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아 모하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모하비는 기아가 생산한 프레임 바디 기반의 스포츠 유틸리티 자동차(SUV)로, 대한민국에서 2008년 출시되어 여러 차례의 부분 변경을 거쳤다. 2008년 출시 당시에는 버튼 시동 스마트키 시스템을 국내 SUV 최초로 적용했으며, 북미 시장에는 기아 보레고라는 이름으로 판매되었다. 2016년에는 '더 뉴 모하비'가 출시되어 디자인과 안전 사양이 개선되었고, 2019년에는 '모하비 더 마스터'가 출시되어 실내 디자인이 변경되었다. 2024년 7월 생산이 종료되었으며, 모하비의 생산 라인에서는 기아 타스만이라는 픽업 트럭을 생산할 예정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08년 도입된 자동차 - 볼보 XC60
볼보 XC60은 볼보 자동차에서 생산하는 중형 럭셔리 SUV로, 스칸디나비아 디자인, 다양한 안전 기능,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및 마일드 하이브리드 모델을 통한 친환경성을 특징으로 하며, 시티 세이프티 시스템과 다수의 안전 관련 수상으로 높은 안전성을 인정받았다. - 2008년 도입된 자동차 - 포드 피에스타
포드 피에스타는 1976년부터 2023년까지 포드에서 생산된 전륜구동 방식의 소형 해치백 자동차로, 오일 쇼크 이후 소형차 수요 증가에 따라 개발되어 유럽을 중심으로 전 세계에서 판매되었으며, 7세대에 걸친 모델 체인지와 다양한 엔진, 스포티한 디자인, 뛰어난 핸들링을 특징으로 모터스포츠 분야에서도 활약했다. - 준대형 승용차 - 지프 그랜드 체로키
지프 그랜드 체로키는 크라이슬러에서 생산하는 중형 럭셔리 SUV로, 모노코크 바디 구조와 다양한 엔진 라인업을 특징으로 하며, 오프로드 성능과 고급 편의 사양을 갖춘 다양한 트림을 제공하고 현대 팰리세이드, 기아 텔루라이드 등과 경쟁하며 연료 탱크 및 변속기 관련 문제로 리콜을 실시한 바 있다. - 준대형 승용차 - 현대 그랜저
현대 그랜저는 1986년 출시된 현대자동차의 고급 승용차 브랜드이며, 7세대에 걸쳐 진화하며 대한민국 자동차 시장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 기아의 차종 - 기아 프라이드
기아 프라이드는 기아에서 생산했던 소형차로, 1987년부터 2017년까지 판매되었으며, 1세대부터 3세대까지 다양한 모델이 출시되었고, 4세대는 기아 리오라는 이름으로 해외에서 판매된다. - 기아의 차종 - 기아 콩코드
기아 콩코드는 1987년부터 1995년까지 기아자동차에서 마쓰다 카펠라를 기반으로 생산한 전륜구동 중형 세단으로, 대한민국 최초로 에어백을 선택 사양으로 제공했으며, 영화 '투캅스'에 등장하기도 했다.
기아 모하비 - [자동차]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제조사 | 기아 |
별칭 | 기아 보레고 (북미 및 중국) |
생산 기간 | 2008년–2024년 |
차종 | 풀사이즈 SUV |
차체 형태 | 5도어 SUV |
구동 방식 | 전륜 엔진, 후륜 구동 전륜 엔진, 사륜 구동 |
차대 | 바디 온 프레임 |
자동차 정보 | |
이름 | 기아 모하비 |
차종 | 준대형 스포츠 유틸리티 자동차 |
제조사 | 기아 |
별칭 | 기아 보레고 |
생산 년도 | 2008년~2024년 |
조립 | 경기도 화성시(2008년~2024년) 칼리닌그라드(2008년~2024년) 외스케멘(2009년~2024년) (2010년~2019년) |
후속 차량 | 기아 EV9 |
차체 형식 | 5도어 스테이션 왜건 |
구동 방식 | 후륜구동 4륜구동 |
차대 | 프레임 |
변속기 | 자동 6단 자동 8단 |
연료 | 가솔린 디젤 |
관련 차량 | 기아 타스만 |
설계자 | 피터 슈라이어 |
2. 역사
2008년 1월 모하비가 대한민국에서 처음 판매되기 시작했다. 대한민국 SUV 최초로 시동 버튼을 눌러서 거는 방식을 채택했다.[24] 같은 해 북미 국제 오토쇼(NAIAS)에서도 발표되었다.[7]
2016년 2월에는 대한민국에서 크게 개선된 모델을 "더 뉴 모하비"라는 이름으로 발표했다. 엔진은 V6 3.0L 디젤 엔진만 탑재되었다.[12]
2019년 3월에는 대한민국에서 앞모습 디자인을 혁신한 모델을 "모하비 더 마스터"라는 이름으로 발표했다. 이후 모하비는 대한민국 시장 전용으로 판매되고 있다.
2. 1. 1세대 (HM, 2008년 1월 ~ 2019년 9월)
기아 모하비는 HM이라는 프로젝트명으로 개발되었으며, 콘셉트 카 KCD-Ⅱ의 양산형 SUV이다. 2008년 1월 3일에 출시되었으며,[24] 기아 SUV 라인업의 최상위 차종이다. 기아에서 출시한 차종 중 최초로 V6 디젤 엔진과 V8 가솔린 엔진을 장착하였고, 변속기는 ZF의 6단 자동변속기가 조합되었다.

당초 독일의 도시명에서 유래한 오펜바흐로 출시될 예정이었으나, 마이바흐와 발음이 유사하여 '모하비'로 변경되었다. 현대 베라크루즈와 엔진을 공유하지만, 후륜구동 기반 프레임 차체라는 점에서 차별화된다.
2011년 6월 14일에는 V6 3.0ℓ S-Ⅱ E-VGT 디젤 엔진과 현대파워텍의 8단 자동변속기가 적용되고, 1열 사이드&커튼 에어백이 모든 트림에 기본 적용된 2011년형 모델이 출시되었다.[25] 2013년 3월 4일에는 2열 센터 3점식 시트 벨트, 버튼 시동 스마트 키, 스티어링 휠 열선 기능 등이 적용된 2013년형 모델이 출시되었다.
2015년 9월 유로 6 배출가스 기준을 충족하기 위해 생산이 일시 중단되었다가, 2016년 2월 '더 뉴 모하비' 출시 전까지 재고 차량이 판매되었다.
1세대 모하비는 V6 3.0ℓ 디젤, V6 3.8ℓ 람다 MPI 가솔린, V8 4.6ℓ 타우 MPI 가솔린 엔진을 장착했다. 대한민국 내수 시장에서는 V6 3.8L 람다 MPI 가솔린 엔진, V8 4.6L 타우 MPI 가솔린 엔진은 판매 부진으로 단종되었다.
2. 1. 1. 북미 시장 (보레고)
2008년 북미 국제 오토쇼에서 처음 공개된 기아 모하비는 2005년 북미 국제 오토쇼에서 선보였던 컨셉트 카 '''기아 메사'''를 기반으로 만들어졌다.[7] 미국 시장에는 모하비라는 이름 대신, 아메리카 원주민 부족 이름에서 따온 '보레고'라는 이름으로 2008년 7월에 2009년형 모델로 출시되었다.[11]보레고는 LX, EX, Limited의 세 가지 트림으로 판매되었다. 각 트림별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다.
트림 | 주요 특징 |
---|---|
LX | 직물 시트, 키리스 엔트리, 싱글 디스크 CD/MP3 플레이어, USB/iPod 및 보조 오디오 입력 잭, SIRIUS 위성 라디오, 6개의 스피커, 싱글존 온도 조절 장치, 17인치 알로이 휠, 3.8L V6 엔진, 5단 자동 SHIFTRONIC 변속기 |
EX | 6 디스크 인대시 CD/MP3 체인저, 10 스피커 인피니티 프리미엄 사운드 시스템, 가죽 스티어링 휠 및 변속 노브, 18인치 알로이 휠, 파워 프론트 버킷 시트 |
Limited | 4.6L 타우 V8 엔진, 에어 라이드 서스펜션, 검은색 천공 가죽 시트, 파워 듀얼 프론트 버킷 시트, 파워 선루프, 크롬 18인치 알로이 휠, 열선 내장 듀얼 프론트 및 2열 시트, 터치스크린 GPS 내비게이션 시스템 |
모든 모델에는 4WD를 선택 사양으로 장착할 수 있었다. 3.8L V6 엔진은 5000lbs의 견인 능력을, 4.6L V8 엔진은 7500lbs의 견인 능력을 갖추고 있었다.
보레고는 뛰어난 가치, 출력, 견인 능력, 실내 공간, 다양한 기본 기능 등으로 소비자들에게 호평을 받았다. 하지만, 2008년 세계 금융 위기로 인한 고유가와 대형 SUV 시장 침체로 인해, 미국 시장에서 2009년 단 한 해 동안만 판매되고 단종되었다.[8] 2008년 5월부터 2009년 1월까지 미국에서 22,700대의 보레고가 생산되었고, 이후 2009년 10월부터 2014년 5월까지 미국 영토에서 추가로 68대가 생산되어 총 22,768대가 생산되었다. 이후 기아 텔루라이드가 2020년에 출시되어 보레고의 뒤를 이었다.
2. 1. 2. 파워트레인 및 제원
4WD(선택)(자동 6단)
4WD(선택)
(자동 8단)
4WD(상시)
(자동 6단)
4WD(상시)
(자동 8단)
2WD
(자동 6단)
2WD
(자동 8단)
2WD
(자동 5단)
4WD(상시)
(자동 6단)
(mm)
4,935(범퍼 가드 적용시)
(mm)
(mm)
1,810(루프랙 적용시)
(mm)
(전, mm)
1,615(R18)
(후, mm)
1,625(R18)
7명
(전/후)
(cc)
(ps/rpm)
(kg*m/rpm)
(ℓ)
(kg)
(km/ℓ)
(이후 도심 9.1/고속 12.4/복합 10.3으로 변경)
(이후 도심 8.9/고속 12.2/복합 10.2으로 변경)
(이후 도심 9.5/고속 12.7/복합 10.7으로 변경)
(g/km)
(이후 196으로 변경)
(이후 200으로 변경)
(이후 189으로 변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