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김흥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김흥근은 조선 후기의 문신으로, 1825년 알성문과에 급제하여 여러 관직을 거쳐 좌의정, 영의정에 이르렀다. 헌종 때 경상도관찰사를 지냈으나, 가문의 세도를 배경으로 방자한 행동으로 유배되기도 했다. 철종 즉위 후 다시 정계에 복귀하여 좌의정과 영의정을 역임했다. 흥선대원군이 그의 별장을 탐내어 별장을 헌납하게 되었으며, 철종의 병세가 위중했을 때 흥선군을 왕으로 추대하자는 제안을 했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묘소는 경기도 포천시에 있으며, 1986년 포천시 향토유적으로 지정되었다.

2. 생애

김흥근은 1825년(순조 25) 성균관 공자묘 앞에서 주관하는 알성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관직에 진출했다. 당상관으로 승진하여 여러 벼슬을 거쳤으며, 철종 때 영의정까지 역임했다.[1][2]

흥선군은 김흥근의 별장을 탐내어 대원군이 된 후 별장을 요구했다. 김흥근이 이를 거절하자, 흥선대원군은 아들 고종을 데리고 별장에서 하룻밤을 묵었다. 임금이 머문 곳을 사저로 쓸 수 없다는 사회 통념 때문에 김흥근은 별장을 헌납했고, 흥선대원군은 석파정이라 이름 붙인 이 별장을 자신의 것으로 만들었다.[1][2]

2. 1. 관직 생활

1825년(순조 25) 성균관 공자묘 앞에서 주관하는 과거 시험인 알성문과에 응시하여 병과로 급제하였다. 그 뒤 검열(檢閱)이 되고, 여러 벼슬을 거쳐 당상관으로 승진했다. 이후 이조참의, 검교대교를 지냈고 전라도관찰사를 거쳐 전교관이 되고, 이어 이조참판이 되었다. 이후 홍문관부제학을 거쳐서 평안도관찰사로 있다가 대사헌을 거쳐 한성부판윤이 되고, 공조판서, 형조판서, 예조판서, 호조판서, 병조판서를 여러번 지냈고 이후 다시 한성부판윤, 호조판서, 이조판서, 의정부좌참찬을 지냈다. 헌종 즉위 후 35년 예조판서를 거쳐 경상도관찰사로 부임하였다. 그러나 가문의 세도를 배경으로 방자한 행동을 여러번 하였다가, 양사의 탄핵을 받고 전라도 광양으로 유배되기도 하였다.

철종 즉위 후, 1851년 풀려났으며 다시 의정부좌의정이 되고, 1852년 영의정에 올랐다.[1][2]

그는 철종이 병석에서 사경을 헤매자, 차라리 흥선군을 왕으로 추대하자는 제안을 하기도 했다.[3] 그러나 그의 일가 친족들은 말도 안된다며 묵살해버렸다. 김좌근의 집에서 때로 구걸하기도 했던 흥선군을 어떤 의도로 추대했는지 목적은 불확실하다.

2. 2. 철종 시대와 흥선대원군과의 관계

철종 즉위 후, 1851년에 유배에서 풀려나 다시 의정부좌의정이 되었고, 1852년에는 영의정에 올랐다.[1][2]

흥선군은 김흥근의 별장을 탐냈고, 대원군이 된 후 별장을 내줄 것을 요청하였다. 그러나 김흥근이 이를 거절하자, 흥선대원군은 아들 고종을 데리고 그의 별장에서 하룻밤을 묵었다. 임금이 머문 곳을 사저로 쓸 수 없다는 사회 통념 때문에 김흥근은 별장을 흥선대원군에게 헌납하였다. 흥선대원군은 김흥근의 별장을 반강제로 압수한 뒤, 별장 이름을 석파정이라 바꾸고 자신의 별장으로 사용하였다.[1][2]

김흥근은 철종이 병석에서 사경을 헤매자, 차라리 흥선군을 왕으로 추대하자는 제안을 하기도 했다.[3] 그러나 그의 일가 친족들은 말도 안 된다며 묵살해버렸다. 김좌근의 집에서 때로 구걸하기도 했던 흥선군을 어떤 의도로 추대했는지 그 목적은 불확실하다.

2. 3. 고종 즉위 반대

김좌근과 김흥근은 철종이 병석에 눕자 만나서 비밀리에 숙의했다.[4] 김좌근과 김흥근은 "만일 흥선군이 대원군이라는 위치를 믿고 국정에 간섭해서 그 위세로 나라의 을 변경하면 이 일을 감히 누가 막을 자가 있겠소? 그리 되면 나라는 불안한 상황 속에서 종묘사직에 위험이 미칠 것이다."라는 결론을 내렸다.[4] 윤효정흥선대원군의 섭정을 놓고, 그들의 예상대로 됐다고 보았다.

윤효정은 이를 두고 김좌근과 김흥근 두 정승의 통찰력과 먼 훗날을 염려하는 마음이라 평했다.[5] 그러나 흥선대원군은 둘의 만남을 전해듣고 앙심을 품게 된다.

3. 묘소

김흥근의 묘소는 경기도 포천시 일동면 기산리 산46-9번지에 있다. 1986년 4월 9일 포천시 향토유적 제29호로 지정되었다.

4. 가족 관계

관계이름
5대조부김창집
고조부김제겸
증조부김달행(金達行)
할아버지김이경
아버지김명순
형님김응근
형님김홍근
아들김병덕
손자김조균(金祚均)
종조부김이기(金履基)
종조부김이중(金履中)
당숙김조순
재종형제김유근
재종형제김원근
재종형제김좌근


참조

[1] 서적 매천야록
[2] 서적 한양이야기 가람기획
[3] 서적 난세에 길을 찾다 시공출판사
[4] 서적 대한제국아 망해라 다산초당
[5] 서적 대한제국아 망해라 다산초당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