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병덕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김병덕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다. 1847년 정시문과에 급제하여 대교를 시작으로 홍문관 부제학, 이조참판, 한성부판윤, 공조판서, 예조판서 등을 역임했다. 고종 즉위 후에도 요직을 두루 거치며, 병조판서, 평안도관찰사, 독판군국사무, 우의정, 좌의정을 지냈다. 효성이 지극하고 청렴결백한 명재상으로 칭송받았으며, 저서로 《속간고》가 있다. 평안감사 재임 시 유흥과 풍기를 단속하고 청렴함을 유지했으며, 재물욕이 없고 검소한 생활을 했다.
김병덕은 효성이 지극하여 아버지를 극진히 섬겼으며, 청렴결백한 명재상으로 칭송받았다.[2] 저서로는 《속간고(續諫考)》가 있다.[2]
김병덕은 안동 김씨 집권기에도 권력투쟁에 참여하지 않고 욕심 없이 의연하게 처신했으며, 사촌동생 김병시의 권력욕을 경계했다.[2] 그는 식사 때 고기와 생선을 함께 올리지 않았고, 버선 한 벌로 3~4개월을 신었는데, 때가 묻어 진한 회색으로 변하거나 작은 흠집이 생겨도 세탁하지 않고 그대로 기워 신었다.[2]
2. 생애
2. 1. 관직 생활
1847년(헌종 13년) 정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대교(待敎)가 되었다. 안동 김씨 세도 아래 홍문관부제학, 이조참의, 성균관대사성, 사헌부대사헌, 이조참판, 한성부판윤, 홍문관제학, 규장각제학, 공조판서, 예조판서, 형조판서, 판의금부사, 우참찬, 좌참찬 등 요직을 두루 지냈다.[1] 1863년(고종 즉위) 후에도 숙청되지 않고 1867년(고종 4년)에는 이조판서로 발탁되었으며, 이후 3차례나 이조판서를 지냈다.
1879년 병조판서[1], 1880년 통리기무아문당상(堂上)으로 있다가 평안도관찰사로 부임하였고, 이후 수원부유수 등의 여러 외직을 지낸 후 다시 중앙으로 복귀하여 독판군국사무(督辦軍國事務)를 지내고 의정부우의정으로 승진하였다. 1885년 의정부좌의정을 거쳐 관제 개편 뒤에는 총리군국사무가 되었으며, 1891년 관직에서 사퇴하였다.
그는 효성이 지극하여 아버지를 극진히 섬겼는데, 공적인 일로 바쁜 날을 제외하고는 매일 세 번 씩 아버지가 있는 친가에 가 문안을 드리고 살폈다. 심지어 재상의 지위에 올라 있을 때는 부모의 이부자리를 친히 펴고 개는 것은 물론, 물을 끼얹어 씻고 비로 쓰는 청소 일도 손수 했다.[2]
2. 2. 개인적인 삶과 효행
김병덕은 효성이 지극하여 아버지를 극진히 섬겼는데, 공적인 일로 바쁜 날을 제외하고는 매일 세 번씩 아버지가 있는 친가에 가 문안을 드리고 살폈다. 심지어 재상의 지위에 올라 있을 때도 부모의 이부자리를 친히 펴고 개는 것은 물론, 물을 끼얹어 씻고 비로 쓰는 청소 일도 손수 했다.[2]
청렴결백한 명재상으로 칭송받았다.
3. 사상과 신념
3. 1. 유흥, 풍기 단속
김병덕이 평안감사로 있을 때에도 청렴함은 조금도 변치 않아, 도내의 관리와 백성 모두 그의 맑은 다스림을 한입으로 칭송했다. 그러나 전국에서 명성이 자자하던 평양의 화류계는 대쪽같은 감사 때문에 그 빛을 잃어 가고 있었지만, 감히 어쩌지 못하고 절망의 장탄식만을 늘어놓았다.[3]
"우리 사또의 기상은 하늘에 있는 은하수와 같아서, 그저 바라볼 수 있을지언정 가깝게 친할 수는 없다!"[2]
3. 2. 청렴성
그는 고관으로 재직했음에도 재물욕이 없었다. 그는 안동 김씨가 집권하던 시기에도 각 파 간의 권력투쟁에는 조금도 끼어들지 않고 욕심 없이 의연하게 처신했으며, 사촌동생 김병시의 권력욕을 크게 우려하며 경계했다.[2]
그는 식사 때 고기와 생선을 함께 상에 올리지 않았고, 버선 한 벌로 반드시 3~4개월을 지냈는데, 버선의 흰색이 때가 묻어 진한 회색으로 변하거나 작은 흠집이 생겨도 세탁하지 않고 그대로 기워서 신었다.[2] 이러한 그를 두고 세상 사람들은 "맑은 물에는 고기가 새끼를 낳지 못한다"고 말했다.[4] 그는 대를 이을 자손이 없어 양자를 들여야 했다.[4]
3. 3. 양자론
그의 양자 김종규 역시 관직생활 내내 청렴한 관료였다. 김종규는 청빈한 명성을 잘 이어나갔으며, 세상 사람들은 "김종규와 윤용구 같이 가문의 명성을 지키며 수성할 만한 양자를 얻을 수만 있다면 굿을 하며 친아들 얻게 해 달라고 빌 필요가 어디 있겠는가?"라고 평했다.[4]
4. 저서
《속간고(續諫考)》
5. 가족 관계
관계 | 이름 |
---|---|
할아버지 | 김명순 |
아버지 | 김흥근 |
양자 | 김종규 |
양손자 | 김하진 |
참조
[1]
백과사전
김병덕
http://enc.daum.net/[...]
[2]
서적
대한제국아 망해라
다산초당
[3]
서적
대한제국아 망해라
다산초당
[4]
서적
대한제국아 망해라
다산초당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