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기형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기형도는 1960년 연평도에서 태어나 1989년 사망한 대한민국의 시인이다. 연세대학교 정치외교학과를 졸업하고, 동아일보 신춘문예에 시 〈안개〉가 당선되어 문단에 등단했다. 그는 중앙일보 기자로 활동하며, 《입 속의 검은 잎》, 《짧은 여행의 기록》 등의 작품을 남겼다. 그의 시는 김현에 의해 "그로테스크 리얼리즘"으로 평가받으며, 사회 비판적이고 소외된 삶을 다루는 특징을 보인다. 1989년 뇌졸중으로 갑작스럽게 사망한 후, 그의 작품들은 사후에도 많은 영향을 미쳤으며, 2017년에는 기형도문학관이 개관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옹진군 (인천광역시) 출신 - 박은진 (야구인)
    박은진은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로, 태평양 돌핀스와 한화 이글스에서 선수 생활을 했으며, 작고 후 유골은 인천가족공원에 안치되었다.
  • 옹진군 (인천광역시) 출신 - 이용식 (희극인)
    이용식은 1952년생으로, 1975년 MBC 개그 콘테스트를 통해 데뷔하여 어린이 프로그램 《뽀뽀뽀》에서 뽀식이로 활동하며 이름을 알린 대한민국의 희극인이다.
  • 서울시흥초등학교 동문 - 장덕수 (배우)
    1974년생인 장덕수는 1988년 아역 배우로 데뷔하여 드라마 《사춘기》와 영화 《돌아오라 개구리 소년》 등으로 인기를 얻었으며, 록 음악 그룹 야다의 키보디스트 겸 보컬리스트로 활동했고 현재는 더불어민주당 지지자로서 사회 문제에 관심을 보이는 배우이자 가수이다.
  • 서울시흥초등학교 동문 - 정태섭 (배우)
    정태섭은 1973년 드라마 《수사반장》으로 데뷔하여 드라마와 연극에서 활약한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 신림중학교 (서울) 동문 - 윤영찬
    윤영찬은 언론인 출신 정치인으로, 동아일보 기자, NHN 이사, 네이버 부사장을 거쳐 문재인 정부 국민소통수석을 역임하고 2020년 국회의원에 당선되었으며, 카카오 뉴스 편집 외압 논란이 있었다.
  • 신림중학교 (서울) 동문 - 여진구
    1997년생 대한민국 배우 여진구는 2005년 영화 《새드무비》로 데뷔하여 아역 배우로 활동하며 다수의 드라마와 영화에서 주연 아역을 맡아 뛰어난 연기력으로 SBS와 MBC 연기대상 최우수 아역상을 수상하고, 2013년 영화 《화이: 괴물을 삼킨 아이》에서 주연을 맡으며 성인 배우로 자리매김하여 꾸준히 활동하고 있다.
기형도
한국어 이름
한글기형도
한자奇亨度
로마자 표기Gi Hyeong-do
기본 정보
출생일1960년 3월 13일
출생지인천광역시 옹진군 연평면(舊 경기도 옹진군 송림면)
사망일1989년 3월 7일 (향년 28세)
사망지서울특별시 종로구 낙원동
묘지안성
직업작가, 언론인
학력
모교연세대학교
가족
기우민 (1991년 별세)
장옥순
형제자매기만도 (형), 기웅도 (형), 기세도 (누나), 기애도 (누나), 기향도 (누나), 기순도 (누나)
종교
종교로마 가톨릭교회 (세례명: 그레고리오)
작품 활동
활동 기간1984년 ~ 1989년
장르시문학

2. 생애

1960년 3월 13일 옹진군 연평도에서 공무원 기우민의 3남 4녀 중 막내로 태어났다.[8] 아버지는 황해도 출신 교사였으나 한국 전쟁 중 연평도로 피난하여 면사무소 공무원을 하였다.[8] 간척 사업 실패 후 1965년 경기도 시흥군 서면 소하리(현 광명시 소하동)로 이주했다.[8] 기아자동차 공장이 근처에 있었고 안양천을 따라 둑방길이 있었다.[9] 이 풍경은 그의 시에 많은 영향을 주었다.[9]

기형도가 살던 곳은 소하리였지만 학교는 서울로 통학하였다. 서울시흥초등학교, 신림중학교를 거쳐 중앙고등학교를 졸업하고, 1979년연세대학교 정치외교학과에 입학하였다.[11]

1969년 아버지가 뇌졸중으로 쓰러졌다. 이후 어머니가 생계를 꾸렸다. 시장에 나가는 어머니의 모습 역시 기형도에게 큰 영향을 주었다. 기형도는 녹녹치 않은 살림을 걱정하며 어머니를 생각하는 어린 시절을 보냈다.[10]



'''엄마 걱정'''

열무 삼십 단을 이고

시장에 간 우리 엄마

안 오시네, 해는 시든 지 오래

나는 찬밥처럼 방에 담겨

아무리 천천히 숙제를 해도

엄마 안 오시네, 배추잎 같은 발소리 타박타박

안 들리네. 어둡고 무서워

금간 창 틈으로 고요한 빗소리

빈 방에 혼자 엎드려 훌쩍거리던

아주 먼 옛날

지금도 내 눈시울을 뜨겁게 하는

그 시절, 내 유년의 윗목



1975년 공장을 다니던 바로 위의 누나가 사망하였다. 몸져 누운 아버지와 일찍 죽은 누이는 기형도의 마음에 큰 상처가 되었다. 누이가 죽은 뒤부터 시를 쓰기 시작하였다.[13]

1979년 연세대학교 정치외교학과에 입학했다. 그는 연세대학교 문학 동아리 "연세문학회"에 가입했고, 대학 신문으로부터 표창을 받았다. 1980년 서울의 봄을 맞아 연세대학교 학보에 〈노마네 마을의 개〉를 기고하였다가 공안당국에 끌려가 조사를 받았다. 1981년에 휴학하고 방위병으로 소집되어 안양에서 근무하였다. 이 시기 경기도 안양의 문학동인지 《수리》에 참여하였다. 1983년 복학하여 〈식목제〉로 《연세춘추》가 시상하는 《윤동주문학상》을 수상하였다.[14] 1985년 연세대학교 정치외교학과에서 학사 학위를 취득하였고, 동아일보 신춘문예 시 부문에 〈안개〉가 당선되었다.[11] 졸업 전인 1984년, 중앙일보에 입사하여 정치부, 문화부, 편집부 기자로 일하기 시작하였다. 이후 《문학사상》, 《현대문학》, 《한국문학》과 같은 문학지에 지속적으로 작품을 발표하였다.[15]

1989년 3월 7일 새벽, 서울 종로에 있었던 파고다극장에서 심야 영화를 관람하다가 뇌졸중으로 사망하였다.[16] 기형도는 평소에도 혈압이 높았으며 자신이 오래 살지 못할 것이라고 생각했다고 한다.[16] 전날 작가 김태연과 다음날 자정에 극장에서 보자고 통화할 정도로, 그는 심야 동시상영 극장을 자주 다녔다.[16] 당시 파고다극장은 《뽕 2》와 《폴리스 스토리》를 연이어 상영하고 있었지만, 《뽕2》 상영을 마친 뒤 극장 안을 정리하던 경비원이 기형도를 발견하여, 다음날 동아일보는 기형도가 《뽕2》를 관람하다 사망하였다고 보도하였다.[17] 기형도는 장례를 치른 후 안성의 천주교 묘지에 묻혔다.[17] 묘비에는 세례명 "그레고리오"가 새겨져 있다. 그의 무덤은 문학을 동경하고 시를 꿈꾸는 이들에게 일종의 성지다.[19] 2년 뒤에는 그의 아버지도 그의 옆에 묻혔다.[19]

같은 해 5월 유고시집 《입 속의 검은 잎》이 발간되었으며, 유고시집의 제목은 평론가 김현이 정했다. 김현은 당시 중앙일보에 월간 시평을 쓰고 있었는데 1988년 6월에 기형도의 시를 평론한 원고를 기고하였다. 문화부에서 월간 시평을 담당하고 있던 기형도는 자신의 시에 대한 평론을 차자 자신이 정리할 수가 없어 김현에게 전화를 걸어 원고 수정을 요청한 일이 있었다.[20] 김현은 《입 속의 검은 잎》의 해설 〈영원히 닫힌 빈방의 체험〉을 썼으며 "영원히 닫힌 빈방의 체험은 젊은 시인을 위한 진혼가"라고 썼다. 김현 역시 1년여 뒤 사망하였다.[21]

1990년 산문을 모아 《짧은 여행의 기록》이 출간되었고 1994년 미발표 유고 시를 모은 《사랑을 잃고 나는 쓰네》가 나왔다. 1999년 《기형도 전집》이 정리되어 나왔다.[8]

2017년 광명시는 기형도문학관을 개장하였다.[22]

2. 1. 유년 시절과 가족

1960년 3월 13일 옹진군 연평도에서 공무원 기우민의 3남 4녀 중 막내로 태어났다.[8] 행주 기씨.[5] 아버지는 황해도 출신 교사였으나 한국 전쟁 중 연평도로 피난하여 면사무소 공무원을 하였다.[8] 간척 사업 실패 후 1965년 경기도 시흥군 서면 소하리(현 광명시 소하동)로 이주했다.[8] 기아자동차 공장이 근처에 있었고 안양천을 따라 둑방길이 있었다.[9] 이 풍경은 그의 시에 많은 영향을 주었다.[9]

기형도가 살던 곳은 소하리였지만 학교는 서울로 통학하였다. 서울시흥초등학교, 신림중학교를 거쳐 중앙고등학교를 졸업했다.[11] 1967년 시흥초등학교에 입학했다.[5] 1973년 신림중학교, 1976년 중앙고등학교에 입학하여 교내 중창단원으로 활동했다.

1979년 연세대학교 정치외교학과에 입학하였다.[11]

1969년 아버지가 뇌졸중으로 쓰러진 뒤[11] 어머니가 시장에서 행상하며 생계를 꾸렸다.[5] 기형도는 어려운 살림을 걱정하며 유년 시절을 보냈다.[10]



'''엄마 걱정'''

열무 삼십 단을 이고

시장에 간 우리 엄마

안 오시네, 해는 시든 지 오래

나는 찬밥처럼 방에 담겨

아무리 천천히 숙제를 해도

엄마 안 오시네, 배추잎 같은 발소리 타박타박

안 들리네. 어둡고 무서워

금간 창 틈으로 고요한 빗소리

빈 방에 혼자 엎드려 훌쩍거리던

아주 먼 옛날

지금도 내 눈시울을 뜨겁게 하는

그 시절, 내 유년의 윗목



1975년 공장을 다니던 바로 위의 누나가 사망하였다.[13] 몸져 누운 아버지와 일찍 죽은 누이는 기형도의 마음에 큰 상처가 되었고, 이후 시를 쓰기 시작하였다.[13]

2. 2. 학창 시절과 문학 활동

1960년 3월 13일 옹진군 연평도에서 공무원인 기우민의 3남 4녀 중 막내로 태어났다. 아버지 기우민의 고향은 황해도였고 그곳에서 교사를 하였으나 한국 전쟁 중 연평도로 피난하여 그곳에서 살게 되었다. 연평도에서는 면사무소 공무원을 하였다. 간척 사업에 손을 대었다가 크게 실패하고 1965년 경기도 시흥군 서면 소하리(현 광명시 소하동)로 이주했다.[8] 소하리의 집은 아버지가 직접 지은 것이다. 근처에 기아자동차 공장이 자리잡고 있었고 안양천을 따라 둑방길이 이어져 있었다.[9] 지금은 철거되어 창고가 자리잡고 있다.[10] 소하리의 이러한 풍경은 그의 시 작품에 많은 영향을 주었다. 그가 살던 마을에는 안개가 자주 끼었고 안개 속을 뚫고 노동자들이 일터로 향했다.[9]

기형도가 살던 곳은 소하리였지만 학교는 서울로 통학하였다. 서울시흥초등학교, 신림중학교를 거쳐 중앙고등학교를 졸업하고, 1979년연세대학교 정치외교학과에 입학하였다.[11] 신림중학교(1973–76) 재학 시절 기형도는 그의 누이 중 한 명이 교회 신도에 의해 살해당한 사건을 겪은 후 시를 쓰기 시작했다. 그는 글쓰기 외에도 학교 합창단 "목동"에서 바리톤으로 활동했으며, 학교 문예 창작 대회에서 정기적으로 상을 받았다.

1969년에는 아버지가 뇌졸중으로 쓰러졌다. 이후 어머니가 생계를 꾸렸다. 시장에 나가는 어머니의 모습 역시 기형도에게 큰 영향을 주었다. 한양대 국어국문학과 유성호는 윤동주를 닮고 싶어한 기형도의 시작 활동에 녹아 있는 어린 시절은 윤동주의 동화 속과 같은 모습이 아니라 절박한 삶의 모습이었다고 평한다.[12] 기형도는 녹녹치 않은 살림을 걱정하며 어머니를 생각하는 어린 시절을 보냈다.[10] 1975년 공장을 다니던 바로 위의 누나가 사망하였다. 몸져 누운 아버지와 일찍 죽은 누이(기순도)는 기형도의 마음에 큰 상처가 되었다. 누이가 죽은 뒤부터 시를 쓰기 시작하였다.[13]

1979년 중앙고등학교를 졸업한 후 기형도는 연세대학교 정치외교학과에 입학했다. 그는 연세대학교 문학 동아리 "연세문학회"에 가입했고, 불행한 가정사를 다룬 단편 소설로 대학 신문으로부터 표창을 받았다. 1980년 서울의 봄을 맞아 연세대학교 학보에 〈노마네 마을의 개〉를 기고하였다가 공안당국에 끌려가 조사를 받았다. 1981년에 휴학하고 방위병으로 소집되어 안양에서 근무하였다. 이 시기 경기도 안양의 문학동인지 《수리》에 참여하였다. 1983년 복학하여 〈식목제〉로 《연세춘추》가 시상하는 《윤동주문학상》을 수상하였다.[14] 1985년 연세대학교 정치외교학과에서 학사 학위를 취득하였고, 동아일보 신춘문예 시 부문에 〈안개〉가 당선되었다.[11] 졸업 전인 1984년, 중앙일보에 입사하여 정치부, 문화부, 편집부 기자로 일하기 시작하였다. 이후 《문학사상》, 《현대문학》, 《한국문학》과 같은 문학지에 지속적으로 작품을 발표하였다.[15]

2. 3. 기자 생활과 작품 활동

1960년 3월 13일 옹진군 연평도에서 태어난 기형도는 1979년 연세대학교 정치외교학과에 입학하여 대학 생활의 큰 부분을 연세문학회에서 보냈다.[11] 1980년 서울의 봄을 맞아 연세대학교 학보에 〈노마네 마을의 개〉를 기고했다가 공안당국에 끌려가 조사를 받기도 했다.[8] 1983년에는 〈식목제〉로 《연세춘추》가 시상하는 《윤동주문학상》을 수상하였다.[14] 1985년 연세대학교 정치외교학과에서 학사 학위를 취득하였고,[11] 졸업 전인 1984년 중앙일보에 입사하여 정치부, 문화부, 편집부 기자로 일했다.[15] 1985년 동아일보 신춘문예 시 부문에 〈안개〉가 당선되었다.[11] 이후 《문학사상》, 《현대문학》, 《한국문학》과 같은 문학지에 지속적으로 작품을 발표하였다.[15] 1986년에는 문화부로 전보를 요청하여 문화 행사, 출판물 및 TV 드라마를 담당했고, 1988년 여름에는 런던과 파리로 여행을 떠났으며 같은 해에 편집부로 다시 전보되었다.[4]

2. 4. 갑작스러운 죽음과 사후

1989년 3월 7일 새벽, 서울 종로에 있었던 파고다극장에서 심야 영화를 관람하다가 뇌졸중으로 사망하였다.[16] 기형도는 평소에도 혈압이 높았으며 자신이 오래 살지 못할 것이라고 생각했다고 한다.[16] 전날 작가 김태연과 다음날 자정에 극장에서 보자고 통화할 정도로, 그는 심야 동시상영 극장을 자주 다녔다.[16] 당시 파고다극장은 《뽕 2》와 《폴리스 스토리》를 연이어 상영하고 있었지만, 《뽕2》 상영을 마친 뒤 극장 안을 정리하던 경비원이 기형도를 발견하여, 다음날 동아일보는 기형도가 《뽕2》를 관람하다 사망하였다고 보도하였다.[17] 파고다극장은 건물은 그대로 있지만 고시원으로 변했다.[18] 기형도는 장례를 치른 후 안성의 천주교 묘지에 묻혔다.[17] 묘비에는 세례명 "그레고리오"가 새겨져 있다. 그의 무덤은 문학을 동경하고 시를 꿈꾸는 이들에게 일종의 성지다.[19] 2년 뒤에는 그의 아버지도 그의 옆에 묻혔다.[19] 시인의 요절과 죽음의 그림자 짙게 드리워진 시집은 이후 기형도 신화를 빚어냈다.[19]

같은 해 5월 유고시집 《입 속의 검은 잎》이 발간되었으며, 유고시집의 제목은 평론가 김현이 정했다. 김현은 당시 중앙일보에 월간 시평을 쓰고 있었는데 1988년 6월에 기형도의 시를 평론한 원고를 기고하였다. 문화부에서 월간 시평을 담당하고 있던 기형도는 자신의 시에 대한 평론을 차자 자신이 정리할 수가 없어 김현에게 전화를 걸어 원고 수정을 요청한 일이 있었다.[20] 김현은 《입 속의 검은 잎》의 해설 〈영원히 닫힌 빈방의 체험〉을 썼으며 "영원히 닫힌 빈방의 체험은 젊은 시인을 위한 진혼가"라고 썼다. 김현 역시 1년여 뒤 사망하였다.[21]

1990년 산문을 모아 《짧은 여행의 기록》이 출간되었고 1994년 미발표 유고 시를 모은 《사랑을 잃고 나는 쓰네》가 나왔다. 1999년 《기형도 전집》이 정리되어 나왔다.[8]

2017년 광명시는 기형도문학관을 개장하였다.[22]

3. 작품 세계와 평가

문학 평론가 김현은 그의 작품 세계를 "그로테스크 리얼리즘"이라 일컬었다.[23] 김현은 "그의 시가 그로테스크한 것은, 타인들과의 소통이 불가능해져, 갇힌 개별자의 비극적 모습이 마치 무덤 속의 시체처럼 뚜렷하게 드러나 있다는 데에 있다. 시인은 그의 모든 꿈이 망가져 있음을 깨닫는다."고 평했다.[24]

기형도 사후 10년 동안 문학계에서는 평론과 추도문을 합하여 그를 다룬 산문이 45편, 그를 모티브로 한 시가 21편이 발표되었다. 평론가 정과리는 김현의 "그로테스크 리얼리즘"에 동의하면서 "죽은 기형도가 살아있는 어떤 시인보다도 더 뜨거운 현재형으로 타오르고 있다"고 평한바 있다.[25] 그의 시가 그로테스크하다는 평을 받는 것은 일상의 언어로 현실의 참혹함을 관찰하면서 동시에 인공낙원의 동화적 환상으로 도피하기 때문이다.[26] 평론가 임우기는 기형도의 시에 등장하는 시적 자아의 특징으로 "유기체성"을 들었다. 현실의 불안과 고통 속에 내재된 그림자로서의 자아가 죽음조차 시간을 지나 나아가는 궁극적 존재로서 긍정하게 된다는 것이다.[27]

숭실대학교 국문학자 엄경희는 기형도의 시가 불확실한 희망보다는 확실한 절망을 택하는 아이러니를 보여준다고 평하면서 "좁은 도시의 혼돈에서 한 걸음도 나가려 하지 않고 …… 그 속에 자신을 가두었다. …… 그것이 절망하게 하고 자신을 병들게 할 지라도 그 위태한 곳이 자신의 터전일 수 밖에 없다는 인식" 때문이었다고 해석한다.[28]

3. 1. 그로테스크 리얼리즘

문학 평론가 김현은 기형도의 작품 세계를 "그로테스크 리얼리즘"이라 칭했다.[23] 김현은 "그의 시가 그로테스크한 것은, 타인들과의 소통이 불가능해져, 갇힌 개별자의 비극적 모습이 마치 무덤 속의 시체처럼 뚜렷하게 드러나 있다는 데에 있다. 시인은 그의 모든 꿈이 망가져 있음을 깨닫는다."고 평했다.[24]

기형도 사후 10년 동안 문학계에서는 평론과 추도문을 합하여 그를 다룬 산문이 45편, 그를 모티브로 한 시가 21편이 발표되었다. 평론가 정과리는 김현의 "그로테스크 리얼리즘"에 동의하면서 "죽은 기형도가 살아있는 어떤 시인보다도 더 뜨거운 현재형으로 타오르고 있다"고 평했다.[25] 그의 시가 그로테스크하다는 평을 받는 것은 일상의 언어로 현실의 참혹함을 관찰하면서 동시에 인공낙원의 동화적 환상으로 도피하기 때문이다.[26]

숭실대학교 국문학자 엄경희는 기형도의 시가 불확실한 희망보다는 확실한 절망을 택하는 아이러니를 보여준다고 평하면서 "좁은 도시의 혼돈에서 한 걸음도 나가려 하지 않고 …… 그 속에 자신을 가두었다. …… 그것이 절망하게 하고 자신을 병들게 할 지라도 그 위태한 곳이 자신의 터전일 수 밖에 없다는 인식" 때문이었다고 해석한다.[28]

3. 2. 사회 비판과 소외된 삶

문학 평론가 김현은 기형도의 작품 세계를 "그로테스크 리얼리즘"이라 칭했다. 김현은 "그의 시가 그로테스크한 것은, 타인들과의 소통이 불가능해져, 갇힌 개별자의 비극적 모습이 마치 무덤 속의 시체처럼 뚜렷하게 드러나 있다는 데에 있다. 시인은 그의 모든 꿈이 망가져 있음을 깨닫는다."고 평했다.

기형도 사후 10년 동안 문학계에서는 평론과 추도문을 합하여 그를 다룬 산문이 45편, 그를 모티브로 한 시가 21편이 발표되었다. 평론가 정과리는 김현의 "그로테스크 리얼리즘"에 동의하면서 "죽은 기형도가 살아있는 어떤 시인보다도 더 뜨거운 현재형으로 타오르고 있다"고 평했다. 그의 시가 그로테스크하다는 평을 받는 것은 일상의 언어로 현실의 참혹함을 관찰하면서 동시에 인공낙원의 동화적 환상으로 도피하기 때문이다. 평론가 임우기는 기형도의 시에 등장하는 시적 자아의 특징으로 "유기체성"을 들었다. 현실의 불안과 고통 속에 내재된 그림자로서의 자아가 죽음조차 시간을 지나 나아가는 궁극적 존재로서 긍정하게 된다는 것이다.

숭실대학교 국문학자 엄경희는 기형도의 시가 불확실한 희망보다는 확실한 절망을 택하는 아이러니를 보여준다고 평하면서 "좁은 도시의 혼돈에서 한 걸음도 나가려 하지 않고 …… 그 속에 자신을 가두었다. …… 그것이 절망하게 하고 자신을 병들게 할 지라도 그 위태한 곳이 자신의 터전일 수 밖에 없다는 인식" 때문이었다고 해석한다.

3. 3. 주요 작품

기형도는 문학사상에 〈어느 푸른 저녁〉(1985년 12월호), 〈植木祭〉(1987년 4월호), 〈여행자〉,〈장미빛 인생〉(1987년 9월호),〈흔해빠진 독서〉,〈노인들〉(1988년 5월호), 〈바람의 집---겨울 版畵 1〉,〈삼촌의 죽음—겨울 版畵 4〉(1988년 11월호)를 발표했다. 문학과사회에는 〈정거장에서의 충고〉,〈가는 비 온다〉,〈기억할 만한 지나침〉(1988년 겨울호)을 발표했다.

시집으로는 《입 속의 검은 잎》(1989), 《짧은 여행의 기록》(1990), 《사랑을 잃고 나는 쓰네》(1994), 《기형도 전집》(1999)이 있다.

4. 수상 경력


  • 윤동주 문학상(1982)

5. 기타

참조

[1] 웹사이트 Four Poems Translated by Gabriel Sylvian http://cordite.org.a[...] 2011-06-29
[2] 웹사이트 Korean Literature Authors Name Authority Database - LTI Korea Library - LibGuides at Literature Translation Institute of Korea http://klti.libguide[...]
[3] 웹사이트 Author Database - Korea Literature Translation Institute http://klti.or.kr/ke[...]
[4] 서적 ''Warning at the Station'' (Jeonggeojang eseo eui chunggo) Munhak gwa jiseong sa (Moonji Publishers) 2009
[5] 서적 ''Complete Works of Gi Hyeongdo'' (Gi Hyeongdo jeonjip) Munhak gwa jiseong sa (Moonji Publishers) 1999
[6] 웹사이트 Reading List: Gay/Poet/Korea: An Interview with Gabriel Sylvian on the Poetry of Gi Hyeong-do http://koreabridge.n[...]
[7] 문서 기형도 작가 묘비 뒷면
[8] 웹사이트 기형도 http://news.kyoboboo[...]
[9] 뉴스 기형도는 사람이었다. 괜찮은 사람이었다 http://monthly.chosu[...] 월간조선 2018-06
[10] 뉴스 친누나가 본 기형도 시인의 삶과 죽음 http://news1.kr/arti[...] 뉴스1 2017-11-12
[11] 웹사이트 생애 http://www.kihyungdo[...]
[12] 뉴스 기형도 30주기 “그의 시는 시간이 갈수록 풍부해진다” https://news.joins.c[...] 중앙일보 2019-03-08
[13] 웹사이트 작가연보 http://www.kihyungdo[...]
[14] 웹사이트 기형도 http://encykorea.aks[...]
[15] 웹사이트 작품연보 http://www.kihyungdo[...]
[16] 뉴스 기형도는 스스로 일찍 죽을 걸 알고 있었어요 http://www.hani.co.k[...] 한겨레 2018-02-26
[17] 뉴스 ‘자기 고백의 희망’ ... 기형도 30주기 http://www.m-economy[...] M이코노미뉴스 2019-04-04
[18] 뉴스 ‘시네마 천국’ 종로3가, 추억을 잃고 서성이네 http://go.seoul.co.k[...] 서울신문 2015-05-01
[19] 뉴스 week&커버스토리] 추모여행, 세상에서 가장 경건한 ‘소풍’ http://article.joins[...] 중앙일보사 2009-06-04
[20] 뉴스 김현 “그는 젊어서 죽을 수밖에 없었던 시인” https://news.joins.c[...] 중앙일보 2011-08-07
[21] 뉴스 김현·기형도 '영혼의 교감'/ 백지연 http://legacy.www.ha[...] 한겨레 2002-08-18
[22] 웹사이트 설립취지 http://www.kihyungdo[...]
[23] 서적 문학들 실천문학사 2004
[24] 서적 입 속의 검은 잎 문학과지성사 1991
[25] 서적 인공낙원의 뒷골목 실천문학사 2006-03-20
[26] 웹사이트 정거장에서의 충고-기형도의 삶과 문학 http://moonji.com/bo[...]
[27] 뉴스 기형도 시의 ‘그늘’은 시를 살게 한다 http://munhaknews.co[...] 문학뉴스 2017-11-20
[28] 서적 상자 속에 채집된 아이러니적 존재 - 기형도론 소명출판 2004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