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그리스도 최고훈장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그리스도 최고훈장은 교황 훈장 중 가장 높은 등급으로, 전통적으로 가톨릭 국가 원수에게 수여되었다. 1905년 교황 비오 10세에 의해 교황 훈장 체계가 개편되면서 최상위 훈장으로 지정되었다. 과거 포르투갈 군주와 교황청 간에 수여 권한을 두고 분쟁이 있었으며, 1966년 교황 바오로 6세의 칙서로 인해 가톨릭 국가 원수에게만 수여하도록 제한되어 현재는 거의 수여되지 않는다. 1987년 몰타 기사단 단장에게 마지막으로 수여되었으며, 1993년 벨기에 국왕 사망 이후 생존한 수훈자는 없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교황청의 기사도 훈장 - 황금 박차 훈장
    황금 박차 훈장은 14세기 라테라노 궁전 백작 작위에서 유래된 교황 기사 작위로, 한때 세습 귀족 작위와 연관되었으나 19세기 개혁을 거쳐 현재는 회원 자격이 제한된 교황 훈장 중 두 번째로 높은 훈장이며, 권위주의 지도자 수여 논란이 있다.
  • 교황청의 기사도 훈장 - 성 실베스테르 교황 기사단 훈장
    성 실베스테르 교황 기사단 훈장은 교회에 기여한 가톨릭 신자와 비가톨릭 신자에게 수여되는 교황 기사단 훈장이며, 1905년 분리되었고, 현재 3개의 등급과 사령관의 별장 유무에 따라 4개의 등급으로 나뉘며, 여성에게도 수여된다.
그리스도 최고훈장
개요
그리스도 훈장의 별과 배지
그리스도 훈장의 별과 배지
수여 기관교황청
유형교황 기사단
제정1319년
수여 대상가톨릭 국가 원수
수여 이유교회에 대한 공헌
현황휴지 훈장
단장교황 프란치스코
등급기사
상위 훈장없음 (최고 등급); 성직자(신학자, 철학자, 외교관 등)는 교황과 교황청에 대한 공로로 추기경이나 주교로 임명될 수 있음
하위 훈장황금박차 훈장
훈장 약장
훈장 약장

2. 분쟁

교황청과 포르투갈 왕실은 그리스도 최고훈장 수여 권한을 두고 분쟁을 벌였다. 교황청은 1319년 교황 칙서를 근거로 훈장 수여 권한이 교황에게 있다고 주장했으나, 포르투갈 왕실은 왕실만이 유일한 명예의 원천이라며 반박했다. 이 분쟁은 조반니 니콜로 세르반도니 체포 사건에서 잘 드러난다.[1]

2. 1. 포르투갈 왕실과 교황청의 갈등

교황청은 포르투갈 군주가 이 훈장을 수여할 권리가 1319년 3월 14일~15일 아비뇽에서 발행된 교황 칙서 ''Ad ea ex quibus''에서 교황에 의해 부여되었다고 주장했다. 비록 칙서 자체는 교황에게 훈장 수여 권한을 명시적으로 부여하지는 않지만, 요한 22세 이후 역대 교황들은 훈장을 수여해왔다.

오랜 세월 동안, 포르투갈 군주는 교황청의 훈장 수여 권한을 두고 논쟁을 벌였다. 한 예로, 이탈리아 건축가 조반니 니콜로 세르반도니가 교황 훈장을 착용했다는 이유로 체포된 사건이 있었다.[1] 포르투갈 왕실은 유일한 합법적인 명예의 원천은 왕실이라는 입장이었다.[1] 반면 로마 가톨릭 교회는 교황이 모든 가톨릭 종교 단체의 수장이므로 훈장 총장의 허가 없이 자신이 적합하다고 판단하는 누구에게나 재량에 따라 훈장을 수여할 수 있다는 공식 입장을 견지했다.[2]

2. 2. 양측의 주장

포르투갈 왕실과 교황청은 그리스도 최고훈장 수여 권한을 두고 각자의 주장을 펼쳤다.

포르투갈 왕실은 왕실만이 유일한 합법적인 명예의 원천이라고 주장했다.[1] 반면 교황청은 교황이 모든 가톨릭 종교 단체의 수장이며, 훈장 총장의 허가 없이도 적합하다고 판단되는 사람에게 훈장을 수여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2]

교황청은 1319년 3월 14일~15일 아비뇽에서 발행된 교황 칙서 ''Ad ea ex quibus''를 통해 포르투갈 군주에게 훈장 수여 권한이 부여되었다고 주장했다. 칙서 자체에는 교황에게 훈장 수여 권한이 명시되지 않았지만, 요한 22세 이후 역대 교황들은 훈장을 수여해 왔다.

이러한 권한 논쟁으로 인해, 포르투갈 군주는 교황청의 훈장 수여에 이의를 제기했다. 이탈리아 건축가 조반니 니콜로 세르반도니가 교황 훈장을 착용했다는 이유로 체포된 사건이 대표적이다.

3. 교황 훈장 중 최상위 훈장으로 지정

교황 비오 10세는 1905년에 교황 훈장들을 전체적으로 개편하면서, 그리스도 최고 훈장을 교황이 수여하는 훈장 중 가장 높은 등급으로 지정하였다. 이 훈장은 전통적으로 가톨릭 국가 원수에게 수여되어 왔다.

4. 수여 제한

교황 바오로 6세는 1966년 4월 15일 교황 칙서 ''Equestres Ordinis''를 통해 그리스도 최고훈장 수여 대상을 가톨릭 국가 원수로 제한하고, 교황이 직접 참석하는 특별한 행사를 기념하는 경우에만 수여하도록 했다.[3][4]

4. 1. 수여 제한의 영향

바오로 6세는 1966년 4월 15일 교황 칙서 ''Equestres Ordinis''를 통해 이 훈장을 가톨릭 국가 원수에게만 수여하고, 교황이 직접 참석하는 아주 특별한 행사를 기념할 때만 수여하도록 제한했다.[3][4] 그 이후 이 훈장은 거의 수여되지 않았으며, 마지막 수여는 1987년 7월 3일 교황 요한 바오로 2세몰타 기사단의 77대 단장 겸 그랜드 마스터였던 프라 안젤로 데 모야나에게 수여한 것이다. 1993년 7월 31일 벨기에의 보두앵 국왕이 사망함에 따라 현재 살아있는 그리스도 최고 훈장 수훈자는 없다.

5. 주요 수훈자

그리스도 최고 훈장은 역사적으로 여러 주요 인물에게 수여되었다. 이 훈장을 받은 사람들의 목록은 하위 섹션에 상세히 나와 있다.

5. 1. 주요 수훈자 목록


  • 콘라트 아데나워
  • 안할트-쾨텐의 프리드리히 페르디난트 공작
  • 아우어스페르크의 아돌프 공
  • 조반니 바글리오네[6]
  • 벨기에의 보두앵
  • 루드비히 폰 베네데크
  • 오토 폰 비스마르크 (유일한 개신교 수훈자)
  • 프란체스코 보로미니
  • 니컬러스 프레데릭 브래디
  • 모나코의 샤를 3세 공
  • 루도비코 키기 알바니 델라 로베레
  • 마르칸토니오 5세 콜론나
  • 르네 코티
  • 루이지 에이나우디
  • 오스트리아의 에우겐 대공
  • 부르봉-파르마의 펠릭스 공
  • 오스트리아의 프란츠 페르디난트 대공
  • 페르디난도 푸가
  • 막시밀리안 폰 퓌르스텐베르크
  • 샤를 드골
  • 알레한드로 그로이자르 이 고메스 데 라 세르나
  • 프로이센의 하인리히 왕자 (1862–1929)
  • 하인리히 폰 헤스
  • 스페인의 이사벨 2세
  • 호엔로에-실링스퓌르스트의 콘스탄틴
  • 조반니 란프란코
  • 알베르 르브룅
  • 발터 폰 뢰
  • 클라우디오 로페스, 코미야스 후작
  • 빌헬름 미클라스
  • 막시밀리안 카를 라모랄 오도넬
  • 프란시스코 프랑코
  • 안젤로 데 모자나 디 콜로냐
  • 조지 로빈슨, 리폰 후작
  • 알레산드로 루스폴리, 체르베테리 공
  • 안토니오 세그니
  • 페르디난트 반 스포엘베르흐
  • 마시모 스탄치오네
  • 이탈리아의 움베르토 2세
  • 안토니오 아길라르 이 코레아, 베가 데 아르미호 후작
  • 페터 안톤 폰 페르샤펠트
  • 이탈리아의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3세
  • 에몬 데 발레라
  • 에드먼드 워터턴

참조

[1] 웹사이트 The Military Order of Christ and the Papal Croce di Cristo http://jvarnoso.com/[...]
[2] 백과사전 Order of St. Gregory the Great https://books.google[...] Robert Appleton Co.
[3] 뉴스 Diarium Romanae Curiae https://www.vatican.[...] 1987-08-06
[4] 서적 Orders of Knighthood and of Merit C. Smythe
[5] 서적 The Church Visible: The Ceremonial Life and Protocol of the Roman Catholic Church https://archive.org/[...] Viking
[6] 웹사이트 Cavaliere Giovanni Baglioni http://www.newadvent[...] Robert Appleton Company 2022-12-3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