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기아 캐피탈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기아 캐피탈은 기아산업이 1989년부터 1996년까지 생산한 전륜구동 방식의 준중형 세단이다. 콩코드의 차체를 기반으로 디자인을 차별화하여 출시되었으며, 1.5L B5 SOHC 엔진을 시작으로 대한민국 최초의 DOHC 엔진인 1.5L B5-DE 엔진, 1.8L SOHC 엔진을 탑재했다. 1991년과 1994년에 페이스리프트를 거쳤으나, 경쟁 차종의 등장과 세피아의 출시로 판매 부진을 겪으며 1996년 단종되었다.

2. 1세대 (1989년 ~ 1996년)

1987년 산업 합리화 조치 해제 이후, 기아자동차는 프라이드콩코드의 성공에 힘입어 두 차종 사이의 공백을 메울 새로운 차종 개발에 착수했다. 그 결과 1989년 3월 3일에 캐피탈이 출시되었다. 캐피탈은 콩코드의 차체를 활용하면서도 디자인을 차별화하여 '다이나믹 세단'이라는 슬로건으로 출시되었다. 전자제어 카뷰레이터(ECCS)가 장착된 마쓰다의 95마력 B5 1.5L SOHC 엔진을 장착하여 당시 경쟁 차종이던 현대 스텔라와 경쟁에서 선두를 이끌었다.

1990년 5월 26일에는 대한민국자동차 최초의 DOHC 엔진(1.5L B5-DE DOHC 엔진)이 추가되었다. 이 엔진은 마쓰다에서 제작한 유닛을 기반으로 기아자동차 엔지니어들이 세팅했으며, 최고 출력 115마력의 높은 성능을 냈다. 같은 해 6월 12일에는 콩코드의 F8 1.8리터 SOHC 엔진이 장착된 최상급 트림인 1800 EGI가 추가되었다. 1.8리터 SOHC 가솔린 모델은 많이 팔리지 않았지만, 1.8리터 사양은 LPG 택시로 많이 팔렸다.

이후 대우 에스페로, 현대 엘란트라 등 경쟁 차종이 등장하고, 1992년 9월에는 자사의 동급 차종인 세피아가 출시되면서 경쟁이 심화되었다. 1991년 12월 9일에는 페이스리프트를 거쳐 뒷 번호판 위치를 트렁크에서 범퍼로 옮기고, 일체형 리어 피니셔 등을 적용했다. 1994년 6월에는 헤드 램프가 둥글어지는 등 또 한 번 페이스리프트를 거친 뉴 캐피탈이 출시되었고, 운전석 에어백이 옵션으로 추가됐다.

하지만 시대에 맞지 않는 디자인과 경쟁력 약화로 판매가 부진함에 따라 1996년 12월세피아, 크레도스[1]로 통합되는 형식으로 단종되었다.

캐피탈 제원
구분1.5L SOHC1.5L DOHC1.8L SOHC
전장 (mm)4,480 (1989년~1991년)
4,430 (1991년~1996년)
전폭 (mm)1,705
전고 (mm)1,405
축거 (mm)2,520
윤거 (전, mm)1,440
윤거 (후, mm)1,430
승차 정원5명
변속기수동 5단수동 5단
자동 4단(O/D)
수동 5단
자동 3단
서스펜션 (전/후)맥퍼슨 스트럿/맥퍼슨 스트럿
구동 형식전륜구동
연료가솔린
배기량 (cc)1,4981,789
최고 출력 (ps/rpm)95/6,000
(이후 80/6,000으로 변경)
115/6,50095/5,000
최대 토크 (kg*m/rpm)14.2/3,50015.2/4,50016.2/2,500
연비 (km/L)14.33 (수동)13.37 (수동)14.03 (수동)



기아 캐피탈(후기형) 정측면


기아 캐피탈(후기형) 후측면

2. 1. 개발 배경 및 초기 모델 (1989년 ~ 1990년)

1987년에 산업 합리화 조치가 해제된 후, 기아산업프라이드콩코드를 연이어 출시하여 승용차 시장에서 좋은 반응을 얻고 있었다. 그러나 이 두 차종 사이의 간격을 메울 차종이 필요했다.

이에 1989년 3월 3일에 캐피탈이 출시되었다. 캐피탈은 콩코드마쓰다 GC형 차체를 사용했지만, 디자인을 다르게 하여 콩코드와 차별성을 두었다.

'다이나믹 세단'이라는 표어를 내세운 캐피탈은 전자제어 카뷰레이터(ECCS)가 장착된 마쓰다의 95마력 B5 1.5L SOHC 엔진을 탑재하여, 당시 경쟁 차종이었던 현대 스텔라와의 경쟁에서 앞서 나갔다. 95마력의 1.5L B5 ECCS SOHC 엔진은 당시 경쟁 차종보다 높은 성능을 보였으며, 최고 속도 170km, 제로백(0→100km) 가속 13.5초의 성능을 기록했다.

1990년 5월 26일에는 대한민국자동차 최초의 DOHC 엔진(1.5L B5-DE DOHC 엔진)이 추가되었다. 마쓰다의 유닛을 기반으로 기아자동차 엔지니어들이 세팅한 대한민국 최초의 DOHC 엔진인 1.5L B5-DE DOHC 엔진은 기존 ECCS 엔진과 달리 보쉬 모트로닉 전자제어식으로, 최고 출력 115마력, 최고 속도 170km, 제로백(0→100km) 가속 10.0초의 당시로서는 높은 성능을 냈다. 다만 이 엔진은 고회전형 엔진이라 낮은 rpm에서는 반응이 상대적으로 느렸다.

1990년 6월 12일에는 콩코드의 F8 1.8리터 SOHC 엔진이 장착된 최상급 트림인 1800 EGI가 추가되었다. 1.8리터 SOHC 가솔린 모델은 많이 판매되지 않았지만, 1.8리터 사양은 LPG 택시로 많이 판매되었다.

2. 2. 대한민국 최초 DOHC 엔진 탑재 (1990년 ~ 1991년)

1990년 5월 26일 대한민국 자동차 역사상 최초로 DOHC 엔진(1.5L B5-DE DOHC 엔진)을 탑재한 모델이 추가되었다.[1] 기아자동차 엔지니어들이 마쓰다의 엔진을 기반으로 세팅한 이 엔진은 최고 출력 115마력으로 당시로서는 높은 성능을 자랑했다.[1] 다만 이 DOHC 엔진은 고회전형 엔진이라 낮은 rpm에서는 반응이 상대적으로 느렸고, 이 때문에 1992년에 나온 세피아는 캐피탈의 DOHC 엔진을 공용했지만 엔진 세팅이 캐피탈과 달랐다. 원래 이 엔진은 마쓰다가 자사의 패밀리아 스포츠에 사용한 1.6L B6-D DOHC 엔진을 기반으로 내경을 약간 줄여 다운사이징한 엔진이어서 고 rpm에서 최대 토크를 발휘하는 특성이 있었다.

같은 시기에 파워 안테나 위치도 조수석 A 필러 부근에서 조수석 뒷 펜더 부근으로 옮겨졌다.[1] 같은 해 6월 12일 콩코드의 F8 1.8리터 SOHC 엔진을 장착한 최상급 트림인 1800 EGI 모델도 출시되었다.[1] 1.8리터 SOHC 가솔린 모델은 많이 팔리지 않았고, 대신 1.8리터 사양은 LPG 택시로 많이 팔렸다.[1]

2. 3. 페이스리프트 및 경쟁 심화 (1991년 ~ 1996년)

1991년 12월 9일 뒷 번호판 위치를 트렁크에서 범퍼로 옮기고, 일체형 리어 피니셔 등을 적용하는 등 페이스리프트를 거쳤다.[1] 대우 에스페로, 현대 엘란트라 등 경쟁 차종이 등장하고, 1992년 9월에는 자사의 동급 차종인 세피아가 출시되면서 경쟁이 심화되었다. 세피아는 캐피탈의 B5 1.5리터 엔진을 가져와 세팅을 달리한 후 장착했다.

1994년 6월 헤드 램프를 둥글게 다듬고, 운전석 에어백을 옵션으로 추가하는 등 상품성을 개선한 뉴 캐피탈을 출시했다. 최후기형의 알루미늄 휠은 콩코드의 휠을 이용했다. 이때 ECCS 1.5리터 SOHC 엔진은 단종되었고, 1.5리터 DOHC 엔진과 1.8리터 LPG 엔진만 남았다.

그러나 시대에 뒤떨어지는 디자인과 경쟁력 약화로 판매가 부진했고, 결국 1996년 12월 준중형 세단 세피아와 중형차 크레도스로 통합되며 단종되었다.[1]

3. 제원

4,430 (1991년~1996년)전폭 (mm)1,705전고 (mm)1,405축거 (mm)2,520윤거 (전, mm)1,440윤거 (후, mm)1,430승차 정원5명변속기수동 5단수동 5단
자동 4단 (O/D)수동 5단
자동 3단서스펜션 (전/후)맥퍼슨 스트럿/맥퍼슨 스트럿구동 형식전륜구동연료가솔린배기량 (cc)1,4981,789최고 출력 (ps/rpm)95/6,000
(이후 80/6,000으로 변경)115/6,50095/5,000최대 토크 (kg*m/rpm)14.2/3,50015.2/4,50016.2/2,500연비 (km/L)14.33 (수동)13.37 (수동)14.03 (수동)


4. 미디어 속의 캐피탈

기아 캐피탈은 미디어 매체에서 다음과 같이 등장했다.

4. 1. 영화

투캅스에서 경찰차로 몇 차례 등장하였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