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수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국수역은 1939년 4월 1일 영업을 시작하여, 1958년 보통역으로 승격된 경의·중앙선 전철역이다. 2면 4선의 쌍섬식 승강장을 갖춘 지상역으로, 인근에 양평전자과학고등학교 등이 위치해 있다. 2008년 수도권 전철 중앙선 개통과 함께 철도승차권 단말기가 철거되었으며, 2009년 국수~용문 구간 연장 개통으로 중간역이 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양평군의 전철역 - 지평역
지평역은 경기도 양평군 지평면에 위치한 한국철도공사 소속의 경의·중앙선 철도역으로, 1940년 보통역으로 시작해 한국 전쟁 이후 재건 및 현대화를 거쳐 2017년 전철역이 되었으며, 2면 4선의 쌍섬식 승강장에서 경의·중앙선 전철, 무궁화호, 누리로, ITX-새마을호 등이 정차한다. - 양평군의 전철역 - 용문역 (양평)
용문역은 경기도 양평군 용문면에 위치한 철도역으로, 1914년 용문면 명칭에서 유래하여 1941년 보통역으로 시작, 한국 전쟁으로 역사가 소실되었다가 복구되었으며, 2009년 수도권 전철 중앙선 개통과 함께 전철역이 되었다. - 1939년 개업한 철도역 - 화랑대역 (폐역)
화랑대역(폐역)은 경춘선의 철도역으로 1939년 태릉역으로 영업을 시작해 2010년 폐역되었으며, 폐역 후 국가등록문화재로 지정되어 철도공원으로 조성, 증기 기관차 등과 함께 보존, 전시되고 있다. - 1939년 개업한 철도역 - 춘천역
춘천역은 강원도 춘천시에 위치한 한국철도공사의 철도역으로, 수도권 전철 경춘선과 ITX-청춘이 정차하며, 1939년 보통역으로 영업을 시작해 한국 전쟁 후 재건되었고, 2027년 춘천속초선 개통으로 교통 허브로 발전할 예정이다. -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의 역 - 효창공원앞역
**핵심 정보:** * 효창공원앞역은 서울 지하철 6호선과 경의·중앙선의 환승역이다. * 1929년 개통된 후 개명과 폐지 후, 2000년 6호선이 개통되었고, 2016년 경의·중앙선이 개통하여 현재의 환승역이 되었다. * 6호선은 섬식 승강장, 경의·중앙선은 상대식 승강장을 갖추고 있다. **요약:** 효창공원앞역은 서울 지하철 6호선과 경의·중앙선의 환승역으로, 1929년 개통 후 폐지되었다가 2000년 6호선, 2016년 경의·중앙선이 개통하면서 현재의 환승역이 되었으며, 6호선은 섬식, 경의·중앙선은 상대식 승강장을 갖추고 있다. -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의 역 - 용산역
용산역은 대한민민국의 철도역으로, KTX 호남고속철도 개통 이후 용산역은 호남선, 전라선, 장항선의 주요 출발역으로, 현재는 수도권 전철 1호선, 경의선, 경원선과 같은 열차를 포함한 다양한 고속 및 일반 열차를 운행하며, 대형 복합쇼핑몰인 아이파크몰과 연결되어 있습니다.
국수역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역 정보 | |
![]() | |
주소 | 경기도 양평군 양서면 국수역길 45 (국수리 258-25) |
좌표 | 127.39939 |
운영 기관 | 한국철도공사 |
노선 |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
승강장 | 2면 4선 |
구조 | 지상역 |
개업일 | 1939년 4월 1일 |
역 번호 | K132 |
한국어 역명 | |
한글 | 국수역 |
한자 | 秀 |
로마자 표기 | Guksu-yeok |
역 종류 | |
역 등급 | 보통역 |
역 등급 | 3급 |
노선 정보 | |
노선 |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정식 노선명: 중앙선) |
영업 거리 | 청량리 기점 38.8 km, 용산 기점 51.5 km, 임진강 기점 105.0 km |
이전 역 | K131 신원역 |
다음 역 | 아신역 K133 |
역 간 거리 | 신원역 2.9 km, 아신역 4.1 km |
통계 | |
2023년 승차 인원 | 729명 |
2023년 승강 인원 | 1,452명 |
2. 역사
1939년 4월 1일 무배치간이역으로 영업을 시작했고, 1940년 6월 1일 배치간이역으로 승격되었다.[3][4] 1958년 11월 1일 보통역으로 승격[5]되었고, 같은 해 12월 31일 역사가 신축되었다. 1977년 5월 1일 화물 취급이 중지[6]되었고, 5월 16일 소화물 취급도 중지[6]되었다. 2008년 2월 22일 역사가 철거되고 임시 역사로 이전하였으며, 7월 11일 신원역 - 국수역 간 선로 및 승강장이 이설되었다. 2008년 9월 1일부터 무궁화호 열차는 정차하지 않고 통과하게 되었으며, 12월 29일 수도권 전철 중앙선 (팔당~국수 간) 개통과 함께 철도승차권 단말기가 철거[7]되었다. 2009년 12월 23일 수도권 전철 중앙선 (국수~용문 간) 연장 개통으로 중간역이 되었다. 2014년 12월 27일 경의선 (용산선)이 공덕역에서 용산역까지 개통되어, 중앙선과 직결 운행을 시작하면서 양 노선의 명칭을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으로 변경하였다.
2. 1. 일제강점기
1939년 4월 1일 영업을 개시하였다.[1]2. 2. 대한민국
1939년 4월 1일: 무배치간이역으로 영업을 시작하였다.[3]1940년 6월 1일: 배치간이역으로 승격되었다.[4]
1958년 11월 1일: 보통역으로 승격되었다.[5]
1958년 12월 31일: 역사가 신축되었다.
1977년 5월 1일: 화물 취급이 중지되었다.[6]
1977년 5월 16일: 소화물 취급이 중지되었다.[6]
2008년 2월 22일: 역사 철거 및 임시 역사로 이전하였다.
2008년 7월 11일: 신원역 - 국수역 간 선로 및 승강장이 이설되었다.
2008년 9월 1일: 무궁화호 열차가 정차하지 않고 무정차 통과하였다.
2008년 12월 29일: 수도권 전철 중앙선 (팔당~국수 간) 개통과 함께 철도승차권 단말기가 철거되었다.[7]
2009년 12월 23일: 수도권 전철 중앙선 (국수~용문 간) 연장 개통으로 중간역이 되었다.
2014년 12월 27일: 경의선 (용산선)이 공덕역에서 용산역까지 개통되어, 중앙선과 직결 운행을 시작하였다. 동시에 양 노선의 명칭을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으로 변경하였다.
3. 역 구조
국수역은 2면 4선의 쌍섬식 승강장을 갖춘 지상역으로,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3. 1. 승강장
2면 4선의 섬식 승강장 구조를 가진 지상역이다.
4. 역 주변
- 청계산
- 양서농협 국수지점
- 국수노인대학
- 양평전자과학고등학교
- 보은정사
- 양평노인대학
- 국수보험지소
- 국수중학교
5. 이용객 변동
경의·중앙선의 연도별 일평균 이용객 수는 아래 표와 같다.
5. 1. 연도별 승하차 인원
2008년 자료는 개통일인 2008년 12월 29일부터 12월 31일까지 3일 기준으로 환산한 것이다.[8]노선 | 일평균 인원수 (명/일) | 각주 | ||||||||||||||
---|---|---|---|---|---|---|---|---|---|---|---|---|---|---|---|---|
2008년 | 2009년 | 2010년 | 2011년 | 2012년 | 2013년 | 2014년 | 2015년 | 2016년 | 2017년 | 2018년 | 2019년 | 2020년 | 2021년 | |||
경의·중앙선 | 승차 | 1,056 | 1,792 | 887 | 866 | 857 | 903 | 935 | 926 | 917 | 953 | 861 | 834 | 613 | 651 | [8] |
하차 | 1,836 | 1,846 | 924 | 871 | 870 | 900 | 918 | 897 | 893 | 925 | 833 | 816 | 611 | 645 | ||
노선 | 2022년 | 2023년 | ||||||||||||||
경의·중앙선 | 승차 | 712 | 729 | |||||||||||||
하차 | 707 | 723 |
6. 인접한 역
참조
[1]
웹사이트
統計資料 – 韓国鉄道公司
https://info.korail.[...]
[2]
문서
도라산 기점 108.8 km
[3]
간행물
조선총독부관보 고시 224호
1939-04-01
[4]
간행물
조선총독부관보 고시 468호
1940-05-10
[5]
간행물
대한민국관보 교통부고시 제538호
1958-10-28
[6]
간행물
대한민국관보 철도청고시 제7호
1977-04-23
[7]
간행물
대한민국관보 국토해양부고시 제2008-765호
2008-12-08
[8]
웹인용
통계자료 - 한국철도공사
https://info.korail.[...]
2022-04-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