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글라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글라시는 고대 요새부터 근대 초기 유럽 요새, 현대의 전차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형태로 사용된 방어 시설을 의미한다. 고대 이집트 시대에는 공성 무기의 공격을 막기 위해 사용되었고, 중세 시대에는 성벽 오르기를 방해하고 미사일의 튕김을 유도하는 역할을 했다. 근대 유럽 요새에서는 수비수가 공격 부대에 대한 시야를 확보하고 대포 공격을 방어하는 데 기여했다. 현대에는 전차의 장갑에서 경사진 부분을 지칭하며, 발사체의 관통을 막고 대전차 지뢰로부터 방어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유럽의 여러 도시에서는 과거 글라시가 있던 자리에 도로명이나 지명이 남아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차량 장갑 - 포방패
    포방패는 기관총이나 대포 사수를 보호하기 위해 사용되는 금속 장갑판이며, 베트남 전쟁에서 처음 사용된 후 이라크와 아프가니스탄 등지에서 널리 사용되었고, 시야 제한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투명 장갑 총 방패와 같은 개선된 설계가 개발되었다.
  • 차량 장갑 - 거북 전차
  • 방어용 건축의장 - 망루
    망루는 감시 및 경계를 위해 사용되는 탑 형태의 건축물로서, 고대부터 현대까지 다양한 시대와 지역에서 군사적, 비군사적 목적으로 활용되어 왔다.
  • 방어용 건축의장 - 성곽
    성곽은 요새화된 장소의 방어를 위해 구축된 구조물로, 시대에 따라 흙, 돌, 벽돌, 두꺼운 벽 등의 재료와 형태를 달리하며 군사 기술과 건축 양식의 발전을 보여준다.
글라시
개요
유형성곽 방어 시설
목적적의 공격 지연 및 사격에 대한 방어
구성 요소경사진 지면, 참호, 성벽
역사
기원고대 근동 지역
발전중세 시대 유럽 성곽에서 중요한 방어 요소로 발전
현대적 변화화력의 발전으로 인해 점차 중요성 감소
구조 및 기능
경사면적의 접근을 어렵게 하고, 사격 각도 확보
재료흙, 돌, 벽돌 등 다양한 재료 사용
각도일반적으로 45도 이하의 완만한 경사
위치성벽 앞쪽에 위치하여 방어선 형성
전략적 이점
방어 효과적의 공격 속도 감소 및 노출 증가
사격 용이성방어병력에게 유리한 사격 위치 제공
심리적 효과공격자에게 심리적 압박감 조성
단점
건설 비용상당한 비용과 노동력 소모
공간 효율성넓은 공간 필요
현대전에서의 한계포병 공격에 취약

2. 역사적 배경

글라시는 성이나 요새 주변에 만든 경사면으로, 적의 공격을 막는 데 사용되었다. 고대 이집트 시대부터 사용되었으며, 중세 시대와 근대 초기 유럽 요새에서 중요한 방어 시설이었다.

고대 이집트인들은 누비아 셈나 요새에 글라시를 설치하여 적의 공성 무기가 방어벽을 약화시키는 것을 막았다. 영국의 언덕 요새에서도 기원전 350년경부터 글라시가 사용되었는데, 도싯주의 메이든 성의 글라시는 높이가 25m에 달했다.[1]

중세 시대 글라시는 사면이라고도 불렸으며, 성벽을 강화하고 성벽 오르기를 방해하며, 성가퀴에서 떨어지는 미사일이 공격군에게 튕겨나가도록 했다.[1] 중세 말기에는 대포 공격에 대한 방어력을 높이기 위해 흙 경사면을 석재로 덮고, 성벽과 보루(탑) 앞에 설치하여 대포 발사 충격을 흡수하거나 빗나가게 했다.[2]

근대 초기 유럽 요새에서는 글라시를 통해 공격자가 마지막 순간까지 수비수 사격에 노출되도록 했다. 글라시는 성벽 상단을 향해 경사진 낮은 경사면으로, 수비수가 공격 부대를 직접 보면서 성가퀴에서 화력으로 전장을 효율적으로 제압할 수 있게 했다. 또한 흙둑은 벽이 대포 사격에 직접 타격받는 것을 막았다.[1]

고지대 수비수는 이미 직접적인 시야를 확보하고 있지만, 글라시는 사격 시 총기 각도 변화를 최소화하여 사격 범위를 효율적으로 제압할 수 있게 했다. 공격 대포는 글라시와 해자를 통과하기 전까지는 벽을 볼 수 없어, 요새 벽에 명확한 사격을 가하기 어려웠다.

해자 외연벽(성벽 반대편 벽)에는 엄폐 참호가 설치되어 해자 내부에서 병력과 무기를 이동할 수 있었는데, 이 엄폐 참호를 가린 것이 사대 흙이었다. 이 흙을 흉벽 대신 사용하여 엄폐 참호에서 사격할 수 있었기 때문에, 요새 수비를 해자 전면에서 시작할 수 있었다.

적에게 엄폐물로 이용되지 않도록 글라시에 건물이나 수목을 두지 않는 것이 일반적이었지만, 갱도 작전을 방해하기 위해 뿌리가 깊은 식물을 심거나 말뚝울타리를 설치하기도 했다.

성형 요새 방어 시스템에서는 능보(稜堡, Bastion)와 다각형 성벽에 사대가 더해져 성벽 주변 공간에 적병 사각이 생길 여지를 없앴다.

2. 1. 고대 요새

글라시는 고대 이집트인들이 누비아의 셈나에 건설한 것과 같은 고대 요새에서도 나타날 수 있다. 그들은 적의 공성 무기가 방어벽을 약화시키는 것을 막기 위해 글라시를 사용했다.

영국의 언덕 요새는 기원전 350년경부터 글라시를 통합하기 시작했다. 도싯주의 메이든 성의 경우 글라시의 높이는 25m였다.[1]

2. 2. 중세 요새

크라크 데 슈발리에, 시리아에 있는 중세 십자군 요새. 가파른 글라시가 있는 내부 구역의 남쪽 면


글라시스는 사면이라고도 불리며, 중세 요새에 통합되어 굴착에 대한 벽을 강화하고, 성벽 오르기를 방해하며, 성가퀴에서 떨어지는 미사일이 글라시스를 맞고 공격군으로 튕겨나가도록 하는 역할을 했다.[1]

중세 시대 말기에 일부 성은 대포에 대한 방어력을 높이기 위해 개조되었다. 흙 경사로 이루어진 글라시스는 석재로 덮였으며, 대포 발사의 충격을 흡수하거나 빗나가게 하기 위해 성벽과 보루(탑) 앞에 설치되었다. 탑은 성벽과 같은 높이로 낮아졌고, 대포 플랫폼으로 전환되었다.[2]

2. 3. 근대 초기 유럽 요새

근대 초 유럽의 요새는 잠재적인 공격자가 마지막 순간까지 수비수의 사격에 노출되도록 건설되었다. 자연적이고 평평한 지형에서 높은 구조물을 공격하는 병력은 접근 시 화력으로부터 어느 정도 보호를 받는다. 글라시(glacis)는 벽 상단을 향해 경사진 낮은 경사면으로 구성된다. 이는 수비수에게 공격 부대에 대한 직접적인 시야를 제공하여 성가퀴에서 화력으로 전장을 효율적으로 제압할 수 있게 했다. 또한 부차적인 효과로, 흙둑은 벽이 대포 사격에 직접적으로 타격을 받는 것을 막아주었다.[1]

고지대의 수비수는 이미 직접적인 시야를 확보하고 있지만, 글라시는 사격 시 총기의 각도 변화를 최소화하여 사격 범위를 보다 효율적으로 제압할 수 있게 해준다. 게다가 글라시는 공격 대포가 요새의 벽에 대한 명확한 사격을 가하는 것을 막아준다. 왜냐하면 일반적으로 글라시를 건너고 매끄럽고 석조로 된 절벽과 반대 절벽으로 양쪽이 경계가 지어진 해자를 통과하기 전까지는 벽을 볼 수 없기 때문이다.

근세 유럽의 요새가 이상으로 추구한 것은 공격자가 접근해오는 마지막 순간까지 화포에 노출시킬 수 있는 구조였다. 일반적으로 평평한 지형에서 병사가 높은 건축물에 접근하면 몸을 숨길 수 있는 쉘터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에 반해, 해자 주변에 흙을 쌓아 사대(斜堤)를 설치하고, 성벽의 꼭대기로 향하는 완만한 경사를 만들면, 수비 측은 사면 위를 화포로 휩쓸 수 있게 되었다. 이때, 포의 각도는 최소한의 변경으로 가능했기 때문에, 거의 고정된 각도로 휩쓸 수 있어, 휩쓸기의 효율을 높이는 효과를 얻었다. 공격 측에서는 사대를 가로질러 해자에 도달해야 성벽이 보였고, 사대 아래에서 쏴도 사대의 흙에 맞을 뿐이었으며, 수비 측은 성벽에 대한 화포의 직격을 회피할 수 있는 이점도 함께 얻었다.[3][4]

해자의 외연벽(성벽에서 볼 때 반대편에 위치한 벽)에는 엄폐 참호가 설치되어, 해자 내부에서의 병력·무기의 이동을 가능하게 했지만, 이 엄폐 참호를 가리고 있던 것이 사대의 흙이었다. 이 흙을 적의 화포로부터 몸을 숨기는 흉벽 대신으로 하여 엄폐 참호에서 사격할 수 있었기 때문에, 요새의 수비를 해자 전면부에서 시작할 수 있었다. 공격 측으로서는, 성벽 내부로 쳐들어가기 위해서는, 먼저 사대를 돌파하고, 다음에 해자(와 삼각보루 등의 부속 성외 설비)를 공략해야 비로소 성벽에 접근할 수 있게 된다. 이처럼 여러 겹으로 얽혀있는 성곽 방어망 중에서, 그 최전선에 위치한 것이 사대(와 그것을 지키기 위한 엄폐 참호)였다.

적 측에 몸을 숨기는 엄폐물로 이용되지 않도록, 사대에는 건물이나 수목을 두지 않고, 빈터로 만드는 것이 군사 이론상 이상이었지만, 지하도를 파서 성벽 내로 침투하는 갱도 작전을 방해하기 위해, 사대에 뿌리가 깊은 식물을 심는 경우도 있었다. 사대 위에 말뚝울타리를 설치하여 접근의 장애물로 삼기도 했다.

이상과 같이, 성형 요새의 방어 시스템에서는, 오각형으로 성형한 능보(稜堡, Bastion)와 다각형으로 둘러싼 성벽에, 사대가 더해짐으로써, 성벽 주변의 공간에 적병의 사각이 생길 여지를 없앨 수 있었다.

3. 구조

근세 유럽 요새는 공격자가 접근하는 마지막 순간까지 화포에 노출될 수 있는 구조를 추구했다. 평평한 지형에서 병사가 높은 건축물에 접근하면 몸을 숨길 수 있지만, 해자 주변에 흙을 쌓아 만든 완만한 경사인 사대(斜堤)를 설치하면 수비 측은 사면 위를 화포로 휩쓸 수 있었다. 포의 각도는 최소한으로 변경해도 충분했기 때문에, 거의 고정된 각도로 효율적인 휩쓸기가 가능했다.[3][4]

공격 측은 사대를 가로질러 해자에 도달해야 성벽이 보였고, 사대 아래에서는 사대의 흙 때문에 공격이 어려웠다. 반면 수비 측은 성벽에 대한 화포 직격을 피할 수 있었다.

해자 외연벽(성벽 반대편 벽)에는 엄폐 참호가 설치되어 해자 내부에서 병력과 무기를 이동할 수 있었는데, 이 엄폐 참호를 가리는 것이 사대의 흙이었다. 이 흙은 적의 화포로부터 몸을 숨기는 흉벽 역할을 하여 엄폐 참호에서 사격할 수 있었기 때문에, 요새 수비를 해자 전면부에서 시작할 수 있었다. 공격 측은 성벽 내부로 쳐들어가기 위해 먼저 사대를 돌파하고 해자와 삼각보루 등의 부속 성외 설비를 공략해야 했다. 이처럼 여러 겹의 성곽 방어망 중 최전선에 위치한 것이 사대와 엄폐 참호였다.

사대에는 건물이나 수목을 두지 않고 빈터로 만드는 것이 군사 이론상 이상이었지만, 갱도 작전을 방해하기 위해 뿌리가 깊은 식물을 심거나 말뚝울타리를 설치하기도 했다.

성형 요새의 방어 시스템에서는 오각형으로 성형한 능보(稜堡)와 다각형 성벽에 사대가 더해져 성벽 주변 공간에 적병의 사각이 생길 여지를 없앴다.

4. 현대의 글라시

현대 유럽 도시에는 "글라시"라는 이름이 붙은 도로명이나 지명이 많이 남아있는데, 이는 과거에 글라시(사제)가 있던 자리를 오늘날까지 알려주는 것이다.

다음은 유럽 각 도시의 "글라시" 관련 지명 및 도로명 예시이다.

국가도시지명/도로명의미종류
독일쾰른아헤너 글라시(Aachener Glacis)아헨의 글라시지명
독일쾰른포어게빌쿠스 글라시 베크(Vorgebirgsglacisweg)앞산 글라시의 작은 길도로
독일함부르크알스터 글라시(Alsterglacis)지명
독일함부르크글라시 쇼세(Glacischaussee)지명
독일함부르크홀스텐 글라시(Holstenglacis)지명
독일베젤베젤러 글라시(Weseler Glacis)지명
독일베젤암 리페글라시(Am Lippenglacis)도로
독일베젤암 노르트글라시(Am Nordglacis)도로
독일베젤암 오스트글라시(Am Ostglacis)도로
독일베젤암 베스트글라시(Am Westglacis)도로
독일뷔르츠부르크글라시(Glacis)링 공원
독일잉골슈타트글라시(Glacis)지명
독일잉골슈타트글라시 브뤼케(Glacisbrücke)글라시 다리다리
독일민덴글라시 브뤼케(Glacisbrücke)글라시 다리다리
독일민덴마리엔 글라시(Marienglacis)마리아의 글라시지명
독일민덴민데너 글라시(Mindener Glacis)민덴의 글라시지명
독일자르루이임 글라시(Im Glacis)글라시 내지명
오스트리아레오벤글라시 가세(Glacisgasse)글라시의 길도로
오스트리아레오벤암 글라시(Am Glacis)지명
스위스제네바뤼 드 글라시-드-리브(Rue des Glacis-de-Rive)해변의 글라시 거리도로
독일브라이자흐 암 라인, 드레스덴, 게르머스하임, 란다우, 노이 울름글라시슈트라세(Glacisstraße)글라시 거리도로
오스트리아그라츠글라시슈트라세(Glacisstraße)글라시 거리도로
스위스졸로투른글라시슈트라세(Glacisstraße)글라시 거리도로
룩셈부르크룩셈부르크플라스 뒤 글라시(Place du Glacis)글라시 광장광장
체코브르노글라시(Glacis)지명 (현재는 체코어로 콜리슈테(Koliště)라고 불린다)
네덜란드호르쿰, 포틀랜드 섬(영국), 도싯 군글라시(Glacis)지명
영국령지브롤터글라시 로드(Glacis Road)글라시의 길도로
네덜란드베르겐 옵 좀, 헤르트루이덴베르흐, 사스 판 헨트, 플리싱겐글라시스트라트(Glacisstraat)글라시 거리도로
독일베를린, 프라이부르크, 필립스부르크, 마인츠-카스텔, 뷔르츠부르크글라시베크(Glacisweg)글라시의 작은 길도로
네덜란드헬레보엣슬루이스, 훌스트, 마스트리흐트글라시베크(Glacisweg)글라시의 작은 길도로
프랑스상토메르알레 드 글라시(Allée des Glacis), 아브뉘 드 글라시(Avenue des Glacis)글라시의 작은 길, 글라시 대로도로
프랑스바폼, 롱위, 상토메르, 탈랑슈망 드 글라시(Chemin de Glacis)글라시의 길도로
프랑스아그드앙파스 드 글라시(Impasse de Glacis)글라시 막다른 골목도로
프랑스옥손, 벨포르, 브장송, 두에, 롱위, 낭시, 생 캉탱, 발랑시엔뤼 드 글라시(Rue des Glacis)글라시 거리도로
벨기에리에주뤼 드 글라시(Rue des Glacis)글라시 거리도로
캐나다퀘벡 시뤼 드 글라시(Rue des Glacis)글라시 거리도로
프랑스샤티용 쉬르 루아르, 셰이이 레 마랑주, 레 제크스 당기용, 메르, 루시, 상토귀스탱, 생 제르베 앙 발리에르, 투르낭 앙 브리, 베니지뤼 뒤 글라시(Rue du Glacis)글라시 거리도로
벨기에리에주 근교의 플레롱뤼 뒤 글라시(Rue du Glacis)글라시 거리도로
캐나다몬트리올뤼 뒤 글라시(Rue du Glacis)글라시 거리도로



이 외에도 마그데부르크, 민덴, 노이 울름, 토르가우, 뷔르츠부르크(이상, 독일)에는 "글라시"라는 명칭의 공원이 있으며, 과거 사제 또는 해자였던 곳에 위치한다. 노이 울름에는 과거 사제 근처에 "글라시 갤러리"(Glacis-Galerie)라는 쇼핑센터가 있다.

4. 1. 장갑 차량

전차의 장갑에서 글라시(glacis)는 앞부분의 경사진 부분으로, 빨간색으로 표시되어 있다.


글라시 장갑판은 전차 또는 기타 장갑 전투 차량의 차체에서 가장 앞쪽에 위치한 경사진 부분을 말한다.[2] 정면으로 맞서는 장갑 교전에서 글라시 장갑판은 적 포수에게 가장 크고 눈에 띄는 표적이다.

경사장갑은 두 가지 장점이 있다. 많은 발사체가 관통되기보다는 튕겨져 나가며, 관통을 시도하는 발사체는 궤도에 수직으로 놓인 경우보다 장갑의 주어진 두께를 따라 더 긴 대각선 경로를 통과해야 한다.

기울기 로드 신관을 사용하는 대전차 지뢰는 글라시 장갑판 바로 아래에서 폭발하도록 설계되었다. 따라서 글라시 장갑판은 일반적으로 전차에서 가장 두껍고 튼튼한 장갑 부분이며, 그 다음이 포탑 전면과 포 방패이다.

5. 글라시 관련 지명

유럽의 여러 도시에는 "글라시"라는 이름이 붙은 도로명이나 지명이 많이 남아있는데, 이는 과거에 경사지(글라시)가 있던 곳을 오늘날까지 알려주는 역할을 한다.

국가도시지명/도로명비고
독일쾰른아헤너 글라시(Aachener Glacis)지명
독일쾰른포어게빌쿠스 글라시 베크(Vorgebirgsglacisweg)도로
독일함부르크알스터 글라시(Alsterglacis)지명
독일함부르크글라시 쇼세(Glacischaussee)지명
독일함부르크홀스텐 글라시(Holstenglacis)지명
독일베젤(Wesel)베젤러 글라시(Weseler Glacis)지명
독일베젤(Wesel)암 리페글라시(Am Lippenglacis)도로
독일베젤(Wesel)암 노르트글라시(Am Nordglacis)도로
독일베젤(Wesel)암 오스트글라시(Am Ostglacis)도로
독일베젤(Wesel)암 베스트글라시(Am Westglacis)도로
독일뷔르츠부르크글라시(Glacis)링 공원
독일잉골슈타트글라시(Glacis)지명
독일잉골슈타트글라시 브뤼케(Glacisbrücke)다리
독일민덴글라시 브뤼케(Glacisbrücke)다리
독일민덴마리엔 글라시(Marienglacis)지명
독일민덴민데너 글라시(Mindener Glacis)지명
독일자르루이임 글라시(Im Glacis)지명
오스트리아레오벤글라시 가세(Glacisgasse)도로
오스트리아레오벤암 글라시(Am Glacis)지명
스위스제네바뤼 드 글라시-드-리브(Rue des Glacis-de-Rive)도로
독일브라이자흐 암 라인(Breisach am Rhein), 드레스덴, 게르머스하임, 란다우, 노이 울름글라시슈트라세(Glacisstraße)도로
오스트리아그라츠글라시슈트라세(Glacisstraße)도로
스위스졸로투른글라시슈트라세(Glacisstraße)도로
룩셈부르크룩셈부르크플라스 뒤 글라시(Place du Glacis)광장
체코브르노글라시(Glacis)지명, 현재는 체코어로 콜리슈테(Koliště)
네덜란드호르쿰글라시(Glacis)지명
영국포틀랜드 섬(도싯 군)글라시(Glacis)지명
영국지브롤터글라시 로드(Glacis Road)도로
네덜란드베르겐 옵 좀, 헤르트루이덴베르흐(Geertruidenberg), 사스 판 헨트(Sas van Gent), 플리싱겐글라시스트라트(Glacisstraat)도로
독일베를린, 프라이부르크, 필립스부르크(Philippsburg), 마인츠-카스텔(Mainz-Kastel), 뷔르츠부르크글라시베크(Glacisweg)도로
네덜란드헬레보엣슬루이스(Hellevoetsluis), 훌스트(Hulst), 마스트리흐트글라시베크(Glacisweg)도로
프랑스상토메르알레 드 글라시(Allée des Glacis)도로
프랑스상토메르아브뉘 드 글라시(Avenue des Glacis)도로
프랑스바폼(Bapaume), 롱위, 상토메르, 탈랑(Talant)슈망 드 글라시(Chemin de Glacis)도로
프랑스아그드앙파스 드 글라시(Impasse de Glacis)도로
프랑스옥손(Auxonne), 벨포르, 브장송, 두에, 롱위, 낭시, 생 캉탱, 발랑시엔뤼 드 글라시(Rue des Glacis)도로
벨기에리에주뤼 드 글라시(Rue des Glacis)도로
캐나다퀘벡 시뤼 드 글라시(Rue des Glacis)도로
프랑스샤티용 쉬르 루아르(Châtillon-sur-Loire), 셰이이 레 마랑주(Cheilly-lès-Maranges), 레 제크스 당기용(Les Aix-d'Angillon), 메르(뫼르-에-루아르)(Melle (Deux-Sèvres)), 루시(Rousies), 상토귀스탱(Saint-Augustin, 센에마른), 생 제르베 앙 발리에르(Saint-Gervais-en-Vallière), 투르낭 앙 브리(Tournan-en-Brie), 베니지(Venizy)뤼 뒤 글라시(Rue du Glacis)도로
벨기에리에주 근교의 플레롱(Fléron)뤼 뒤 글라시(Rue du Glacis)도로
캐나다몬트리올뤼 뒤 글라시(Rue du Glacis)도로



이 외에도 독일마그데부르크, 민덴, 노이 울름, 토르가우(Torgau), 뷔르츠부르크에는 "글라시"라는 이름의 공원이 있는데, 이곳들은 과거에 경사지나 해자였던 곳에 자리 잡고 있다.

독일 노이 울름에는 "글라시 갤러리"(Glacis-Galerie)라는 쇼핑센터가 있는데, 이곳 역시 과거 경사지가 있던 곳 근처에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The Terminology of a Fortress:Glacis http://fortadams.org[...] www.fortadams.org 2014-06-14
[2] 웹사이트 Glacis plate https://archive.toda[...] Encarta Online Dictionary 2008-12-14
[3] 서적 Fortification and Siegecraft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11
[4] 웹사이트 The Terminology of a Fortress:Glacis http://fortadams.org[...] 2014-06-1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