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갑용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권갑용은 1975년 프로에 입단한 대한민국의 바둑 기사였다. 1983년 권갑용 바둑교실을 개원하여, 이세돌, 최철한, 박정환 등을 포함한 많은 세계적인 기사를 배출했으며, 허장회, 김원 바둑 도장과 함께 한국 3대 바둑 도장으로 불렸다. 1993년 바둑문화상 특별공로상을 수상했으며, 2023년 1월 23일 사망했다. 주요 저서로는 『귀수마수』, 『정묘수관』, 『천룡원』 등이 있다. 배우자는 박옥주이며, 장녀는 바둑 기사인 권효진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바둑 사범 - 오청원
중국 출신 바둑 기사 오청원은 20세기 최고의 기사 중 한 명으로, 신포석 창안, 십번기 압승, 본인방 슈사이와의 명승부 등 바둑사에 큰 족적을 남겼으며 그의 이론과 철학은 현대 바둑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 바둑 사범 - 가토 마사오
가토 마사오는 '살인마 가토'라는 별명을 가진 공격적인 기풍의 일본 바둑 기사로, 혼인보, 십단, 천원 등 수많은 타이틀을 획득하여 일본 바둑계 전성기를 이끌었으며, 일본기원 이사장과 국제바둑연맹 회장을 역임하며 바둑 보급에도 기여했다. - 용산중학교 동문 - 박우섭
박우섭은 용산고등학교와 서울대학교를 졸업하고 민주당 부대변인 등을 역임했으며, 인천광역시 미추홀구청장을 세 차례 역임하며 문화 인프라 구축에 힘쓴 대한민국의 정치인이다. - 용산중학교 동문 - 김승기 (농구인)
김승기는 서울대방초등학교, 용산중학교, 용산고등학교, 중앙대학교를 졸업한 대한민국의 농구인이다. - 서울봉천초등학교 동문 - 송성문 (야구 선수)
송성문은 2015년 넥센 히어로즈에 입단하여 KBO 리그 키움 히어로즈의 내야수로 활동하며, 2024년 프리미어 12 대회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주장으로 선임되었다. - 서울봉천초등학교 동문 - 박노준
박노준은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출신 스포츠 해설가 겸 교육자로, OB 베어스에서 프로 선수 생활을 시작하여 해태 타이거즈와 쌍방울 레이더스에서 외야수로 활동하며 골든글러브를 수상했고, 은퇴 후에는 SBS 해설위원, 우리 히어로즈 단장, 대학교수 및 총장을 역임하며 현재 우석대학교 총장으로 재직 중이다.
권갑용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권갑용 |
한자 | 權甲龍 |
출생일 | 1957년 10월 3일 |
출생지 | 대한민국 |
사망일 | 2023년 1월 23일 |
사망 장소 | 대한민국 |
제자 | 이세돌 최철한 원성진 천스위안 박정환 이영구 윤준상 김지석 강동윤 신민준 |
프로 입단 | 1975년 |
은퇴 | 2023년 (사망) |
기력 | 9단 |
소속 | 한국기원 |
언어별 이름 | |
영어 | Kwon Kapyong |
한국어 | 권갑용 |
일본어(히라가나) | けん こうりゅう |
일본어(가타카나) | クォン・ガビョン |
기타 | |
로마자 표기 | Gwon Gap-yong |
2. 생애
1975년 프로에 입단하였다. 1977년 국수전 본선에 진출했으며, 1987년 최고위전, 1989년 KBS배 바둑왕전, 1990년 명인전 본선에 연이어 출전했다.
1980년대 조치훈 9단이 일본에서 명인(名人) 타이틀을 획득하는 등 크게 활약하면서 한국 내에 바둑 붐이 일었고, 이 영향으로 어린이 바둑 교실이 많이 생겨났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권갑용은 1983년 '권갑용 바둑교실'을 열었으며, 1987년부터는 프로 기사 육성을 전문으로 하는 도장으로 운영 방향을 전환했다.
1995년 6단으로 승단했고, 같은 해 국수전 본선에 다시 한번 출전했다. 1996년에는 바커스배 천원전 본선에 진출했다. 2003년 7단으로 승단했으며, 패왕전 본선에 출전했다. 2004년에는 제4회 돌씨앗배 프로시니어기전에서 3위를 기록했다.
2012년 6월 22일 제6기 지지옥션배 본선에 진출했으며, 2021년 2월 22일 9단으로 승단했다.
2023년 1월 23일 향년 66세로 사망했다.[8]
3. 바둑 도장
1989년 박승문을 첫 프로 기사로 배출한 것을 시작으로, 이후 이세돌, 최철한, 원성진, 박정환 등 세계 정상급 기사들을 꾸준히 길러냈다. 이 외에도 김민희, 윤영선, 백홍석, 이영구, 윤준상, 강동윤, 김지석 등 많은 프로 기사들이 권갑용 도장 출신이다.
권갑용 바둑 도장은 허장회, 김원 바둑 도장과 함께 한국의 3대 바둑 도장으로 꼽히며, 그중에서도 가장 많은 프로 기사를 배출하고 뛰어난 성과를 거둔 것으로 평가받는다. 2009년 기준으로 도장 출신 프로 기사는 43명에 달했으며, 소속 문하생들의 총 단수는 2003년에 100단, 2009년에 200단, 2012년에는 250단을 돌파하는 기록을 세웠다.[9]
도장에는 수십 명의 문하생들이 소속되어 있으며, 일부는 도장에서 숙식하며 바둑 공부에 전념한다. 도장에서 실력을 쌓은 유망주들은 한국기원 원생이 되어 입단 시험을 통해 프로 기사의 꿈을 이룬다. 매년 열리는 도장 합숙 훈련에는 일본과 중국 등 해외에서도 많은 유망주들이 참가하여 함께 기량을 겨룬다.
권갑용은 프로 기사 육성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아 1993년 바둑문화상 특별공로상을 수상하였다.
3. 1. 주요 배출 기사
wikitext
기사 | 단수 | 주요 성과 |
---|---|---|
이세돌[3] | 9단 | 국제대회 18회 우승 |
최철한[4] | 9단 | 한국 바둑 역사상 최다 우승 10위 |
원성진[5] | 9단 | 2010년 GS칼텍스배 우승 |
천스위안 陳詩淵|천스위안중국어 | 9단 | 대만 최고 기사, 제4회 한·중·일 바둑 정영전 우승 |
박정환 | 9단 | 한국 최연소 9단 |
이영구[6] | 8단 | 2007년 프라임정보기업배 준우승 |
윤준상[7] | 8단 | 2006년 국내 챔피언 국수전 우승 |
김지석 | 7단 | 최다 승리(71승), 2009년 프라임정보기업배 우승 |
4. 수상
- 1993년 바둑문화상 특별공로상 수상.
5. 저서
wikitext
제목 | 연도 | 비고 |
---|---|---|
『귀수마수(鬼手魔手)』 | 2005년 | 진재호 공저 |
『정묘수관(精妙収官)』 | 2006년 | 성기창 공저 |
『천룡원(天龍圓)』 | 2009년 | 진재호 공저 |
『귀수·마수 한국류 궁극의 詰碁(젬고)』 | 2009년 | 이세돌 감수, 홍민화 역, 매일커뮤니케이션즈 출판 |
6. 가족 관계
참조
[1]
뉴스
'이세돌 스승' 프로기사 권갑용 9단, 지병으로 별세
https://www.yna.co.k[...]
[2]
웹사이트
kweon kabyong baduk school
http://gobase.org/re[...]
gobase.org
2011-06-24
[3]
웹사이트
Lee SeDol
http://gobase.org/in[...]
gobase.org
2011-06-24
[4]
웹사이트
Choi CheolHan
http://gobase.org/in[...]
gobase.org
2011-06-24
[5]
웹사이트
Won SeongJin
http://gobase.org/in[...]
gobase.org
2011-06-24
[6]
웹사이트
Lee YeongKu
http://gobase.org/in[...]
gobase.org
2011-06-24
[7]
웹사이트
Yun JunSang
http://gobase.org/in[...]
gobase.org
2011-06-24
[8]
뉴스
'이세돌 스승' 프로기사 권갑용 9단, 지병으로 별세
https://www.yna.co.k[...]
2023-01-23
[9]
뉴스
한국 바둑의 산실 ‘권갑용 도장’
https://news.naver.c[...]
스포츠경향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