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오산성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금오산성지는 해발 545m의 용암산 자연 암벽과 계곡을 활용하여 산의 정상을 따라 돌로 쌓은 산성 터이다. 전체 길이는 약 1,525m이며, 성벽은 능선과 암벽을 이용하여 안팎을 돌로 쌓았고, 마름모꼴 형태를 띤다. 남문과 북문 터가 남아 있으나 훼손이 심하며, 건물터와 우물터도 확인된다. 고려 후기 왜구 침입을 막기 위해 축성되었으며, 병자호란 당시 성을 고쳐 쌓고 군사 훈련 및 식량 비축 장소로 활용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화순군의 문화유산 - 화순 야사리 은행나무
화순 야사리 은행나무는 대한민국 천연기념물 제303호로 지정된 은행나무이며, 한국의 천연기념물 은행나무 중 하나로 역사와 문화적 가치를 지닌다. - 화순군의 문화유산 - 쌍봉사
쌍봉사는 전라남도 화순군에 위치한 사찰로, 통일신라 시대에 철감선사에 의해 가지산문의 중심 사찰이 되었으며 국보인 철감선사탑과 보물인 철감선사탑비가 경내에 있는 대한불교 조계종 송광사의 말사이다. - 전라남도의 문화유산자료 - 향일암
향일암은 전라남도 여수시에 위치한 사찰로, 임진왜란 이후 재건되었으며, 대웅전 등을 갖추고 섬 지역의 불교 문화를 보여주는 곳이며, 2009년 화재 이후 매년 새해 첫날 해맞이 행사가 열린다. - 전라남도의 문화유산자료 - 도갑사
도갑사는 신라 시대에 도선국사가 창건하고 조선 시대에 수미대사가 중창한 전라남도 영암군 월출산의 사찰로, 해탈문과 석조여래좌상 등의 문화재를 보유하고 템플스테이를 운영하며 월출산 경관과 함께 많은 방문객이 찾는다. - 전라남도의 성 - 순천왜성
순천왜성은 임진왜란 때 고니시 유키나가 등이 호남 공략 거점으로 삼아 순천에 약 3개월 만에 축조한 왜성으로, 남해안 왜성들을 연결하는 군사 요충지였으며 현재 전라남도기념물로 지정되어 왜교성 전투와 축성 방식으로도 주목받는다. - 전라남도의 성 - 장성 입암산성
장성 입암산성은 전라남도 장성군 입암산에 위치한 산성으로, 1256년 송군비가 축조한 것으로 전해지며 조선 시대 개축과 임진왜란을 거치면서 중요한 방어 시설로 활용되었고, 15km에 달하는 성벽과 남문, 북문, 장기간 방어를 위한 물 확보 설계가 특징이며 주변 관광 명소와 등산로가 정비되어 있다.
금오산성지 - [유적/문화재]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금오산성지 |
한자 표기 | 金鰲山城址 |
국가 | 전라남도 |
유형 | 문화재자료 |
지정 번호 | 118 |
지정일 | 1984년 2월 29일 |
주소 | 전라남도 화순군 한천면 한계리 |
수량 | 1곽 |
문화재청 ID | 31,01180000,36 |
2. 지리적 특징
용암산의 자연 지형을 활용하여 방어 시설을 구축하였다. 산성의 전체 길이는 약 1,525m이고, 경사도를 감안하면 실제 길이는 약 1,650m이다. 성벽은 능선과 암벽을 이용하여 정연하지는 않지만, 안쪽과 바깥쪽을 모두 돌로 쌓았으며, 대체로 마름모꼴을 띄고 있다. 성벽은 안으로 구부러진 형태로, 큰 돌 사이에 작은 돌들을 끼워넣어 튼튼하고 안정감있게 쌓았다.
2. 1. 자연 암벽과 계곡
해발 545m의 용암산 자연 암벽과 작은 계곡을 품고 있으며, 산 정상을 둘러 돌로 쌓은 산성 터이다. 내부 공간이 넓지는 않지만, 성을 방어하는 데는 유리한 조건을 갖추고 있다.2. 2. 해발 고도
해발 545m의 용암산 자연 암벽과 작은 계곡을 품고 있어, 성을 방어하는 데 유리한 조건을 갖추고 있다.3. 성곽 구조
문터는 남쪽과 북쪽 2곳에 남아 있으나, 많이 훼손되어 원래 모습을 알아보기 어렵다. 남문터는 자연석을 다듬은 돌을 2∼3단 쌓은 것만, 북문터는 5∼6단을 쌓은 것만 확인할 수 있다. 건물터는 북문터와 남문터 안쪽, 용암산 북쪽 능선상의 평탄한 곳에서 확인된다. 우물터는 성벽과 절벽이 만나는 동쪽 평탄한 곳에 있다.
3. 1. 전체 형태 및 길이
용암산 자연암벽과 작은 계곡을 품고 산 정상을 둘러 돌로 쌓은 산성 터로, 성을 방어하는데 유리한 조건을 갖추고 있다.산성의 전체 길이는 약 1,525m이고, 경사도를 감안하면 실제 길이는 약 1,650m이다. 성벽은 능선과 암벽을 이용하여 정연하지는 않지만, 안쪽과 바깥쪽을 모두 돌로 쌓았으며, 대체로 마름모꼴을 띄고 있다. 성벽은 안으로 구부러진 형태로, 큰 돌 사이에 작은 돌들을 끼워넣어, 큰 돌이 움직이지 않도록 튼튼하고 안정감있게 쌓았다.
3. 2. 성벽 축조 방식
성벽은 능선과 암벽을 이용하여 쌓았으며, 안쪽과 바깥쪽 모두 돌로 쌓은 내외겹축 방식이다. 대체로 마름모꼴을 띄고 있으며, 안으로 구부러진 형태로 큰 돌 사이에 작은 돌들을 끼워넣어 튼튼하고 안정감 있게 쌓았다.4. 주요 시설
금오산성 내부에는 문터, 건물터, 우물터 등이 남아있다. 문터는 남쪽과 북쪽 2곳에 남아있는데, 많이 훼손되어 원래 모습을 알아보기는 어렵다. 건물터는 북문터와 남문터 안쪽, 용암산 북쪽 능선상의 평탄한 곳에서 확인된다. 우물터는 성벽과 절벽이 만나는 동쪽의 평탄한 곳에 위치해 있다.
4. 1. 문터
남문터와 북문터는 모두 많이 훼손되어 원래의 모습을 알아보기 어렵다. 남문터는 양쪽 면에 자연석을 다듬은 돌을 2~3단 쌓은 것만 확인할 수 있으며, 북문터 역시 자연석을 다듬은 돌로 5~6단을 쌓았다.4. 2. 건물터
건물터는 북문터 안쪽과 남문터 안쪽, 그리고 용암산 북쪽 능선상의 평탄한 곳에서 확인된다.4. 3. 우물터
우물터는 성벽과 절벽이 만나는 동쪽 평탄한 곳에 있다. 이곳은 고려 후기 왜구의 침입을 막기 위해 지어진 산성에서 군사들이 먹을 식량을 보관하던 중요한 장소였다.5. 역사적 의의
금오산성은 고려 후기 왜구의 침입에 대비해 축성되었고, 조선 인조 때 병자호란을 겪으며 군사 훈련 및 식량 보관 기지로 활용되는 등 중요한 군사적 요충지였다. 용암산(해발 545m)의 자연 지형을 활용하여 축성되었으며, 전체 길이는 약 1,525m(실제 길이 약 1,650m)이다.
5. 1. 고려 시대 축성 배경
고려 후기 왜구의 침입을 막기 위해 능성현의 주성(主城)인 비봉산성과 부속 성인 예성산성과 함께 지어진 산성이다.5. 2. 조선 시대 활용
인조 14년(1636) 병자호란이 일어나자 금오산성을 고쳐 쌓아 군사 훈련을 하였고, 군사들이 먹을 식량을 모아두기도 하였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