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행주 기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행주 기씨는 기자를 시조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다. 고려 시대에는 기순우가 문하시랑평장사를 지냈으며, 기탁성, 기홍수 등이 활약했다. 특히 기철과 그의 여동생 기황후는 고려 후기 권문세족으로 원나라 황실과 연관되었다. 조선 시대에는 기면, 기대승, 기자헌, 기정진 등 많은 인물을 배출했으며, 정종의 후궁 숙의 기씨를 배출하여 왕실과 인척 관계를 맺었다. 2015년에는 27,379명이 행주 기씨 성을 가진 것으로 조사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행주 기씨 - 기경옥
    기경옥은 《빨간망토 차차》의 차차, 《알프스 소녀 안네트》의 안네트,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의 앨리스 등 다수의 애니메이션과 영화, 외화, 다큐멘터리 등에서 목소리 연기를 한 대한민국의 성우이다.
  • 행주 기씨 - 기보배
    기보배는 대한민국의 양궁 선수로, 올림픽 2관왕을 포함한 다수의 국제 대회에서 우수한 성적을 거두었으며, 은퇴 후 대학교수 및 해설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행주 기씨 - [성씨/가문]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한자 표기幸州奇氏
로마자 표기Haengju Gi clan
국가한국
지역고양시
관련 인물기황후
기차오
기보배
기동민
기성용
기휘현
기형도
웹사이트행주 기씨 대종중
유래
관향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행주동
시조기순우(奇純祐)
인물기탁성
기홍수
기윤숙
기자오
기철
기황후
숙의 기씨
기건
기준
기대항
기대승
기자헌
기정진
기삼연
기산도
기세훈
기세춘
기찬수
기형도
기모란
집성촌광주광역시 광산구
전라남도 장성군
전라남도 무안군 운남면 연리
황해도 금천군 좌면 암사리
년도2015
인구27,379명
비고행주기씨 대종중

2. 기원

행주 기씨 족보에 따르면 기자의 48대손 '''기우성'''을 시조로 한다. 《행주기씨보》 및 《청주한씨세보》에 따르면 마한 8대 원왕(元王) 한훈(韓勳)에게는 우평(友平)·우량(友諒)·우성(友誠) 세 아들이 있었는데, 우평은 태원 선우씨, 우량은 청주 한씨, '''우성'''은 행주 기씨가 되었다고 한다.[8]

3. 역사

행주 기씨(幸州 奇氏)의 시조 '''기순우'''(奇純祐)는 고려 인종 때 문하평장사(門下平章事)를 지냈다. 기순우의 아버지는 기우성의 후예 기문유(奇文儒)이다. 1688년(조선 숙종 14) 족보를 간행할 때 이곡(李穀)이 지은 기황후(奇皇后)의 아버지 영안왕(榮安王) 기자오(奇子敖)의 행장(行狀)을 근거로 기자오의 5대조인 '''기순우'''를 1세로 하였다. 상계에 대해서는 조선 선조 때 영의정 기자헌(奇自獻)의 동생 기윤헌(奇允獻) 집에 기록이 전해지고 있었는데 이괄의 난 때 소실되었다고 한다.[1]

4. 인물


  • 고려
  • 기탁성(奇卓誠, ? ~ 1179) : 조위총의 난을 평정하고 판병부사(判兵部事), 문하시랑 평장사(門下侍郎平章事)·판이부사(判吏部事)를 역임했다.
  • 기홍수(奇洪壽, 1148 ~ 1209) : 1194년(명종 24) 추밀원부사(樞密院副使), 1197년 참지정사 판병부사(參知政事判兵部事), 수사도 중서시랑 평장사감수국사 판병부사 태자태부(守司徒中書侍郎平章事監修國史判兵部事太子太傅), 1199년(신종 2) 수태위 문하시랑 평장사(守太尉門下侍郎平章事), 1200년 수태사 주국(守太師柱國), 1201년 문하시랑 동중서문하 평장사(門下侍郎同中書門下平章事)를 거쳐 1203년 벽상삼한삼중대광 문하시랑 동중서문하평장사 판이부사(壁上三韓三重大匡門下侍郎同中書門下平章事判吏部事)에 이르렀다.
  • 기윤숙(奇允肅, ? ~ 1257) : 문하시랑평장사를 역임했다.
  • 기철(奇轍, ? ~ 1356) : 고려 후기 권문세족이었다.
  • 기황후 (? ~ 1370) : 원나라의 마지막 황후로, 기철의 여동생이다.
  • 기중평(奇仲平) : 고려 후기 권문세족이며, 기면(寄勉)의 부친이다.
  • 조선
  • 기면(?~?): 공조전서를 지냈으며, 조선 정종의 후궁 숙의 기씨의 부친이다. 고려 권문 세족 기중평(奇仲平)의 아들이다.[1]
  • 기건(?~1460): 조선의 문신으로, 전라도관찰사 겸 전주부윤, 호조참판, 개성부유수를 역임하였다. 계유정난 이후 관직을 버리고 은둔하였다.[1]
  • 기준(1492~1521): 호는 복재이며, 1514년(중종 9년) 별시 문과에 급제하여 1519년 응교를 지내다가 기묘사화에 연루되어 교살되었다. 1545년(인종 1) 이조판서에 추증되었다. 시호는 문민(文愍)이다.[1]
  • 기대항(1519~1564): 복재 기준의 아들로, 1546년(명종 1) 문과에 급제하여 대사헌, 이조참판을 거쳐 1564년 공조참판·한성부윤에 올랐다. 시호는 정견(貞堅)이다.[1]
  • 기대승(1527~1572): 1558년 식년 문과에 급제하고, 선조 때 성균관 대사성, 대사간, 공조참의 등을 역임하였다. 성리학 이론에 큰 업적을 남겼다. 시호는 문헌(文憲)이다.[1]
  • 기효간(1530~1593): 호는 금강(錦江)이며, 하서 김인후의 문인으로 호남의 은덕군자(隱德君子)로 불렸다. 서태수·변이중·변성온·변성진 등과 교유하였으며, 죽은 뒤 임진왜란 때 의병을 일으킨 공으로 선무원종공신에 책봉되고, 호조참의에 추증되었다. 장성 추산서원에 배향되었다.[1]
  • 기효증(1550~1616): 문헌공 기대승의 아들로 임진왜란 때 동복현감으로 의병장에 추대되어 군사와 군량을 의주까지 수송하였다.[1]
  • 기자헌(1562~1624): 한성부기대항의 손자로, 1590년 증광 문과에 급제하고 우의정, 좌의정을 거쳐 1614년 영의정에 올랐다. 1620년 덕평부원군(德平府院君)에 봉해졌다.[1]
  • 기윤헌(1575~1624): 영의정 기자헌의 동생으로 1605년(선조 38)에 증광 문과에 급제하고, 세자시강원문학, 장령, 안악군수를 역임하였다.[1]
  • 기준격(1594~1624): 영의정 기자헌의 아들로, 정언, 병조좌랑, 예조좌랑을 역임하였다. 1624년(인조 2) 이괄의 난에 내응하려 하였다는 혐의로 사형당하였다.[1]
  • 기정익(1627~1690): 호는 송암(松巖)이다. 금강 기효간의 현손, 우암 송시열 문인, 제릉참봉에 제수되고, 뒤이어 효릉참봉에 임명되었으나 모두 출사하지 않고 학문과 후학 양성에만 전념하였다. 장성 추산서원에 배향되었다.[1]
  • 기언관(1706~?): 기대승의 6세손, 헌납, 사간 등을 역임하였다.[1]
  • 기언정(1716~1797): 사간 기언관의 동생으로 대사간, 대사헌, 공조판서를 역임하였다.[1]
  • 기학경(1741~1809): 기대승의 7세손이며, 사간 기언관의 삼남이다. 사간원 정언, 무장현감, 홍문관 수찬을 역임하였다.[1]
  • 기정진(1798~1879): 조선 후기의 유학자이다. 시호는 문간(文簡)이다. 진원 고산서원에 배향되었다.[1]
  • 기양연(1827~1895): 조선 말기의 문신으로 사헌부 장령, 부교리, 부수찬을 역임하였다.[1]
  • 기우만(1846~1916): 유학자, 항일의병장이다.[1]
  • 기삼연(1851~1908): 항일의병장이다.[1]
  • 기동준(1860~1918): 기대승의 후예로 사마시에 합격하였으나 귀향하여 학문에 정진하며 후학 양성에 매진하였다. 기대승의 문집을 발간하였다.[1]
  • 기산도(1878~1928): 독립운동가이다.[1]

4. 1. 고려


  • 기탁성(奇卓誠, ? ~ 1179) : 조위총의 난을 평정하여 판병부사(判兵部事), 문하시랑 평장사(門下侍郎平章事)·판이부사(判吏部事)가 되었다.
  • 기홍수(奇洪壽, 1148 ~ 1209) : 1194년(명종 24) 추밀원부사(樞密院副使), 1197년 참지정사 판병부사(參知政事判兵部事), 수사도 중서시랑 평장사감수국사 판병부사 태자태부(守司徒中書侍郎平章事監修國史判兵部事太子太傅), 1199년(신종 2) 수태위 문하시랑 평장사(守太尉門下侍郎平章事), 1200년 수태사 주국(守太師柱國), 1201년 문하시랑 동중서문하 평장사(門下侍郎同中書門下平章事)를 거쳐 1203년 벽상삼한삼중대광 문하시랑 동중서문하평장사 판이부사(壁上三韓三重大匡門下侍郎同中書門下平章事判吏部事)가 되었다.
  • 기윤숙(奇允肅, ? ~ 1257) : 문하시랑평장사
  • 기철(奇轍, ? ~ 1356) : 고려 후기 권문세족
  • 기황후 (? ~ 1370) : 원나라의 마지막 황후, 기철의 여동생
  • 기중평(奇仲平) : 고려 후기 권문세족이며, 기면(寄勉)의 부친

4. 2. 조선


  • 기면(?~?): 공조전서를 지냈으며, 조선 정종의 후궁 숙의 기씨의 부친이다. 고려 권문 세족 기중평(奇仲平)의 아들이다. 외조모는 고려 태자태사 진위 이씨 이중육(李仲育)의 딸이다.[1]
  • 기건(?~1460): 조선의 문신이다. 전라도관찰사 겸 전주부윤, 호조참판, 개성부유수를 역임하였다. 계유정난으로 수양대군이 왕위에 오르자 관직을 버리고 두문불출하였다.[1]
  • 기준(1492~1521): 호는 복재이다. 1514년(중종 9년) 별시 문과에 급제하여 1519년 응교를 지내다가 기묘사화에 연루되어 교살되었다. 1545년(인종 1) 이조판서에 추증되었다. 시호는 문민(文愍)이다.[1]
  • 기대항(1519~1564): 1546년(명종 1) 복재 기준의 아들로, 문과에 급제하여 대사헌, 이조참판을 거쳐 1564년 공조참판·한성부윤에 올랐다. 시호는 정견(貞堅)이다.[1]
  • 기대승(1527~1572): 1558년 식년 문과에 급제하고, 선조 때 성균관 대사성, 대사간, 공조참의 등을 역임하였다. 성리학 이론에 대한 큰 업적이 있었다. 시호는 문헌(文憲)이다.[1]
  • 기효간(1530~1593): 호는 금강(錦江)이다. 하서 김인후의 문인으로 호남의 은덕군자(隱德君子)이다. 서태수·변이중·변성온·변성진 등과 교유하였으며, 죽은 뒤 임진왜란 때 의병을 일으킨 공으로 선무원종공신에 책봉되고, 호조참의에 추증되었다. 장성 추산서원에 배향되었다.[1]
  • 기효증(1550~1616): 문헌공 기대승의 아들로 임진왜란 때 동복현감으로 의병장에 추대되어 군사와 군량을 의주까지 수송하였다.[1]
  • 기자헌(1562~1624): 한성부기대항의 손자로, 1590년 증광 문과에 급제하고 우의정, 좌의정을 거쳐 1614년 영의정에 올랐다. 1620년 덕평부원군(德平府院君)에 봉해졌다.[1]
  • 기윤헌(1575~1624): 영의정 기자헌의 동생으로 1605년(선조 38)에 증광 문과에 급제하고, 세자시강원문학, 장령, 안악군수를 역임하였다.[1]
  • 기준격(1594~1624): 영의정 기자헌의 아들로 정언, 병조좌랑, 예조좌랑을 역임하였다. 1624년(인조 2) 이괄의 난에 내응하려 하였다는 혐의로 사형당하였다.[1]
  • 기정익(1627~1690): 호는 송암(松巖)이다. 금강 기효간의 현손, 우암 송시열 문인, 제릉참봉에 제수되고, 뒤이어 효릉참봉에 임명되었으나 모두 출사하지 않고 학문과 후학 양성에만 전념하였다. 장성 추산서원에 배향되었다.[1]
  • 기언관(1706~?): 기대승의 6세손, 헌납, 사간 등을 역임하였다.[1]
  • 기언정(1716~1797): 사간 기언관의 동생으로 대사간, 대사헌, 공조판서를 역임하였다.[1]
  • 기학경(1741~1809): 기대승의 7세손이며, 사간 기언관의 삼남이다. 사간원 정언, 무장현감, 홍문관 수찬을 역임하였다.[1]
  • 기정진(1798~1879): 조선 후기의 유학자이다. 시호는 문간(文簡)이다. 진원 고산서원에 배향되었다.[1]
  • 기양연(1827~1895): 조선 말기의 문신으로 사헌부 장령, 부교리, 부수찬을 역임하였다.[1]
  • 기우만(1846~1916): 유학자, 항일의병장이다.[1]
  • 기삼연(1851~1908): 항일의병장이다.[1]
  • 기동준(1860~1918): 기대승의 후예로 사마시에 합격하였으나 귀향하여 학문에 정진하며 후학 양성에 매진하였다. 기대승의 문집을 발간하였다.[1]
  • 기산도(1878~1928): 독립운동가이다.[1]

5. 집성촌


6. 과거 급제자

행주 기씨는 조선시대 문과 급제자 22명, 무과 급제자 22명, 생원시 합격자 29명, 진사시 합격자 27명을 배출하였다.[9]

6. 1. 문과

명단
기경현(奇慶鉉), 기관현(奇觀鉉), 기대승(奇大升), 기대항(奇大恒), 기령(奇苓), 기만헌(奇晩獻), 기문현(奇文鉉), 기수발(奇秀發), 기양연(奇陽衍), 기언관(奇彦觀), 기언정(奇彦鼎), 기윤헌(奇允獻), 기자헌(奇自獻), 기저(奇褚), 기준(奇遵), 기준격(奇俊格), 기진흥(奇震興), 기찬(奇襸), 기침(奇琛), 기학경(奇學敬), 기협(奇協), 기형(奇逈)[9]


6. 2. 무과

조선시대 무과 급제자[9]
기경복(奇景福)기경우(奇慶遇)기경헌(奇敬獻)기계건(奇戒建)기대경(奇大勍)
기대권(奇大權)기두환(奇斗煥)기명후(奇命垕)기붕(奇鵬)기상진(奇尙珍)
기성후(奇聖垕)기송일(奇松一)기시관(奇時冠)기윤호(奇允琥)기익헌(奇益獻)
기자홍(奇自弘)기전(奇恮)기정우(奇廷遇)기준(奇俊)기홍립(奇弘立)
기효열(奇孝說)기훈(奇薰)


6. 3. 생원시

행주 기씨는 조선시대 생원시 합격자 29명을 배출하였다.[9]

이름한자
기경례奇敬禮
기경인奇敬仁
기관연奇觀衍
기기진奇麒鎭
기대승奇大升
기동교奇東敎
기동순奇東純
기동준奇東準
기령奇苓
기만헌奇晩獻
기봉진奇鳳鎭
기상풍奇象豊
기윤섭奇允燮
기윤진奇允鎭
기율奇慄
기익진奇益鎭
기자헌奇自獻
기재규奇在奎
기재선奇在善
기저奇楮
기정진奇正鎭
기준奇遵
기진구奇震龜
기진량奇震良
기태검奇泰儉
기태온奇泰溫
기태원奇泰源
기형奇逈
기호진奇祜鎭


6. 4. 진사시

이름
기계상
기대승
기대항
기동팔
기란
기무곤
기세후
기수발
기양연
기우만
기윤헌
기인
기자헌
기재린
기저
기정만
기정현
기준
기준격
기진
기진연
기진탁
기진흥
기학경
기형
기황
기효증


7. 항렬자

25세26세27세28세29세30세31세32세33세34세35세36세37세38세
○연(衍)우○(宇)○도(度)노○(老)○서(舒)호○(浩)○간(幹)중○(重)○건(乾)병○(炳)○하(河)성○(成)○룡(龍)강○(康)

[6]

8. 조선 왕실과의 인척 관계

9. 인구

연도가구인구
1985년5,244가구21,756명
2000년6,660가구21,536명
2015년27,379명


참조

[1] 웹사이트 (138) 행주 기씨 https://www.joongang[...] JoongAng Ilbo 2023-03-20
[2] 논문 A Comparison of the Korean and Japanese Approaches to Foreign Family Names http://www.sciea.org[...] 2014
[3] 서적 Doosan Encyclopedia 기 奇 http://terms.naver.c[...] Doosan Encyclopedia
[4] 웹사이트 KOSIS https://kosis.kr/sta[...] 2022-11-16
[5] 웹사이트 유래 http://www.hjkee.com[...] 2022-09-05
[6] 웹사이트 행주기씨 항렬자(行列字) http://hjkee.com/m/m[...] 2024-03-13
[7] 웹사이트 기씨(奇氏) 본관(本貫) 행주(幸州)입니다. http://www.findroot.[...] 2022-07-26
[8] 문서 삼국사기 백제본기 온조왕 관련 행주 기록
[9] 인물 행주기씨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