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그리스도의 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그리스도의 피는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 죽음을 의미하며, 기독교 신학에서 중요한 개념으로 다루어진다. 성경에서는 예수의 보혈이 죄를 속죄하고, 새 생명을 주며, 영원한 기업을 얻게 하는 능력으로 묘사된다. 가톨릭교회는 미사 성찬례에서 빵과 포도주가 그리스도의 몸과 피로 변한다고 가르치며, 동방 정교회 또한 성찬례에서 빵과 포도주가 예수 그리스도의 실제 몸과 피라고 믿는다. 그리스도의 피에 대한 신심은 플랑드르 지방을 중심으로 발전했으며, 다양한 성혈 유물이 존재한다. 또한, 그리스도의 피는 기독교 미술에서 중요한 주제로 다루어졌다.

2. 성경에서의 보혈

히브리서 기자는 희생 제사를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 죽음을 가리키는 것이라고 말한다. 구약의 속죄 희생 제물은 하나님의 어린양 예수 그리스도를 가리킨다. 대제사장은 부활하신 예수 그리스도를 가리킨다. 희생 제사를 드리던 성전 뜰은 주님께서 죽으신 골고다 언덕을 가리킨다. 구약의 성막은 손으로 짓지 아니한, 창조에 속하지 아니한 완전한 성막, 즉 하나님의 영광스런 임재가 있는 영원한 천국을 가리킨다.

히브리서 9장 11-22절에서 성경은 예수님의 보혈의 능력을 세 가지로 말한다.

# 우리의 모든 죄를 다 속죄하신다. (12절) 우리의 모든 죄값을 완전히, 그리고 영원히 지불하신다.

# 우리를 하나님을 섬기는 새로운 생명으로 거듭나게 하신다. (14절)

# 영원한 기업을 약속으로 얻게 하신다. (15절) 예수님의 십자가 보혈로 죄사함을 입고 새 생명으로 거듭난 성도는 하나님의 나라에서 영광스럽고 풍성한 기업을 얻게 될 것이다.

3. 신학

히브리서 기자는 희생 제사를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 죽음을 가리키는 것이라고 말한다. 구약의 속죄의 희생제물은 하나님의 어린양 예수 그리스도를 가리키며, 대제사장은 부활하신 예수 그리스도를 가리킨다. 희생 제사를 드리던 성전 뜰은 주님께서 죽으신 골고다 언덕을 가리킨다. 구약의 성막은 손으로 짓지 아니한, 창조에 속하지 아니한 완전한 성막, 즉 하나님의 영광스런 임재가 있는 영원한 천국을 가리킨다.[1]

히브리서 9장 11-22절에 따르면, 예수님의 보혈은 다음과 같은 세 가지 능력을 가진다.[1]

# 우리의 모든 죄를 속죄하고, 죄값을 완전히, 그리고 영원히 지불한다. (12절)[1]

# 우리를 하나님을 섬기는 새로운 생명으로 거듭나게 한다. (14절)[1]

# 영원한 기업을 약속으로 얻게 한다. 즉, 죄사함을 받고 새 생명으로 거듭난 성도는 하나님의 나라에서 영광스럽고 풍성한 기업을 얻게 된다. (15절)[1]

각 교단별 보혈에 대한 신학적 해석은 다음과 같다.


  • '''로마 가톨릭교회'''는 미사 때 빵과 포도주가 그리스도의 몸과 피로 실체변화한다고 가르친다.
  • '''동방 정교회'''는 성찬례에서 받는 빵과 포도주가 부활하신 예수 그리스도의 실제 몸과 피라고 가르친다.
  • '''개신교'''는 성찬을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 희생을 기념하는 상징적인 예식으로 이해한다.

3. 1. 로마 가톨릭교회

가톨릭교회는 미사 성제 때 집전 사제의 축복 기도와 동시에 성령의 힘이 내려와 빵과 포도주가 그리스도의 몸과 피로 실체변화한다고 가르친다. 가톨릭교회는 최후의 만찬에서 예수 그리스도가 성찬례를 제정할 때 빵과 포도주를 들어 올리면서 “이것은 내 몸이다.”, “이것은 내 피다.”라고 한 말에서 “이다.”라는 말은 사물의 본질에 대하여 말하고 있으므로 단순하게 “상징한다.”라고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고 보고 있다.[5] 2세기 순교자 안티오키아의 이냐시오는 성찬례에 대해 다음과 같이 증언했다.

“나는 하느님의 빵을 갈망한다. 이 빵은 다윗 가문의 출신 예수 그리스도의 살이다. 나는 하느님의 음료를 원한다. 이 음료는 썩지 않는 사랑인 그분의 피다.”

그리스도의 성혈에 대한 신심은 15세기 플랑드르 지방을 기점으로 발전하였는데, 하느님의 어린양인 그리스도에게서 또는 그리스도의 거룩한 상처에서 흘러나오는 피로 가득 찬 생명의 샘의 은총을 부각시켰다.

다음은 지극히 고귀한 그리스도의 성혈 호칭 기도의 일부이다.

기도문
○ 주님, 자비를 베푸소서.
○ 주님, 자비를 베푸소서.
○ 우주의 창조자이신 하느님,
○ 세상을 구원하신 하느님,
○ 거룩한 삼위일체이신 하느님,
○ 영원하신 하느님의 외아들이신 그리스도의 성혈이여,
○ 새롭고 영원한 계약의 궤이신 그리스도의 성혈이여,
○ 사랑과 자비의 샘이신 그리스도의 성혈이여,
○ 성심을 열어 쏟아주신 그리스도의 성혈이여,
○ 매 맞으실 때 흘리신 그리스도의 성혈이여,
가시관을 쓰셨을 때 흘리신 그리스도의 성혈이여,
십자가 위에서 흘리신 그리스도의 성혈이여,
○ 창에 찔리신 그리스도의 성혈이여,
○ 늑방에서 흘리신 그리스도의 성혈이여,


3. 2. 동방 정교회

동방 정교회는 성찬례에서 받는 빵과 포도주가 부활하신 예수 그리스도의 실제 몸과 피라고 가르친다. 서방 교회와 달리, 변화의 순간을 특정하지 않고, 에피클레시스(성령 청원 기도)가 끝날 때 변화가 완료된다고 본다. 동방 정교회는 '실체 변화'라는 용어 대신 메투시오시스라는 단어를 사용하며, 성찬례를 통해 그리스도의 몸과 피를 함께 받는다.

비잔틴 전례를 따르는 동방 가톨릭 교회에서는 그리스도의 몸과 분리되거나 성찬례의 수령과 분리된 그리스도의 피에 대한 개별적인 신심은 존재하지 않는다.

성직자(부제, 사제, 주교)는 성찬례를 받을 때 그리스도의 몸을 그리스도의 피와 따로 받는다. 그런 다음, 축성된 제병의 남은 부분은 쪼개져 성작(잔)에 담기고, 그리스도의 몸과 피는 전례용 숟가락을 사용하여 신자들에게 전달된다(친수례 참조).

3. 3. 개신교 (한국 개신교 관점 추가)

개신교는 로마 가톨릭교회의 실체 변화설을 부정하며, 성찬을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 희생을 기념하는 상징적인 예식으로 이해한다. 특히 한국 개신교는 히브리서 9장 11-22절 말씀을 바탕으로 예수 그리스도의 보혈의 의미를 강조하며, 죄 사함과 구원의 확신을 얻는 중요한 은혜의 수단으로 여긴다.[1]

예수 그리스도의 보혈은 다음 세 가지 능력을 가진다고 믿는다.[1]

  • 우리의 모든 죄를 속죄한다. (12절) 죄값을 완전히, 그리고 영원히 지불한다.[1]
  • 하나님을 섬기는 새로운 생명으로 거듭나게 한다. (14절)[1]
  • 영원한 기업을 약속으로 얻게 한다. (15절) 죄사함을 받고 새 생명으로 거듭난 성도는 하나님의 나라에서 영광스럽고 풍성한 기업을 얻게 된다.[1]


히브리서 기자는 희생 제사가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 죽음을 가리키는 것이라고 말한다. 구약의 속죄 희생제물은 하나님의 어린양 예수 그리스도를 가리키며, 대제사장은 부활하신 예수 그리스도를 가리킨다. 희생 제사를 드리던 성전 뜰은 주님께서 죽으신 골고다 언덕을 가리킨다. 구약의 성막은 손으로 짓지 아니한, 창조에 속하지 아니한 완전한 성막, 즉 하나님의 영광스런 임재가 있는 영원한 천국을 가리킨다.[1]

4. 역사

초대 교회에서는 신자들이 축성된 빵과 포도주의 형태로 성찬례를 받았다. 막시모스는 구약에서는 제물의 살을 백성들과 나누었지만, 제물의 피는 단순히 제단에 쏟았다고 설명한다. 그러나 새 율법 아래에서 예수의 피는 그리스도의 모든 신자들이 함께 마시는 음료였다. 2세기의 초기 교부인 유스티노는 성찬례를 예수의 성육신에 현존했던 그리스도의 몸과 피와 같다고 말한다.[3]

동방 교회에서는 빵과 포도주의 성질을 섞는 전통이 지속된 반면, 서방 교회에서는 빵과 포도주의 성질로 성체를 따로 나누어주는 관습이 있었으며, 빵의 작은 조각만을 성작에 넣었다. 서방에서는 질병 확산의 위험과 쏟아짐(잠재적으로 신성 모독이 될 수 있음)의 위험이 성작을 일반적인 성체 분배에서 완전히 제거하거나 특별한 경우에만 주는 충분한 이유로 여겨지면서, 성작을 통한 성체 분배가 점점 덜 일반화되었다. 그러나 평신도가 참여하는지에 관계없이 사제는 항상 축성된 포도주를 마셨다. 이는 종교 개혁 동안 논쟁이 벌어진 쟁점 중 하나였다.[3] 그 결과, 가톨릭 교회는 먼저 모호성을 제거하고 빵과 포도주의 두 성질 모두에서 그리스도가 몸과 피로 동등하게 현존함을 재확인하고자 했다.[3] 시간이 지남에 따라 성작은 평신도에게 더 널리 제공되었다. 제2차 바티칸 공의회 이후, 가톨릭 교회는 사제의 재량에 따라 회중이 참여하는 모든 미사에서 모두가 성작에서 성체를 받을 수 있도록 완전한 허가를 내렸다.[4]

플라망족의 경건함에서 특별한 현상이었던 귀중한 피에 대한 헌신은 15세기와 16세기에 나타났으며, 이는 피로 가득 차 부상당한 "하느님의 어린 양" 또는 그리스도의 성스러운 상처에서 흘러나오는 "생명의 샘"으로서의 신성한 은총의 상징적 이미지를 낳았다. 수많은 플랑드르 회화의 주제가 되었던 이 이미지는 적어도 12세기부터 브뤼헤에서 주목받았던 귀중한 피의 유명한 유물에 의해 부분적으로 촉진되었으며,[5] 13세기 말부터 브뤼헤 고유의 관습인 성혈 경당에서 "생 상(Saint Sang)" 행렬이 시작되었다.[6]

5. 성혈 유물



전 세계 여러 곳에 그리스도의 성혈과 관련된 유물이 보관되어 있다. 대표적인 유물 보관 장소는 다음과 같다.[5][6]

위치보관 장소비고
프랑스 페캉생트 트리니테 수도원
이탈리아 만토바만토바의 산탄드레아 대성당
벨기에 브뤼헤성혈 대성당13세기 말부터 성혈 경당에서 "생 상(Saint Sang)" 행렬이 시작되었다.
독일 로텐부르크 옵 데어 타우버로텐부르크 옵 데어 타우버의 성 야고보 교회
영국 웨스트민스터성혈 유물
스페인 오비에도오비에도 수다리움
이탈리아 토리노토리노의 수의
독일 바인가르텐 수도원


6. 예술적 묘사

그리스도가 흘린 피는 초기 근대 이탈리아 미술에서 흔한 주제였다. 십자가에 매달린 그리스도와 고통받는 인간의 그림은 기독교 미술에서 가장 피가 많이 묘사된 이미지 중 하나였다. 그리스도의 피는 그의 성육신과 희생을 나타내는 강력한 예술적 상징이었다. 묵상의 주제로서, 신자들에게 헌신을 표현하는 수단을 제공했다.[7]

참조

[1] 웹사이트 Decree XVII http://catholicity.e[...] 2011-09-27
[2] 웹사이트 question 339 http://www.pravoslav[...]
[3] 웹사이트 Communion under Both Kinds https://www.newadven[...] Robert Appleton Company 2022-12-28
[4] 웹사이트 Reception of the Eucharist Under Two Species http://www.pastorall[...] Liturgy Training Publications 2022-12-28
[5] 간행물 "The Fountain of Life: An Iconographical Study" The Burlington Magazine 1910-05
[6] 서적 "Essai sur l'histoire du Saint Sang" Bruges 1857
[7] 학술지 Saintly blood: absence, presence, and the alter Christus http://go.galegroup.[...] 20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