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아 프라이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기아 프라이드는 기아에서 생산했던 소형차로, 1987년 처음 출시되어 2017년 단종되었다. 1세대(1987-2000)는 마쓰다와 포드의 합작으로 개발되었으며, 3도어/5도어 해치백, 4도어 세단, 왜건 등의 다양한 파생 모델이 있었다. 2세대(2005-2011)는 기아 리오의 후속 모델로 출시되었으며, 4도어/5도어 해치백 모델이 있었다. 3세대(2011-2017)는 현대 엑센트와 플랫폼을 공유했으며, 4도어 세단과 5도어 해치백 모델이 있었으나, 대한민국 시장에서는 2017년 단종되었다. 4세대는 대한민국 시장에 출시되지 않고, 해외에서 기아 리오라는 이름으로 판매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87년 도입된 자동차 - 기아 콩코드
기아 콩코드는 1987년부터 1995년까지 기아자동차에서 마쓰다 카펠라를 기반으로 생산한 전륜구동 중형 세단으로, 대한민국 최초로 에어백을 선택 사양으로 제공했으며, 영화 '투캅스'에 등장하기도 했다. - 1987년 도입된 자동차 - 대우 에스페로
대우 에스페로는 1990년 대우자동차가 출시한 전륜구동 중형 세단으로, 그루포 베르토네와 협력하여 미래지향적인 디자인을 갖췄고 르망의 플랫폼을 기반으로 넓은 실내 공간을 확보했지만, 품질 문제와 좋지 않은 연비로 단종되었다. - 자동차 회사 년대별 생산차량의 흐름 - 아이오닉 5
아이오닉 5는 현대자동차가 2021년에 출시한 전기차로, 3m에 달하는 휠베이스를 기반으로 넓은 실내 공간을 제공하며, E-GMP 플랫폼을 기반으로 800V 고속 충전 시스템을 지원하며 V2L 기능을 통해 최대 3.6kW의 전력을 공급한다. - 자동차 회사 년대별 생산차량의 흐름 - 현대 포니
현대 포니는 대한민국 최초의 고유 모델 자동차로서, 1975년부터 1990년까지 생산되었으며, 독창적인 디자인과 다양한 모델 출시로 한국 자동차 산업 발전에 기여하고 현대자동차 디자인 유산으로 자리매김했다. - 스테이션 왜건 - 현대 포니
현대 포니는 대한민국 최초의 고유 모델 자동차로서, 1975년부터 1990년까지 생산되었으며, 독창적인 디자인과 다양한 모델 출시로 한국 자동차 산업 발전에 기여하고 현대자동차 디자인 유산으로 자리매김했다. - 스테이션 왜건 - 현대 아반떼
현대 아반떼는 1990년부터 현대자동차에서 생산하는 준중형 승용차로, 국내에서는 아반떼, 해외에서는 엘란트라 또는 란트라로 판매되며, 다양한 디자인과 파워트레인, 차체 형태를 갖춘 베스트셀러 모델이지만 일부 세대에서는 품질 논란이 있었다.
기아 프라이드 - [자동차]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차종 | 소형차 |
제조사 | 기아 |
별칭 | 사이파 121 포드 페스티바 기아 리오 |
생산년도 | 1987년 ~ 1999년 2005년 ~ 2023년 (대한민국 내수에서는 2017년까지 판매) |
조립 | 광주광역시 (1993년 ~ 1999년) 경기도 광명시 소하동 (1987년 ~ 1993년, 2005년 ~ 2023년) |
선행차량 | 기아 브리사 기아 리오 |
후속차량 | 기아 리오 기아 스토닉 |
차체형식 | 4도어 세단 5도어 해치백 3도어 해치백 5도어 스테이션 왜건 |
연료 | 가솔린 디젤 |
관련차량 | 현대 엑센트 기아 리오 기아 아벨라 기아 K2 |
기타 정보 | |
플랫폼 | 마쓰다 B 플랫폼 |
디자인 | 마쓰다 |
엔진 | 1.1L 1.3L 1.5L 가솔린 1.4L 디젤 |
변속기 | 5단 수동 4단 자동 |
구동방식 | 전륜구동 |
2. 역사
기아 프라이드는 1987년 첫 출시 이후 여러 세대에 걸쳐 변화해왔다. 각 세대별 주요 특징과 한국 시장에서의 의미를 간략하게 살펴본다.
- 1세대 (WA, 1987년~2000년): 기아산업이 1981년 자동차 산업 합리화 조치 해제 이후 처음 선보인 승용차로, 마쓰다, 포드와의 협력으로 탄생했다. 브리사 단종 이후 약 6년 만에 소형차 시장에 복귀한 모델이며, 다양한 차체 형식과 경제성으로 인기를 끌었다. 아벨라와는 별개 차종으로 병행 판매되었다.
- 2세대 (JB, 2005년~2011년): 리오의 후속 모델로, 대한민국에서는 '뉴 프라이드'라는 이름으로 판매되며 소형차 시장에서 판매량이 회복되어 소형차 시장의 선두가 되었다.[5] 현대 베르나(MC)와 플랫폼 및 엔진을 공유하며, 디자인과 편의사양이 개선되었다. 1세대의 생산 종료와 2세대 출시 사이에 수년의 차이가 있고, 2세대는 리오의 한국 사양 차량이라는 점, 그리고 리오 자체가 아벨라(2세대 페스티바 현지 생산차)의 후속 모델이라는 점에서 1세대와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다고 보기 어렵다.
- 3세대 (UB, 2011년~2017년): 제네바 모터쇼에서 처음 공개된 후 대한민국 시장에 출시되었다.[7] 현대 엑센트(RB)와 플랫폼, 부품, 엔진 등을 공유하며, 디자인과 안전성이 강화되었다. 이미지 캐릭터로 가수 그룹 카라를 채용했다.[2]
- 4세대 (YB, 2017년~현재): 대한민국 시장에는 출시되지 않았고, 해외 시장에서 리오라는 이름으로 판매되고 있다.
한국 자동차에서는 과거 차종의 이름이 서브네임 없이 사용되는 경우가 거의 없다. 공식적으로 서브네임이 없더라도 "그랜저TG", "NF쏘나타", "아반떼HD"처럼 차량 형식을 기반으로 하거나, 앞에 "뉴"를 붙이는 방식으로 별칭이 생겨난다. 2세대 프라이드도 "뉴 프라이드"라고 불리는 경우가 많다.
2. 1. 1세대 (WA) (1987년~2000년)
기아 프라이드는 1987년 3월 5일에 출시된 소형차로, 1981년에 제정된 2.28 조치(자동차 산업 합리화 조치)가 해제된 이후 기아산업이 대한민국에서 처음으로 판매를 시작한 승용차이다. 브리사 단종 이후 약 6년 만에 소형차 시장에 복귀한 모델이다.프라이드는 일본의 마쓰다가 설계를, 대한민국의 기아산업이 생산을, 미국의 포드가 판매를 담당하는 3사 합작 월드카 프로젝트를 통해 개발되었다. 대한민국 시장을 위해 기아자동차가 독자 개발한 4도어 세단 모델은 '프라이드 베타'라는 이름으로 출시되었다. 미국과 일본(오토라마 판매) 등에서는 포드 페스티바라는 이름으로 판매되었다.[3]
1993년 11월 11일에는 생산 공장이 기아자동차의 광명시 소하동 공장에서 아시아자동차 광주 공장으로 이관되면서 소폭의 페이스리프트를 거쳤다. 이후 타우너와 함께 병행 생산되었다.[4]
프라이드는 후속 모델인 아벨라가 고급 소형차로 출시되면서 계속 판매되었으나, 1994년 현대 엑센트(X3)의 등장으로 판매량이 감소하기 시작했다. 1999년 11월 8일 아벨라와 통합된 후속 모델인 리오가 출시되면서 단종되었다. 1세대 프라이드는 12년 동안 풀 모델 체인지 없이 판매되어, 기아자동차 승용차 중 가장 수명이 긴 차종으로 기록되었다.
이란에서는 사이파 브랜드를 통해 2001년부터 2019년까지 생산 및 판매되었다.
구분 | 1.1L B 가솔린 | 1.3L B 가솔린 FBC | 1.3L B 가솔린 EGI |
---|---|---|---|
엔진 형식 | B1 | B3 | B3 |
연료 | 가솔린 | 가솔린 | 가솔린 |
배기량(cc) | 1,139 | 1,323 | 1,323 |
최고출력(ps/rpm) | 62/6,000 | 69/5,500 | 73/5,500 (이후 70/5,500으로 변경) |
최대토크(kg*m/rpm) | 10.3/3,500 | 12.0/3,500 | 13.5/3,000 |
연비(km/l) | 17.39(수동 4단) (이후 17.4(수동 4단)로 변경) | 16.79(수동 5단)/ 14.54(자동 3단) | 16.87(수동 5단) 13.75(자동 3단) (이후 16.4(수동 5단)/ 14.6(자동 3단), 16.9(수동 5단)/ 13.8(자동 3단), 14.6(자동 3단)으로 변경) |
- MBC의 강재형 아나운서는 1987년에 3도어 모델(수동 5단)을 구입하여 2021년 현재까지 운전하고 있다. 2006년 한겨레 기사에 따르면 당시 프라이드의 주행 거리는 368,524km였다.[11]
- 현대자동차와 기아자동차는 넥슨과 제휴하여 카트라이더에서 포니와 함께 프라이드 1세대(Y)를 한정 판매한 적이 있다.
- 미국 애니메이션 심슨 가족 시즌 21 3화에서 스키너 교장의 차량으로 2세대(JB) 프라이드가 등장하기도 했다.
2. 1. 1. 라인업
기아 프라이드는 3도어 해치백, 5도어 해치백, 4도어 세단(프라이드 베타), 5도어 스테이션 왜건 등 다양한 모델로 출시되었다. 트림명은 기아자동차의 사훈인 신용(CD), 노력(EF), 꿈(DM)을 의미하는 알파벳에서 따왔다.[3]1988년 6월 13일에는 5도어 해치백, 1990년 11월 21일에는 프라이드 베타로 명칭된 4도어 세단, 1992년 2월 20일에는 3도어 2인승 승용 밴, 1996년 1월 30일에는 5도어 스테이션 왜건 모델이 추가되었다. 1991년 7월에는 팝, 1997년 2월 26일에는 영 등 가격을 낮춘 실속형 트림도 출시되었다. 1997년 6월 16일에는 스테이션 왜건형의 고급 트림인 프렌즈도 출시되었으나, 대한민국 시장의 특성상 많이 판매되지는 않았다.
구분 | 프라이드 3도어 1.1L 가솔린 | 프라이드 팝 3도어 1.1L 가솔린 | 프라이드 5도어 1.1L 가솔린 | 프라이드 3도어 1.3L 가솔린 | 프라이드 베타 4도어 1.3L 가솔린 | 프라이드 5도어 1.3L 가솔린 | 프라이드 웨건 1.3L 가솔린 |
---|---|---|---|---|---|---|---|
프라이드 | CD EF | LX SLX | CD EF | 밴 CD EF FS DM 영 GLXi | GLXi SLX LX G GTX 영 GX | CD EF FS DM 영 GLXi | GLXi 프렌드 |
2. 1. 2. 제원
프라이드는 1.1L, 1.3L 가솔린 엔진을 사용하였다. 1.1L 엔진은 카뷰레이터 방식을 사용하였고, 1.3L 엔진은 초기에는 카뷰레이터 방식을 사용하다가 이후 전자제어식(EGI)으로 변경되었다. 1990년대에는 1.3L 엔진으로 통일되었다.[3]2. 2. 2세대 (JB) (2005년~2011년)
2005년 4월 7일에 리오의 후속 차종으로 출시되었다. 대한민국에서는 과거 프라이드 차명을 부활시켜 판매량이 회복되어 소형차 시장의 선두가 되었다.[5] 그러나 수출명은 현재까지 여전히 리오이다. 현대 베르나(MC)와 엔진, 전륜구동 플랫폼 등을 공유한다.2008년부터는 USB를 오디오 전면에 직접 꽂을 수 있는 MP3 카스테레오가 적용되었다. 2009년 7월에는 기아자동차의 패밀리 룩(일명 슈라이어 라인)이 적용된 라디에이터 그릴이 적용되었고, 전동식 스티어링(MDPS)과 연비 개선용 타이어를 적용해 연비를 개선하였다. 내비게이션과 블루투스 장착 카스테레오가 새로 적용되었다. 2011년 9월 28일에 단종되었다.
2. 2. 1. 라인업
2005년 4월 7일에 출시된 뉴 프라이드는 1.4L 알파 가솔린 엔진, 1.6L 알파 가솔린 엔진, 1.5L U 디젤 엔진을 장착했다.[5] 현대 베르나(MC)와 엔진, 전륜구동 플랫폼 등을 공유한다. 같은 해 6월 9일에는 5도어 해치백이 출시되었다. 4도어 세단 중에는 마일드 하이브리드 사양도 있으나, 공공 기관 등에만 납품되어 일반인에게는 판매되지 않았다.구분 | 뉴 프라이드 4도어 1.4L 가솔린 | 뉴 프라이드 5도어 1.4L 가솔린 | 뉴 프라이드 4도어 1.6L 가솔린 | 뉴 프라이드 5도어 1.6L 가솔린 | 뉴 프라이드 4도어 1.5L 디젤 | 뉴 프라이드 5도어 1.5L 디젤 |
---|---|---|---|---|---|---|
뉴 프라이드 | L LX | SLX 골드 레드 프리미엄 | SLX 골드 | LX SLX |
2. 2. 2. 제원
13.1(자동 4단)(이후 17.0(수동 5단)/
15.1(자동 4단)로 변경)
13.0(자동 4단)
(이후 17.0(수동 5단)/
15.1(자동 4단)로 변경)
16.9(자동 4단)
(이후 22.0(수동 5단)/
18.3(자동 4단)으로 변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