 예약한 경우에는 재대출할 수 없다.[4]
3. 3. 실별 안내
종합자료실에는 7만여 권의 자료가 소장되어 있어 이용자가 서가에서 자유롭게 자료를 열람할 수 있으며, 필요한 자료를 대출해 갈 수 있다. 종합자료실의 자료는 한국십진분류법(KDC)에 의해 배열되어 있으며, 철도 및 교통에 관련한 자료는 특별히 따로 구분하여 배열되어 있다. 종합자료실에는 메모지나 노트 외에 가방이나 기타 소지품은 가지고 들어갈 수 없다.[1]참고자료실 및 정기간행물실에 비치되어 있는 자료는 이용자가 자료를 서가에서 자유롭게 열람할 수는 있으나, 일반 도서와 달리 관외 대출이 허용되지 않으며, 실 내에 비치되어 있는 복사기로 필요한 자료를 복사하여 이용할 수 있다. 비치된 자료는 참고자료인 백과사전, 연감, 인명사전, 각 국어사전, 석·박사 학위논문, 대학 요람 등이 있고, 정기간행물로는 국내외에서 발행되는 철도 관련 및 각 전공별 학술지 및 교양지, 일간 신문 등이 있다.[1]
열람실은 학생들이 학습에 전념할 수 있도록 쾌적한 냉난방 시설을 갖추고 있으며, 시험 기간 중에는 24시간 개방한다. 열람실은 여러 학생들이 같이 사용하는 곳으로 책이나 기타 소지품을 계속 두고 다닐 수 없으며, 정숙한 면학 분위기를 위하여 음식물 반입을 금지하고 있다.[1]
4. 장서 현황
Total영어 71,128권
참조
[1]
웹인용
의왕도서관 연혁
http://chains.ut.ac.[...]
2015-10-27
[2]
보고서
통계연보(제18호)
http://www.ut.ac.kr/[...]
한국교통대학교
2014-11
[3]
웹인용
의왕도서관 이용시간
http://chains.ut.ac.[...]
2015-10-27
[4]
웹인용
대출 및 반납
http://chains.ut.ac.[...]
2015-10-2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