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궁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궁재는 프랑크 왕국에서 왕을 보좌하던 주요 관직으로, 아우스트라시아, 네우스트리아, 부르군트, 아키텐 등 여러 지역에서 존재했다. 아우스트라시아의 경우 6세기부터 8세기 초까지, 네우스트리아는 7세기부터 8세기까지 궁재가 있었으며, 피핀 가문과 카롤링거 가문이 이 직책을 통해 권력을 강화했다. 부르군트와 아키텐에도 궁재가 있었으나, 부르군트는 네우스트리아와 통합되면서 궁재 직책이 사라졌고, 아키텐의 궁재는 짧은 기간 동안만 존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궁재 - 카를로마누스 (궁재)
    카를로마누스는 프랑크 왕국의 궁재로서 동생 피핀 3세와 함께 반란을 진압하고 교회 개혁을 지원했으며, 알레만니아에서 반란을 진압하는 과정에서 수천 명을 처형한 후 수도원에 은퇴했으나 이탈리아로 추방되어 사망하고 가톨릭 성인으로 시성되었다.
  • 피피누스 왕조 - 피피누스 1세
    피핀 1세는 아우스트라시아의 궁재로서 클로타르 2세, 다고베르트 1세, 지게베르트 3세의 궁정에서 활동하며 기독교 전파에 기여하고 슬라브족으로부터 기독교 마을을 보호했으며, 가톨릭 성인으로 추서되었다.
  • 피피누스 왕조 - 피피누스 2세
    피피누스 2세는 7세기 후반 아우스트라시아의 궁재이자 프랑크 왕국의 실질적인 통치자로, 네우스트리아와의 전투 승리를 통해 권력을 장악하고 카롤링거 왕조의 기반을 다졌으며, 사후 후계 분쟁은 카를 마르텔의 권력 장악으로 이어졌다.
  • 프랑크 왕국 - 중프랑크 왕국
    중프랑크 왕국은 843년 베르됭 조약으로 성립되어 북해에서 지중해에 이르는 영토를 차지했으나, 분열과 국경 변동을 겪다가 신성로마제국에 흡수되었다.
  • 프랑크 왕국 - 교황령
    교황령은 교황이 세속 권력을 행사하며 통치했던 국가로, 콘스탄티누스 1세의 기증으로 시작되어 군주제 국가가 되었으나 1870년 멸망 후 바티칸 시국으로 축소, 1929년 라테라노 조약으로 범위가 확정되었다.
궁재
주요 정보
직책 종류왕궁의 관리자
지위왕 다음가는 지위
존속 시기메로빙거 왕조
지역프랑크 왕국
다른 이름궁재, 궁상
역할 및 권한
주요 역할왕실 가계 관리
권한 변화시간이 지나면서 왕의 권력을 능가함
최종 지위프랑크의 공작과 왕자가 됨 (Dux et Princeps Francorum)
역사적 맥락
왕조메로빙거 왕조
관련 직책세네샬 (Sénéchal)
추가 정보
라틴어 명칭Maior palatii, Maior domus
프랑스어 관련 용어게으른 왕들
일본 관련 용어쇼군 (shōgun)
텔루구 관련 용어sarvadhikari

2. 아우스트라시아의 궁재

대 피핀은 다고베르트 1세의 궁재였다가(623년-629년), 이후 다시 궁재에 올라 639년부터 640년까지 재임하였다. 그리모알트 1세 (643년-656년)는 대 피핀의 아들로 궁재직을 이었다.

중 피핀 (680년-714년)은 687년 네우스트리아를 정복한 후 '프랑크의 공작 및 백작(''dux et princeps Francorum'')' 칭호를 얻었다. 그의 서자 카를 마르텔 (715년-741년)은 네우스트리아 궁재를 겸임(718년-741년)하였다. 카를 마르텔의 아들 카를로만 (741년-747년)과 카를로만의 아들 드로고 (747년-751년)가 궁재직을 이어받았다.

2. 1. 초기 아우스트라시아 궁재 (6세기-7세기 초)

이름재임 기간가족비고
파르테니우스531년–548년궁정 직위는 알려지지 않음
카를로만c.|c.la 550년-560년랑덴의 피핀의 아버지
고고567년–581년궁정 직위는 백작(comes)양육자(nutricius)로 언급됨
반달레누스581년–583년발트리흐
플로렌티아누스um|umla 589년
프로타두스595년–600년
클라우디우스600년
곤둘푸스600년–612년메로빙거 왕조 (확실하지 않음)
바르나카르613년지기베르트 2세 암살 직후
라도613년–616년/617년
휴 (Chucus)617년–622년후고베르트 가문 (확실하지 않음)
랑덴의 피핀624년/625년–634년피피니드 가문처음
아달기젤634년–639년
랑덴의 피핀639년–640년피피니드 가문두 번째
오토640년–643년
그리모알드 1세643년–657년 또는 662년피피니드 가문
안세기젤657년 또는 662년–662년아르눌핑 가문
불포알트662년–679년에티코네 가문 (확실하지 않음)
에르스탈의 피핀679년–714년피피니드 가문
토도알트714년–715년피피니드 가문할머니 플렉트루데 치하
카를 마르텔715년–741년피피니드 가문수아송 전투 (718년) 이후, 왕국의 모든 지역에서 궁재
카를로만741년–747년피피니드 가문알레마니아를 포함하는 아우스트라시아
짧은 피핀747년–751년피피니드 가문왕국 전체의 궁재


  • 파르테미우스 (548년까지)[1]
  • 고고 (567년-581년)[1]
  • 반달레누스 (581년부터)[2]
  • 군둘프 (600년부터), 테우데베르트 2세의 궁재
  • 란드리크 (612년까지), 네우스트리아 궁재 겸임
  • 바르나차르 (612년-617년), 부르군트 궁재 겸임
  • 우고 (617년-623년)
  • 대 피핀 (623년-629년), 다고베르트 1세의 궁재
  • 아달기젤 (633년-639년)
  • 대 피핀 (639년-640년), 재임
  • 오토 (640년-642년)
  • 그리모알트 1세 (643년-656년)
  • 불포알트 (656년-680년), 네우스트리아 겸임(673년-675년)
  • 중 피핀 (680년-714년), 687년 네우스트리아 정복 이후 프랑크의 공작 및 백작(''dux et princeps Francorum'') 칭호를 얻음
  • 테우토알트 (714년-715년), 네우스트리아 겸임.
  • 카를 마르텔 (715년-741년), 피핀 2세의 서자, 네우스트리아 궁재 겸임 (718년-741년)
  • 카를로만 (741년-747년)
  • 드로고 (747년-751년), 카를로만의 아들

2. 2. 피핀 가문과 카롤링거 가문의 등장 (7세기-8세기)

대 피핀은 다고베르트 1세의 궁재였다가(623-629), 이후 다시 궁재에 올라 639년부터 640년까지 재임하였다. 그리모알트 1세 (643-656)는 대 피핀의 아들로 궁재직을 이었다.

중 피핀 (680-714)은 687년 네우스트리아를 정복한 후 '프랑크의 공작 및 백작(''dux et princeps Francorum'')' 칭호를 얻었다. 그의 서자 카를 마르텔 (715-741)은 네우스트리아 궁재를 겸임(718-741)하였다. 카를 마르텔의 아들 카를로만 (741-747)과 드로고 (747-751)가 궁재직을 이어받았다.

이름재임 기간가족비고
랑덴의 피핀624/25–634, 639-640피피니드 가문634년까지 재임 후, 639년 재집권
아달기젤634–639|
오토640–643|
그리모알드 1세643–657 또는 662피피니드 가문
안세기젤657 또는 662–662아르눌핑 가문
불포알트662–679에티코네 가문 (확실하지 않음)
에르스탈의 피핀679–714피피니드 가문
토도알트714–715피피니드 가문할머니 플렉트루데 치하
카를 마르텔715–741피피니드 가문수아송 전투 (718년) 이후, 왕국의 모든 지역에서 궁재
카를로만741–747피피니드 가문알레마니아를 포함하는 오스트라시아
짧은 피핀747–751피피니드 가문왕국 전체의 궁재


3. 네우스트리아의 궁재

네우스트리아의 궁재는 프랑크 왕국에서 왕 다음 가는 권력을 가진 중요한 직책이었다. 궁재는 왕을 대신하여 국정을 운영하고 군대를 지휘하는 등 실질적인 권력을 행사했다.

초기 네우스트리아 궁재와 에브로인 시대의 권력 투쟁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하위 섹션을 참고할 수 있다.

테르트리 전투 이후, 피핀 2세와 그의 후손들이 네우스트리아 궁재직을 독점하면서, 카롤링거 왕조가 권력을 장악하게 되었다.

3. 1. 초기 네우스트리아 궁재 (6세기-7세기)

이름재임 기간비고
란드리크?클로타르 2세 치하에서 궁재 역임
군돌란드613년 또는 616년–639년
아에가639년–641년부르고뉴 궁재 겸임
에르키노알드641년–658년
에브로인658년–673년폐위됨
울포알드673년–675년아우스트라시아 궁재 겸임 (662년–680년)
뢰데지우스675년선출되었으나 이후 폐위됨
에브로인675년–680년복직
와라토680년 또는 681년–682년아들 기스테마르에 의해 폐위됨
기스테마르682년아버지 와라토의 자리를 찬탈함
와라토682년–684년 또는 686년복직
베르샤르686년–688년 또는 689년688년 또는 689년에 암살됨
노르데베르트687년-695년에르스탈의 피핀의 보호를 받음
그리모알드 2세695년–714년
테우도알드714년–715년아우스트라시아 궁재 겸임, 귀족들에 의해 네우스트리아에서 쫓겨나 716년에 권리 포기
라겐프리드715년–718년714년 또는 715년에 네우스트리아에서 권력 장악, 717년에 샤를 마르텔에게 패배, 718년에 결정적으로 패배
샤를 마르텔718년–741년아우스트라시아 궁재 겸임 (715년–741년)
짧은 피핀741년 또는 742년–751년751년에 프랑크 왕국의 왕이 됨
뭄몰린566년


3. 2. 에브로인 시대와 권력 투쟁 (7세기 후반)

에브로인은 658년부터 673년까지 궁재직을 맡았다가 쫓겨났으나, 675년에 복귀하여 680년까지 재임하였다. 불포알트는 673년부터 675년까지 궁재직을 수행하며, 동시에 아우스트라시아 궁재(662년 ~ 680년)를 겸임하였다.[1] 레우데시우스는 675년에 전임자에 의해 궁재로 선택되었으나, 이후 쫓겨났다.[2]

680년 에브로인이 사망한 후, 바라톤이 681년부터 682년까지 궁재직을 맡았다. 그러나 바라톤의 아들 기스테마르가 682년에 아버지에 반기를 들어 그를 쫓아내고 궁재직을 차지했다. 바라톤은 곧 복귀하여 684년까지 재임하였다. 베르타르는 바라톤의 사위로, 686년부터 688년까지 궁재직을 맡았으나, 687년 테르트리 전투에서 피핀에게 패배하였다.

3. 3. 피핀 가문과 카롤링거 가문의 지배 (7세기 말-8세기)

7세기네우스트리아의 유력 가문 출신 궁재들은 테르트리 전투에서 아우스트라시아 궁재 중 피핀에게 패하였다. 이후 네우스트리아의 궁재직은 피핀 2세와 그의 후손들이 독점하게 되었다.

7세기 후반부터 8세기까지 네우스트리아 궁재를 역임한 인물은 다음과 같다.

이름재임 기간
베르타르686년 - 688년, 테르트리 전투에서 피핀에게 패함
중 피핀688년 - 695년
그리모알트 2세695년 - 714년, 피핀 2세의 아들
테우토발트714년 - 715년, 아우스트라시아 궁재 겸임, 그리모알트 2세의 서자
라겐프리트715년 - 718년, 네우스트리아의 권력을 잡았으나 717년 카를 마르텔에게 패배 후 추방됨
카를 마르텔718년 - 741년, 피핀 2세 서자, 아우스트라시아 궁재 겸임 (715년-741)
소 피핀742년 - 751년, 751년에 프랑크 왕으로 즉위


4. 부르군트의 궁재


  • 와르나카르 1세(596–599)
  • 베르토알드(603년 이전–604)
  • 프로타디우스(604–606)
  • 클라우디우스
  • 라도(613–617)
  • 와르나카르 2세(617–626), 아우스트라시아에서도 활동
  • 고디누스(626–627)
  • 아이가(639–641), 네우스트리아에서도 활동
  • 플라오카드(642)
  • 라도베르투스(642–662)


이후 궁재 직은 비어 있었고, 부르고뉴는 네우스트리아와 부르고뉴의 왕 아래 별도의 왕국으로 존재했다. 부르고뉴의 행정은 잠시 다음과 같이 분리되었다.

  • 드리고(695–708), 690년부터 샹파뉴 공작, 697년부터 부르고뉴 공작

5. 아키텐의 궁재

브로둘프 (627–628)

참조

[1] 웹사이트 Cambridge Dictionary https://dictionary.c[...] 2024-07-09
[2] 서적 The Merovingian Polity: A Network of Courts and Courtiers Oxford University Press 20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