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기아 콩코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기아 콩코드는 기아자동차에서 1987년 4월부터 1995년 6월까지 생산한 중형 세단이다. 마쓰다 카펠라를 기반으로 개발되었으며, 1987년 10월 출시 당시 2.0리터 가솔린 엔진을 탑재했다. 1988년에는 1.8리터, 2.0리터 디젤, LPG 엔진 등 다양한 엔진 라인업을 갖추며 현대 쏘나타와 경쟁했다. 1991년 페이스리프트를 거쳐 뉴 콩코드가 출시되었으며, 1995년 기아 크레도스의 출시와 함께 단종되었다. 콩코드의 저가형 모델로는 기아 캐피탈이 있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87년 도입된 자동차 - 기아 프라이드
    기아 프라이드는 기아에서 생산했던 소형차로, 1987년부터 2017년까지 판매되었으며, 1세대부터 3세대까지 다양한 모델이 출시되었고, 4세대는 기아 리오라는 이름으로 해외에서 판매된다.
  • 1987년 도입된 자동차 - 대우 에스페로
    대우 에스페로는 1990년 대우자동차가 출시한 전륜구동 중형 세단으로, 그루포 베르토네와 협력하여 미래지향적인 디자인을 갖췄고 르망의 플랫폼을 기반으로 넓은 실내 공간을 확보했지만, 품질 문제와 좋지 않은 연비로 단종되었다.
  • 자동차 회사 년대별 생산차량의 흐름 - 아이오닉 5
    아이오닉 5는 현대자동차가 2021년에 출시한 전기차로, 3m에 달하는 휠베이스를 기반으로 넓은 실내 공간을 제공하며, E-GMP 플랫폼을 기반으로 800V 고속 충전 시스템을 지원하며 V2L 기능을 통해 최대 3.6kW의 전력을 공급한다.
  • 자동차 회사 년대별 생산차량의 흐름 - 현대 포니
    현대 포니는 대한민국 최초의 고유 모델 자동차로서, 1975년부터 1990년까지 생산되었으며, 독창적인 디자인과 다양한 모델 출시로 한국 자동차 산업 발전에 기여하고 현대자동차 디자인 유산으로 자리매김했다.
  • 기아의 차종 - 기아 프라이드
    기아 프라이드는 기아에서 생산했던 소형차로, 1987년부터 2017년까지 판매되었으며, 1세대부터 3세대까지 다양한 모델이 출시되었고, 4세대는 기아 리오라는 이름으로 해외에서 판매된다.
  • 기아의 차종 - 기아 카니발
    기아 카니발은 기아자동차에서 생산하는 미니밴으로, 여러 세대를 거치며 국내외 시장에서 인기를 얻었으며, 다양한 엔진 라인업과 승차 인원, 그리고 첨단 편의 사양을 갖춘 것이 특징이다.
기아 콩코드 - [자동차]에 관한 문서
자동차 정보
이름기아 콩코드
그림20100902 kia new concord 01.jpg
차종중형차
제조사기아자동차
별칭마쓰다 카펠라
생산년도1987년 10월 ~ 1995년 6월
조립경기도 화성시 우정읍
선행차량피아트 132
후속차량기아 크레도스
차체형식4도어 세단
구동방식전륜구동
관련차량마쓰다 카펠라
기아 캐피탈
연료휘발유
LPG
경유 (1988~1990)

2. 1세대 (NB-V)

기아 콩코드


1989년형 기아 콩코드 2.0i DGT 후면


1987년 4월, 기아자동차는 마쓰다 카펠라를 기반으로 한 콩코드를 출시했다. 초기에는 99마력(PS)의 2.0리터 가솔린 엔진(Mazda FE 엔진)을 탑재했다. 1988년에는 엔진 라인업이 확장되어, 4월에 72마력(PS)의 2.0리터 디젤 엔진(Mazda RF 엔진), 5월에 95마력(PS)의 1.8리터 가솔린 엔진(Mazda F8 엔진), 7월에 110마력(PS)의 2.0리터 가솔린 연료 분사 방식 엔진(2.0i DGT)[2], 8월에 택시용 1.8리터 LPG 엔진이 추가되었다. DGT 트림은 디지털 계기판을 장착한 것이 특징이다.

1991년 페이스리프트를 거치면서 엔진 라인업이 일부 축소되었으나, 1992년 3월에 139마력(PS)의 2.0리터 DOHC 엔진이 추가되었다.

1995년 기아 크레도스 출시와 함께 콩코드는 단종되었고, 기아 캐피탈은 저가형 모델로 좀 더 생산되었다.

2. 1. 콩코드 (1987년~1991년)

전두환 정부의 자동차 산업 합리화 조치(2.28 조치)가 1987년에 해제되면서, 기아산업은 경쟁사들의 승용차 시장 독점에 대항하고자 1987년 10월 16일에 마쓰다 카펠라(4세대)를 기반으로 4년간 개발한(프로젝트명 NB-V) 중형차 콩코드를 출시했다.[2] 출시 당시에는 2.0L 가솔린 SOHC 엔진만 있었으나, 1988년에 2.0L 디젤 SOHC(4월), 1.8L 가솔린 SOHC(5월), 1.8L LPG SOHC(택시, 8월) 엔진이 순차적으로 추가되었다.

1988년 7월에는 중앙 집중식 LCD 계기판을 단 DGT 트림이 출시되었다. DGT는 디지털(Digital)을 의미하며, 이때부터 파워 안테나 위치가 조수석 A 필러 근처에서 조수석 뒷 펜더 근처로 변경되었다.

콩코드는 점잖은 디자인 덕분에 변호사의사 등 전문직 종사자들이 주로 타는 차라는 인식이 있었다. 또한 1세대 카레이서 박정룡 선수가 모터 스포츠에 콩코드를 사용하여 화제가 되기도 했다. 당시 콩코드는 고속도로에서 현대 그랜저에 뒤지지 않는 성능을 보여 '고속도로의 제왕'이라는 별명을 얻기도 했다.

소하동 공장에서 1989년까지 생산되었고, 이후 생산라인을 석천리 공장으로 이전하여 단종될 때까지 생산했다.

2. 1. 1. 제원

(이후, 100/5,000으로 변경)95/5,00072/4,650최대토크(kg*m/rpm)18.5/4,00017.0/2,50016.2/2,200
(이후, 15.5/2,300으로 변경)16.2/2,20013.8/2,500공차중량(kg)1,1701,1501,1401,1401,180연비(km/l)11.55(수동)11.36(수동)(이후 12.77(수동)로 변경)12.87(수동)



콩코드 제원
항목내용
전장(mm)4,550(1987년~1989년)/4,570(1989년~1991년)
전폭(mm)1,705(1987년~1989년)/1,720(1989년~1991년)
전고(mm)1,405
축거(mm)2,520
윤거(전, mm)1,440
윤거(후, mm)1,430
승차정원5명
연료탱크용량(l)60
변속기수동 5단/자동 3단(1987년 ~ 1991년), 자동 4단(1991년)
서스펜션(전/후)맥퍼슨 스트럿/맥퍼슨 스트럿
제동장치(전/후)벤틸레이티드 디스크/드럼
구동형식전륜구동


2. 2. 뉴 콩코드 (1991년~1995년)

1991년 3월콩코드의 페이스리프트 모델인 뉴 콩코드가 출시되었다. 외관상으로는 뒷 번호판의 위치를 트렁크에서 범퍼로 옮기고, 헤드램프와 라디에이터 그릴 디자인을 변경하여 볼륨감을 더했다. 1992년 3월에는 2.0L 가솔린 DOHC 엔진을 추가하여 성능을 향상시켰으며, 1993년 3월에는 대한민국 중형차 최초로 운전석 에어백을 적용하여 안전성을 높였다.[2] 1995년 6월에 후속 차종인 크레도스가 출시되면서 단종되었다.

기아 뉴 콩코드 (전기형) 정측면


기아 뉴 콩코드 (전기형) 후측면

2. 2. 1. 제원

항목내용
기본
제원
전장(mm)4,570 (1991년~1995년)
전폭(mm)1,720 (1991년~1995년)
전고(mm)1,405
축거(mm)2,520
윤거(전, mm)1,440
윤거(후, mm)1,430
승차 정원5명
연료 탱크 용량(L)60
구동
계통
변속기수동 5단/자동 3단(1.8L)
자동 4단(2.0L GLX DI, 2.0L OMEGA)
서스펜션(전/후)맥퍼슨 스트럿/맥퍼슨 스트럿
제동 장치(전/후)벤틸레이티드 디스크/드럼
구동 형식전륜구동



구분2.0 DOHC2.0 SOHC1.8 SOHC1.8 LPG2.0 디젤
연료가솔린가솔린가솔린LPG디젤
배기량(cc)1,9981,9981,7891,7891,998
최고 출력(ps/rpm)139/6,000110/5,500100/5,00095/5,00072/4,650
최대 토크(kg*m/rpm)18.5/4,00017.0/2,50015.5/2,30016.2/2,20013.8/2,500
공차 중량(kg)1,1701,1501,1401,1401,180
연비(km/L)11.55(수동)11.36(수동)
(이후 12.77(수동)로 변경)
12.87(수동)--


3. 미디어 속의 콩코드

콩코드는 여러 미디어 매체에 등장했다.

3. 1. 방송

1997년 10월 1일에 방영된 긴급구조 119 제144회 《넥타이 때문에...》에서 대전광역시의 한 아파트 지하주차장에 있던 콩코드 2.0 GLX DGT 모델이 등장했다. 해당 방송분에서는 부인이 운전하던 콩코드가 기둥에 부딪혀 냉각 장치가 파손되었고, 남편이 이를 정비하던 중 넥타이가 차량에 끼어 1시간 동안 의식불명 상태에 있다가 구조되는 내용이 나왔다.[1]

3. 2. 영화

투캅스에서 강민호 형사(박중훈 분)는 콩코드 1.8 LPG 택시(은색 일반 택시)를, 이형구 형사(김보성 분)는 뉴 콩코드 1.8 LPG 모범택시(검은색 모범 택시)를 타고 등장했다.

3. 3. 드라마

제빵왕 김탁구에서는 구일중 회장 주치의의 자가용으로 뉴 콩코드 1.8 모델이 등장했다. 응답하라 1988에서는 쌍문동을 떠나 판교로 이사 가는 덕선이네 자가용으로, 재벌집 막내아들에서는 대영모터스 측 레이싱카로 뉴 콩코드 1.8 모델이 등장했다.

4. 기아 캐피탈

페이스리프트 전 기아 캐피탈 DOHC 16V


기아 "뉴 캐피탈" LS Di


페이스리프트 전 기아 캐피탈 DOHC 16V


기아 "뉴 캐피탈" LS Di


콩코드의 저가형 모델인 캐피탈(K930 시리즈)은 1989년 2월에 출시되었다. 마쓰다의 1.5리터 B5 엔진을 탑재하여 80PS의 최고 출력을 냈다.[2] 최고 출력이 95PS인 1.5 MPFi 버전도 있었다.

1990년 5월, 배기량을 기준으로 자동차 세금이 부과되는 법률이 개정되면서 1.5리터가 주요 기준이 되었다. 이에 따라 캐피탈은 트윈캠 16밸브 B5 엔진 버전으로 출시되어 115PS의 출력을 낼 수 있었다. 최고 속도는 170km/h로 연료 분사 방식 1.5리터 엔진과 동일했지만, 0~100km/h 가속 시간은 13.5초에서 10.0초로 단축되었다.

1990년에 대우 에스페로현대 엘란트라와 같은 경쟁 차종이 출시되자, 캐피탈은 1991년 11월에 페이스리프트를 거쳤다. 후면 번호판의 위치가 테일라이트 사이에서 범퍼로 변경된 것이 가장 큰 특징이다. 페이스리프트 버전은 1.5리터 엔진과 함께 택시 용도로 의도된 1.8리터 엔진의 다운그레이드 버전(기화기 사양으로 82PS의 출력)을 제공했다. 기아의 소수 수출 시장을 위해 기화기 방식 2밸브 1.5리터 엔진을 탑재한 수출 사양(73PS)도 있었다.[2]

1994년 6월, 캐피탈은 두 번째 페이스리프트를 거쳐 "뉴 캐피탈"이라는 이름으로 판매되었다. 둥근 헤드라이트와 새로운 기아 로고가 적용된 그릴이 특징이다. 뉴 캐피탈은 GS 또는 LS 트림으로 16밸브 B5 엔진만 장착하여 판매되었다.

캐피탈의 생산은 1996년 12월에 종료되었으며, 셉피아와 몇 년 동안 병행 판매되었다.

참조

[1] 웹사이트 Graduate Information Brochure https://web.archive.[...] Kia Motors (UK) 2011-06-26
[2] 서적 Quattroruote: Tutte le Auto del Mondo 1992 Editoriale Domus S.p.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