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그레이햇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그레이 햇은 컴퓨터 보안 분야에서 사용되는 용어로, 법적인 경계에서 활동하며 때로는 윤리적인 기준으로 판단하기 어려운 해커들을 지칭한다. 1996년 DEF CON에서 처음 사용되었으며, 초기에는 취약점을 발견하여 소프트웨어 공급업체에 알리는 해커들을 의미했다. 시간이 지나면서 그 의미가 변화하여, 보안 연구를 위해 의도치 않게 법을 위반하는 윤리적 보안 연구자를 지칭하기도 한다. 주요 사례로는 아파치 서버 해킹, AT&T 아이패드 사용자 정보 유출, 애플 아이폰 및 아이패드 위치 정보 기록, 마크 저커버그 페이스북 페이지 해킹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인터넷 문화 - 틱톡
    틱톡은 2016년에 시작된 짧은 동영상 공유 플랫폼으로, 다양한 기능과 챌린지를 통해 사용자 참여를 유도하며 사회적 영향력을 확대하는 한편, 중독성, 유해 콘텐츠, 개인 정보 보호 문제 등 논란이 제기되기도 한다.
  • 인터넷 문화 - 이모지
    이모지는 1999년 NTT 도코모에서 처음 도입된 그림 문자로, 유니코드 표준 제정 후 전 세계적으로 확산되어 다양한 언어적 기능을 수행하며 대중문화에 영향을 미치지만, 플랫폼별 표현 방식 차이와 의미 해석 논란도 존재한다.
그레이햇
컴퓨터 해킹 종류
종류해커
모자 색깔회색
윤리적 입장
입장해커의 활동에 대한 의견이 분분함
합법성법적, 비합법적 활동 모두 가능
동기
동기다양한 동기 (예: 이익 추구, 사회적 목적)

2. 역사

'그레이 햇'이라는 용어는 1996년 DEF CON에서 처음 사용되었으며,[1] 1999년 해킹 그룹 L0pht가 뉴욕 타임스와의 인터뷰에서 자신들의 해킹 활동을 설명하면서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11]

2002년, Anti-Sec 커뮤니티는 낮에는 보안 업계에서 일하고 밤에는 블랙 햇 활동을 하는 사람들을 지칭하는 데 이 용어를 사용했다.[12]

이후 인터넷의 중요성이 커지고 테러에 대한 우려가 증가하면서 "화이트 햇"은 전면 공개를 지지하지 않는 기업 보안 전문가를 지칭하게 되었다.[13]

2008년, EFF는 그레이 햇을 보안 연구 및 개선을 위해 의도치 않게 또는 논란의 여지가 있지만 법을 위반하는 윤리적 보안 연구자로 정의하며, 더 명확하고 좁게 규정된 컴퓨터 공격 관련 법률을 옹호했다.[14]

2. 1. 초기 정의

"그레이 햇"이라는 문구는 1996년 DEF CON에서 최초의 블랙 햇 브리핑을 발표하면서 컴퓨터 보안 맥락에서 처음 공개적으로 사용되었지만, 이보다 앞서 소규모 그룹에서 사용되었을 수도 있다.[1] 이 컨퍼런스에서 해킹 그룹 L0pht의 핵심 멤버인 머지(Mudge)는 그레이 햇 해커로서 마이크로소프트에 취약점 발견 내용을 제공하여 다수의 운영 체제 사용자를 보호하겠다는 의도를 발표했다.[9] 마이크로소프트 서버 그룹의 이사인 마이크 내쉬는 그레이 햇 해커가 "제품을 개선하기 위한 피드백을 제공하는 데 가치가 있다"는 점에서 독립 소프트웨어 업계의 기술 전문가와 매우 유사하다고 말했다.[10]

1999년 L0pht는 ''뉴욕 타임스''와의 인터뷰에서 자신들의 해킹 활동을 설명하기 위해 "그레이 햇"이라는 문구를 사용했다.[11]

이 문구는 취약점을 소프트웨어 공급업체에 직접 윤리적으로 보고하는 해커들을 지칭하는데 사용되었다. 이는 취약점을 외부에 공개하지 않는 화이트 햇 커뮤니티에서 널리 퍼져 있던 전면 공개 관행과는 대조적이었다.[2]

2. 2. 의미 변화

"그레이 햇"이라는 문구는 1996년 DEF CON에서 블랙 햇 브리핑을 처음 발표하면서 컴퓨터 보안 분야에서 공개적으로 사용되기 시작했다.[1] 이 컨퍼런스에서 해킹 그룹 L0pht의 멤버 머지(Mudge)는 마이크로소프트에 취약점 발견 내용을 제공하여 많은 운영 체제 사용자를 보호하겠다는 의도를 밝혔다.[9] 마이크로소프트 서버 그룹 이사 마이크 내쉬는 그레이 햇 해커가 "제품 개선을 위한 피드백을 제공하는 데 가치가 있다"고 언급했다.[10]

1999년, L0pht 해커 그룹은 ''뉴욕 타임스''와의 인터뷰에서 자신들의 해킹 활동을 설명하며 "그레이 햇"이라는 용어를 사용했다.[11]

이 용어는 취약점을 소프트웨어 공급업체에 직접 윤리적으로 보고하는 해커들을 지칭하는 데 사용되었는데, 이는 화이트 햇 커뮤니티에서 널리 퍼져 있던 전면 공개 관행과는 다른 것이었다.[2]

그러나 2002년, Anti-Sec 커뮤니티는 낮에는 보안 업계에서 일하고 밤에는 블랙 햇 활동을 하는 사람들을 "그레이 햇"이라고 불렀다.[12]

이후 인터넷이 더 중요한 기능을 담당하고 테러에 대한 우려가 커지면서, "화이트 햇"이라는 용어는 전면 공개를 지지하지 않는 기업 보안 전문가를 지칭하는 용어로 변화하였다.[13]

2008년, EFF은 그레이 햇을 보안 연구 및 개선을 위해 의도치 않게 또는 논란의 여지가 있지만 법을 위반하는 윤리적 보안 연구자로 정의했다. 이들은 더 명확하고 좁게 규정된 컴퓨터 공격 관련 법률을 옹호한다.[14]

3. 주요 사례

아파치 서버 해킹 (2000년), AT&T 아이패드 사용자 이메일 주소 유출 (2010년), 애플아이폰, 아이패드 위치 정보 기록 (2011년), 마크 저커버그 페이스북 페이지 해킹 (2013년) 등은 그레이햇의 주요 사례로 꼽힌다. 이러한 사례들은 때로는 논란이 되기도 하지만, 시스템 보안 강화에 기여하기도 한다.

3. 1. 아파치 서버 해킹 (2000년)

2000년 4월, "{}"와 "Hardbeat"로 알려진 해커들이 아파치(Apache.org)에 무단으로 접근했다.[15] 그들은 아파치 서버를 손상시키기보다는 아파치 팀에 문제를 알렸다.[16]

3. 2. AT&T 아이패드 사용자 이메일 주소 유출 (2010년)

고트시 시큐리티라는 컴퓨터 전문가 그룹은 2010년 6월 AT&T의 보안 결함을 발견하여 아이패드(iPad) 사용자 이메일 주소가 공개될 수 있음을 알렸다.[17] 이들은 AT&T에 통보한 직후 언론에 이 사실을 공개했고, 연방 수사국(FBI)은 이 사건에 대한 조사를 시작하여 이 그룹의 가장 두드러진 멤버인 위브(weev)의 집을 급습했다.[18]

3. 3. 애플 아이폰, 아이패드 위치 정보 기록 (2011년)

2011년 4월, 전문가 그룹이 애플 아이폰과 3G 아이패드가 사용자가 방문한 위치를 기록하고 있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애플은 아이패드와 아이폰이 휴대폰이 접근할 수 있는 기지국만 기록하고 있다고 밝혔다.[19] 이 문제에 대한 수많은 기사가 쏟아졌으며, 이는 사소한 보안 문제로 여겨졌다. 이 사례는 전문가들이 악의적인 의도로 이를 사용할 수도 있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문제를 보고했기 때문에 "그레이햇"으로 분류될 것이다.[20]

3. 4. 마크 저커버그 페이스북 페이지 해킹 (2013년)

2013년 8월, 실직한 컴퓨터 보안 연구원 칼릴 슈레아테(Khalil Shreateh)는 페이스북 사용자의 동의 없이 모든 사용자의 페이지에 게시할 수 있는 버그를 발견했다. 그는 이 문제를 알리기 위해 마크 저커버그의 페이스북 페이지를 해킹했다.[21] 그는 페이스북에 이 버그를 알리려고 여러 번 시도했지만, 페이스북은 이 문제가 버그가 아니라고 말했다.[21] 이 사건 이후 페이스북은 전문적인 스팸 발송자들의 손에 강력한 무기가 될 수 있는 이 취약점을 수정했다.[21] 슈레아테는 페이스북의 정책을 위반했기 때문에 페이스북의 화이트햇 프로그램으로부터 보상을 받지 못했다.[21]

참조

[1] 웹사이트 White Hat? Black Hat? Grey Hat? http://www.ddth.com/[...] Jelsoft Enterprises 2002
[2] 서적 Grey Hat Hacking: The Ethical Hacker's Handbook McGraw-Hill Education
[3] 웹사이트 Red Hat Enterprise Linux 3 Security Guide http://docs.redhat.c[...] Red Hat 2003
[4] 웹사이트 Intrusion Systems Detection Terminology, Part one: A-H http://www.symantec.[...] Symantec
[5] 서적 Cybercrime: investigating high-technology computer crime Anderson Publishing
[6] 서적 Grey Hat SEO 2014: The Most Effective and Safest Techniques of 10 Web Developers. Secrets to Rank High including the Fastest Penalty Recoveries. https://www.amazon.c[...] Research & Co
[7] 간행물 Dark Traits and Hacking Potential https://articlegatew[...] 2021-07-09
[8] 웹사이트 Def Con Communications Presents The Black Hat Briefings https://www.blackhat[...] blackhat.com 1996
[9] 웹사이트 Microsoft Opens Dialogue With NT Hackers https://www.blackhat[...] 1997-07-15
[10] 웹사이트 The Rise of the Underground Engineer https://www.blackhat[...] 1997-09-22
[11] 뉴스 HacK, CouNterHaCk https://www.nytimes.[...] 1999-10-03
[12] 문서 Digitalsec.net http://www.digitalse[...]
[13] 뉴스 The thin gray line http://news.cnet.com[...] 2002-09-23
[14] 문서 EFF.org https://www.eff.org/[...]
[15] 간행물 Wired.com https://www.wired.co[...] Wired.com 2013-03-28
[16] 웹사이트 Textfiles.com http://web.textfiles[...]
[17] 뉴스 FBI Opens Probe of iPad Breach https://www.wsj.com/[...] Wall Street Journal 2010-06-11
[18] 뉴스 Apple's Worst Security Breach: 114,000 iPad Owners Exposed http://gawker.com/55[...] Gawker Media 2010-06-09
[19] 웹사이트 Apple Q&A on Location Data https://www.apple.co[...] Apple, Inc. 2011-04-27
[20] 웹사이트 Is Apple Tracking You? http://hackfile.org/[...]
[21] 웹사이트 Zuckerberg's Facebook page hacked to prove security flaw http://www.cnn.com/2[...] 2013-08-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