궁정백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궁정백(Palatine)은 '궁정' 또는 '궁전'을 의미하는 라틴어 'palatium'에서 유래된 명칭으로, 로마 제국 황제 측근을 가리키는 'comes palatinus'에서 비롯되었다. 프랑크 왕국에서 왕을 보좌하는 고위 관리직을 지칭하는 용어로 사용되었으며, 중세 유럽 여러 지역에서 다양한 형태로 존재했다. 신성 로마 제국에서는 황제의 대리인 역할을 했고, 교황청에서는 명예직으로 수여되었다.
이 칭호는 로마의 comesla에서 유래되었으며, "동반자"를 의미하고 동등한 지위를 나타내는 비세습적인 고위 궁정 칭호였다. 특히 palatinusla는 '궁전'을 의미하는 palatiumla에서 파생된 형용사이다.[2]
중세 유럽에서 궁정백은 왕실 또는 황실에 봉사하는 고위 관리였다. 이들은 처음에는 왕의 사법 업무를 보좌했지만, 점차 더 많은 권한을 위임받아 행정, 군사, 사법 등 다양한 업무를 수행했다.
2. 어원
로마 멸망 후, palatinusla라고도 알려진 새로운 봉건적 유형의 칭호가 생겨나기 시작했다. 프랑크 왕국의 메로빙거 왕조 왕들은 고위 관리인 comes palatinusla를 고용했는데, 이 관리는 처음에는 왕의 사법 업무를 보좌했고 나중에는 이러한 업무의 많은 부분을 직접 수행했다. 다른 궁정 백작들은 군사 및 행정 업무에 고용되었다.[2]
3. 중세 유럽의 궁정백
프랑크 왕국의 메로빙거 왕조와 카롤링거 왕조는 모두 궁정백 제도를 운영했다. 특히 카롤링거 왕조 시기에는 궁정백의 권한이 더욱 강화되어 사법 업무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게 되었다.[2] 서고트 왕국과 동고트 왕국에서도 왕실의 여러 부서를 관리하는 백작 칭호를 가진 ''Officium Palatinum''이 존재했다.[2]
신성 로마 제국에서 궁정백은 황제의 대리인으로서 왕실 영지를 관리하고 통치하는 역할을 맡았다. 특히 11세기 동안 궁정백은 강력한 공작들을 견제하고 황제의 권위를 강화하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작센, 로트링겐, 바이에른, 슈바벤 등지에 궁정백이 존재했으며, 이들은 해당 지역의 왕실 영지를 관리했다.[2] 12세기에 들어 궁정백의 직위는 세습되기 시작했다. 비텔스바흐 가문은 바이에른의 궁정백을 세습하다가 공작이 되었고[2], 로트링겐 궁정백은 1085년에 라인 궁정백으로 이름을 바꾸고 1777년까지 독립을 유지했다.[2] 궁정백 직위는 1806년 신성 로마 제국이 해체될 때까지 존속했다.[2]
1356년 금인칙서에 따라 라인 궁정백은 7명의 선제후 중 하나가 되었고, 선제후 팔츠로 알려지게 되었다.[2]
이 외에도 중세 폴란드에서는 왕 다음 가는 지위로 "팔라티누스"가 있었으며, 이들은 군대 최고 사령관이자 보이보드와 합쳐진 직위였다. 세르비아 전제 공국에서는 ''그랜드 첼니크''(велики челник)라는 최고 궁정 칭호가 존재했다. 중세 헝가리에서는 ''나도르이슈판'' 또는 ''나도르''(헝가리의 팔라틴 참조)가 궁정백에 해당했다.
3. 1. 프랑크 왕국
프랑크 왕국의 메로빙거 왕조(480–750년 재위) 왕들은 고위 관리인 ''comes palatinus''를 고용했는데, 이들은 처음에는 왕의 사법 업무를 보좌했고 나중에는 이러한 업무의 많은 부분을 직접 수행했다. 다른 궁정 백작들은 군사 및 행정 업무에 고용되었다.[2]
이 제도는 카롤링거 왕조(751–987년 재위) 군주들에 의해 유지되었으며, 그들은 권한을 연속적으로 부여하여 궁정 백작의 권력을 증대시켰다. 882년의 프랑크 사령장과 랭스 주교 힝크마르는 프랑크 제국의 사법 업무가 궁정 백작의 손으로 넘어간 정도를 증명한다.[2]
3. 2. 서고트 왕국과 동고트 왕국
서고트 왕국에서 ''Officium Palatinum''은 왕실의 여러 부서를 관리하는 백작 칭호를 가진 여러 명의 사람들로 구성되었다. ''Comes Cubiculariorum''는 시종장을 감독했고, ''Comes Scanciorum''는 술 시중 담당자를 지휘했으며, ''Comes Stabulorum''는 마구간을 담당하는 마부들을 지휘하는 등이었다.[2] 동고트 왕국 또한 ''Comes Patrimonium''과 같은 칭호를 가진 궁정 백작을 유지했는데, 이 백작은 왕의 상속 재산 또는 사유 부동산을 담당했으며, 그 외 다른 백작들도 있었다.
3. 3. 신성 로마 제국
신성 로마 제국에서 궁정백은 황제의 대리인으로서 왕실 영지를 관리하고 통치하는 역할을 맡았다. 11세기 동안 몇몇 황실 궁정백들은 강력한 공작에 대한 귀중한 정치적 균형추가 되었으며, 이들은 황제의 권위를 행사할 수 있는 새로운 제도적 기둥으로 바뀌었다. 사냥꾼 하인리히와 특히 오토 1세의 통치 기간 동안, 궁정백(comites palatini)은 대부족 공작들의 독립적인 경향을 견제함으로써 왕실 권위를 지원하기 위해 나라 전역으로 보내졌다. 이후 작센, 로트링겐, 바이에른, 슈바벤에 궁정백이 존재했으며, 이들의 임무는 이러한 공국에서 왕실 영지를 관리하는 것이었다.[2]
로타링기아, 바이에른, 슈바벤, 작센의 공작은 봉건 군주로서 강력한 권한을 가졌는데, 독일 황제는 자신의 충실한 지지자들을 궁정 백작으로 임명하여 이들을 견제했다. 에초니드 왕조 출신인 로타링기아의 팔라틴은 황실 군대의 중요한 지휘관이었으며, 종종 내부 및 외부 분쟁에 동원되었다.
궁정백의 직위는 12세기에 들어서야 세습되었다. 11세기 동안 궁정령은 여전히 세습되지 않는 봉토인 ''beneficia''로 간주되었다. 바이에른의 궁정 백작은 비텔스바흐 가문이 맡았으며, 이들은 바이에른의 공작이 되면서 낮은 백작 칭호는 더 높은 공작 칭호로 병합되었다.[2] 로타링기아의 궁정 백작은 1085년에 이름을 라인 궁정 백작으로 변경했고, 1777년까지 독립을 유지했다. 궁정백 직위는 1806년 신성 로마 제국이 해체될 때까지 존재했다.[2] 작센 궁정령은 작센 선제후국과 합병되었다. 라인 궁정백은 선제후국이 되었고, 둘 다 황실 대리였다.
3. 3. 1. 라인 궁정백
1085년 헤르만 2세가 사망한 후, 로트링겐의 궁정백은 로렌에서 군사적 중요성을 잃었다. 궁정백의 영토적 권한은 라인강을 따라 있는 영토로 축소되었고, 이에 따라 1085년부터 라인 궁정백으로 불리게 되었다.[2]
1356년 금인칙서는 라인 궁정백을 7명의 선제후 중 한 명으로 만들었다. 이에 따라 라인 궁정백은 선제후 팔츠로 알려지게 되었다.[2]
3. 3. 2. 바이에른 궁정백
원래 팔츠 백작은 레겐스부르크 주변의 팔츠 백작령을 소유했으며, 왕보다는 바이에른 공작에게 종속되었다. 이 직위는 소유자에게 공작령의 법률 시스템에서 선도적인 지위를 부여했다.재임 기간 이름 비고 883년 메긴하르트 1세 바이에른의 팔츠 백작 ? ~ 954년 아르눌프 2세 바이에른 공작 아르눌프 1세의 아들, 940년경 샤이어른 성 건설 954년 ~ 976년 (중단 있음) ~ 999년 베르톨트 아르눌프 2세의 아들, 안데크스 백작의 조상 977년 ~ 985년 하르트비히 1세 985년 ~ ? 아리보 1세 하르트비히 1세의 사위 1020년 ~ 1026년 하르트비히 2세 아리보 1세의 아들 1026년 ~ 1055년 아리보 2세 하르트비히 2세의 아들 ? ~ ? 쿠노 1세 바이에른의 팔츠 백작 ? ~ 1093년 라포토 1세 1099년 ~ 1120년 엥겔베르트 1세 아리보 2세의 두 부인 모두의 조카 1120년 ~ 1156년 오토 4세 아마도 아르눌프 2세의 후손, 거주지를 샤이어른 성에서 비텔스바흐 성으로 옮기고 비텔스바흐 가문을 창립. 1156년 ~ 1180년 오토 5세 1180년 오토 1세로 바이에른 공작이 되었고, 그의 후손들은 1918년까지 공작령을 통치. 1180년 ~ 1189년 오토 7세 오토 4세의 차남 1189년 ~ 1208년 오토 8세 오토 7세의 아들, 1208년 독일의 국왕 필리프를 살해한 것으로 악명이 높음. 1208년 ~ 1231년 라포토 2세 오토 8세의 매형 1231년 ~ 1248년 라포토 3세 라포토 2세의 아들, 마지막 팔츠 백작. 그의 사후 바이에른 공작이 팔츠 백작의 권리와 재산을 승계. 3. 3. 3. 작센 궁정백
10세기에 신성 로마 제국 황제 오토 1세는 작센 남부의 잘레-운스트루트 지역에 작센 궁정백령을 설치했다. 이 명칭은 처음에는 헤센가우의 백작이, 그 다음에는 11세기 초부터 고세크의 백작이, 나중에는 솜머스첸부르크의 백작이, 그 다음에는 튀링겐의 방백이 차지했다.
작센 궁정백을 역임한 인물은 다음과 같다.
이름 | 재위 기간 | 비고 |
---|---|---|
아달베로 | 972년-982년 | 헤센가우와 리스가우 백작 |
디트리히 | 992년-995년 | 아달베로의 아들일 가능성 있음 |
프리드리히 | 995년-996년 | 하르츠가우와 노르트튀링가우 백작 |
부르크하르트 1세 | 1003년-1017년 | 고세크 백작, 하세가우 백작, 메르제부르크 백작, 황실 총독 |
지크프리트 | 1028년 | |
프리드리히 1세 | 1040년 | 부르크하르트 1세의 차남, 고세크와 하세가우 백작 |
빌헬름 | 1042년? | 바이마르 백작 |
데도 | 1042년-1044년 | 프리드리히 1세의 아들, 푈데 전투에서 사망 |
프리드리히 2세 | 1056년 | 데도의 동생 |
프리드리히 3세 | 프리드리히 2세의 아들, 츠샤이플리츠 근처에서 살해됨 | |
프리드리히 4세 | 1114년 | 프리드리히 3세의 아들, 후이의 딩겔슈테트에서 사망 |
프리드리히 5세 | 1111년 | 프리드리히 1세의 손자, 솜머스첸부르크 백작 |
프리드리히 6세 | 1123년-1124년 | 프리드리히 5세의 아들, 솜머스첸부르크 백작 |
헤르만 2세 | 1129년-1130년 | 포름바흐 백작, 1124년부터 1130년까지(폐위) 마이센 변경백 |
아달베르트 | 프리드리히 6세의 아들, 1162년부터 사망할 때까지 솜머스첸부르크 백작 | |
루이 3세 | 1180년-1181년 | 겔른하우젠의 제국 의회에서 작센 궁정백으로 임명, 튀링겐 방백 |
헤르만 1세 | 1181년-1215년 | 루이 3세의 동생, 튀링겐 방백 |
루이 4세 | 1217년-1227년 | 헤르만 1세의 아들, 튀링겐 방백 |
하인리히 라스페 | 1231년-1247년 | 헤르만 1세의 아들, 튀링겐 방백, 독일의 반왕 |
하인리히 3세 | 1247년-1265년 | 마이센 변경백, 튀링겐 방백 |
알브레히트 2세 | 1265년-? | 하인리히 3세의 아들, 튀링겐 방백, 마이센 변경백 |
프리드리히 1세 | 1280년-1291년 이전 | 알브레히트 2세의 아들, 마이센 변경백, 튀링겐 방백 |
독일 왕 루돌프 1세는 작센 궁정백령을 벨프 가문에 주었다.
- 하인리히 1세 (1291년 이전 – 1322년): 브라운슈바이크-그루벤하겐 공작
3. 3. 4. 슈바벤 궁정백
- 에르창거 2세(917년 1월 21일 사망): 에르창거 1세의 아들로 추정되며, 슈바벤의 궁정 백작이자 사절이었으며, 915년부터 사망할 때까지 슈바벤 공작이었다.
- 프리드리히 1세(1053년 직후 사망): 1027년부터 1053년까지 슈바벤의 궁정 백작이었다.
- 프리드리히 2세: 프리드리히 1세의 아버지이자 호엔슈타우펜 왕조의 조상이며, 1053년부터 1069년까지 슈바벤의 궁정 백작이었다.
- 마네골트 1세(1094년 여름 직전 사망): 프리드리히 2세의 사위이며, 1070년부터 1094년까지 슈바벤의 궁정 백작이었다.
- 슈타우펜의 루이: 프리드리히 1세의 아들, 1094년부터 1103년까지 슈바벤의 궁정 백작, 셀레스타의 성 파이트 교회의 설립자
- 베스트하임의 루이: 그의 전임자의 아들로 추정되며, 1103년부터 1112년까지 슈바벤의 궁정 백작이었다.
- 마네골트 2세: 마네골트 1세의 아들, 1112년부터 1125년까지 슈바벤의 궁정 백작이었다.
- 라우터부르크의 아달베르트: 마네골트 1세의 아들, 1125년부터 1146년까지 슈바벤의 궁정 백작이었다.
1146년 이후, 이 칭호는 튀빙겐 궁정 백작에게 넘어갔다.
3. 3. 5. 튀빙겐 궁정백
- 후고 1세 (1146년 ~ 1152년)
- 프리드리히 (1162년 사망) - 후고 2세와 공동 통치
- 후고 2세 (1152년 ~ 1182년)
- 루돌프 1세 (1182년 ~ 1219년)
- 후고 3세 (1185년 ~ 1228/30년경) - 루돌프 1세, 루돌프 2세와 공동 통치, 몬트포르트-브레겐츠 가문 창설
- 루돌프 2세 (1247년 사망)
- 후고 4세 (1267년 사망)
- 에버하르트 (1304년 사망)
- 고트프리트 1세 (1316년 사망)
- 고트프리트 2세 (1369년 사망) - 튀빙겐 궁정백을 뷔르템베르크 왕가에 매각, 튀빙겐-리히텐에크 가문 창설
3. 3. 6. 부르고뉴 궁정백
1169년, 신성 로마 제국 황제 프리드리히 1세는 부르고뉴 자유 백국을 만들었다(서쪽 이웃인 부르고뉴 공국과 혼동하지 않도록 주의). 부르고뉴 백작은 자유 백작(독일어: Freigraf)의 칭호를 가졌지만, 때때로 팔라티네 백작이라고도 불렸다.3. 4. 기타 지역
초기 중세 폴란드에서는 왕 다음 가는 지위로 "팔라티누스"가 있었다. 팔라티누스는 왕의 군대 최고 사령관이기도 했으며, 이후 이 지위는 "보이보드"와 합쳐져 보이보드가 팔라틴 칭호를 대체하게 되었다. 폴란드 분열기 동안 각 공작은 자신의 "보이보드"를 두었다. 이 공국들 중 일부가 폴란드 왕국으로 재통합되었을 때, 팔라틴들은 왕을 대신하여 통치할 지역 공작이 더 이상 없었기 때문에 왕국에 봉토되었다. 따라서 이 공국들은 보이보드십(때로는 팔라틴으로 번역됨)으로 만들어졌다.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에서 "보이보드"는 상원에 참석했다.세르비아 전제 공국의 최고 궁정 칭호는 ''그랜드 첼니크''(велики челник)였다. 이 칭호를 가진 자들은 큰 지방, 재산 및 명예를 보유했으며, 라디치 (1413년~1441년 활동)는 가장 강력한 인물 중 한 명이었다.
중세 헝가리에서는 ''나도르이슈판'' 또는 ''나도르''(헝가리의 팔라틴 참조)가 궁정백에 해당하는 칭호였다.
4. 교황 궁정백
교황 궁정백(Comes palatinus lateranus, 정식 명칭: Comes sacri Lateranensis palatii "성 라테란 궁전 백작"[6])은 16세기에 교황에 의해 수여되기 시작했다. 이 칭호는 단순히 명예직이었으며, 18세기에는 너무 광범위하게 수여되어 거의 의미가 없어졌다.
황금 박차 기사단은 르네상스 시대에 백작의 형태로 상속 가능한 귀족 증서와 연관되기 시작했다. 교황 레오 10세는 1514년에 모든 교황청 서기관들을 ''Comites aulae Lateranensis''(라테란 궁정 백작)으로 지정하고, 그들에게 황제 궁정 백작과 유사한 권리를 부여했다. 어떤 경우에는 특별한 권한을 부여받은 교황 사절이 이 칭호를 수여하기도 했다.
황금 박차 기사단은 궁정 백작의 칭호와 연계되어 1527년 로마 약탈 이후 신성 로마 제국 황제 카를 5세에 의해 널리 수여되었다. 현존하는 외교 문서의 내용은 수령자에게 세습 귀족 지위를 부여했다. 수령자 중에는 카를 5세의 기마 초상화를 그린 티치아노 (1533년)도 있었다.[8] 황제의 죽음 (1558년) 직후, 교황의 손으로 재창설된 것은 교황 비오 4세 (1559년)에 기인한다.[9]
18세기 중반까지 황금 박차 기사단은 너무 무분별하게 수여되어 카사노바는 "황금 박차라고 불리는 기사단은 너무 폄하되어 사람들이 내 십자가의 세부 사항을 물어볼 때 매우 짜증이 났다."라고 언급했다.[11]
이 기사단은 "교황 정부, 예술가, 그리고 교황이 보상을 받을 자격이 있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에게 수여되었다. 또한 가톨릭교를 신봉한다는 조건 외에는 다른 조건 없이 이방인에게도 주어진다."[12]
참조
[1]
웹사이트
palatine, adj.1 and n.1
https://www.oed.com/[...]
Oxford University Press
2019-07-31
[2]
EB1911
Palatine
[3]
서적
the "Grand Celnik" (a sort of Count palatine)
1992
[4]
서적
Међу њима је највиши углед уживао велики челник (Xребељан, Радич Поступовић и др.). Неки од њих су временом стекли велике области, имања и почасти. Занимљив је и жив пример челника Радича
1979
[5]
서적
La Préhistoire des Capétiens (Nouvelle histoire généalogique de l'auguste maison de France, 1)
Ed. Patrick van Kerrebrouck
1993
[6]
Catholic Encyclopedia
Pontifical Decorations
http://www.newadvent[...]
1908
[7]
서적
Bartolini also received the Knighthood of the Golden Spur, a title that sometimes accompanied the office of count palatinate in the Renaissance
2004
[8]
간행물
Titian as a Court Painter
1979
[9]
서적
The British Herald; or, Cabinet of armorial bearings of the nobility...
1830
[10]
웹사이트
CATHOLIC ENCYCLOPEDIA: Pontifical Decorations
https://www.newadven[...]
2024-09-07
[11]
문서
"L'ordre qu'on appelle de l'Éperon d'Or était si décrié qu'on m'ennuyait beaucoup quand on demandait des nouvelles de ma croix."
[12]
서적
183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