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김복만 (무술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김복만은 태권도 무술가로, 최홍희가 말레이시아 대사로 재직하던 1962년부터 1964년까지 우재림과 함께 15개의 창헌류 형(틀) 개발에 참여했다. 개발에 참여한 형(틀)은 천지, 단군, 도산, 원효, 율곡, 중근, 퇴계, 광개, 포은, 충장, 고당, 유신, 최영, 세종, 통일이며, 화랑, 의암, 세종, 충무, 계백 등 5개의 형 개발에도 부분적으로 기여했다. 김복만은 또한 무술 관련 서적을 여러 권 저술했는데, 대표적으로 『실전 태권도: 무기 기술』(1979), 『춘권도: 완전한 웰빙 예술』(2002), 『태권도: 무기 방어』(2012), 『태권도: 예술의 기원: 김복만의 역사적 사진 (1955-2015)』(2015)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남자 무술가 - 지한재
    합기도를 정립하고 신무합기도를 창시한 대한민국의 무술가 지한재는 최용술에게 합기도를, 도사 이에게 삼랑도 텍기를 전수받았으며 영화 출연과 청와대 경호 무술 지도 후 미국으로 이주하여 국제적인 활동을 하고 있다.
  • 대한민국의 남자 무술가 - 김윤상 (무술가)
    김윤상은 1960년대 초 합기도를 시작해 대한합기도협회 5단, 합기도 창시자 최용술 사사, 용술관 설립 및 관장, 합기유술 9단 수여, 해외 합기유술 전파, 최용술 기념사업 등의 활동을 한 대한민국의 무술가이다.
  • 20세기 한국 사람 - 백낙청
    백낙청은 대한민국의 영문학자이자 문학평론가, 사회운동가로서, 《창작과비평》 창간, D. H. 로런스 연구, 유신 정권 비판, 남북 화해와 통일 운동 참여, 민족 문학론과 분단 극복론 주창 등 비판적 지식인으로서 한국 사회에 큰 영향을 끼쳤다.
  • 20세기 한국 사람 - 주요한
    주요한은 일제강점기 시인이자 언론인이자 정치인이며, 친일 행위로 인해 논란이 있으며, 국회의원과 상공부 장관을 역임했다.
  • 2021년 사망 - 이완구
    이완구는 대한민국의 정치인으로, 국회의원과 충청남도지사를 지냈으며 국무총리를 역임했으나 성완종 리스트 사건 연루 의혹으로 사퇴 후 혈액암으로 사망했다.
  • 2021년 사망 - 김영주 (1920년)
    김영주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정치인으로 김일성의 동생이자 김정일의 삼촌이며, 한때 후계자로 여겨졌으나 김정일과의 권력 투쟁에서 밀려났고, 7·4 남북 공동 성명 당시 북측 대표, 국가부주석 등을 역임했다.
김복만 (무술가) - [인물]에 관한 문서
개인 정보
이름김복만
원어 이름김복만
한자 표기金福萬
로마자 표기Gim Bokman
출생일1934년 12월 3일
사망일2021년 8월 14일
사망 장소미국 뉴저지주 웨스트오렌지
국적대한민국
무도 정보
사용 무술태권도

2. 창헌류 형(틀) 개발

김복만은 최홍희 장군이 말레이시아 주재 한국 대사로 재직하던 1962년부터 1964년까지 우재림과 함께 초기 창헌류 틀 개발에 참여하여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6] 이 시기에 그는 15개의 틀 개발을 주도적으로 도왔으며, 이후 화랑, 의암, 세종, 충무, 계백 등 5개의 틀 개발에도 일부 기여하여 총 20개의 창헌류 틀 형성에 관여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6][7] 다만, 주체, 삼일, 연개, 을지, 문무, 서산 등 일부 창헌류 틀에는 전혀 관여하지 않았다.[7]

2. 1. 초기 개발 참여

최홍희 장군이 말레이시아 주재 한국 대사로 재직하던 1962년부터 1964년까지, 김복만은 우재림과 함께 창헌류 틀 개발에 참여했다.[6] 이때 김복만이 개발에 주도적으로 참여한 15개의 틀은 다음과 같다.[6]

틀 이름
천지
단군
도산
원효
율곡
중근
퇴계
광개
포은
충장
고당
유신
최영
세종
통일



또한, 김복만은 다음 5개의 틀 개발에도 일부 기여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7]


  • 화랑
  • 의암
  • 세종
  • 충무
  • 계백

2. 2. 추가 기여

김복만은 최홍희 장군 등과 함께 개발한 15개의 틀 외에도, 화랑, 의암, 세종, 충무, 계백 등 5개의 틀 개발에 일부 기여하였다.[7] 이로써 김복만이 개발에 참여한 틀은 총 20개가 되었다.[7]

2. 3. 개발에 관여하지 않은 형(틀)

김복만이 개발에 전혀 관여하거나 영향을 미치지 않은 창헌류 틀은 다음과 같다.[7]

형(틀) 이름
주체
삼일
연개
을지
문무
서산


3. 저서

김복만태권도를 비롯한 무술에 관한 여러 권의 책을 저술하여 무술 이론 정립과 보급에 기여했다.[10] 그의 주요 저서는 다음과 같다.

제목출판 연도비고
실전 태권도: 무기 기술1979
춘권도: 완전한 웰빙 예술2002ISBN 978-0-9717885-0-3
태권도: 무기 방어2012실전 태권도: 무기 기술 재발행본[8] (ISBN 978-1-59439-227-6)
태권도: 예술의 기원: 김복만의 역사적 사진 (1955-2015)2015ISBN 0-9962640-0-0[9]


3. 1. 실전 태권도: 무기 기술 (1979)

'실전 태권도: 무기 기술'은 태권도에서 무기를 활용하는 기술을 다룬 책으로, 1979년 선라이트 출판사에서 출간되었다.

이 책은 2012년 YMAA 출판 센터에서 '태권도: 무기 방어'라는 제목으로 레이아웃을 일부 변경하여 재발행되었다. 재발행된 책은 2012년 USA 북 뉴스에서 최고의 책상 후보로 선정되기도 했다.[8]

3. 2. 춘권도: 완전한 웰빙 예술 (2002)

''춘권도: 완전한 웰빙 예술''은 김복만이 저술하여 2002년 세계 춘권도 연맹에서 출판한 책이다. 이 책은 춘권도의 철학과 기술을 종합적으로 다루고 있다. (ISBN 978-0-9717885-0-3)

3. 3. 태권도: 무기 방어 (2012)

2012년에 출간된 ''태권도: 무기 방어''는 김복만이 1979년에 쓴 ''실전 태권도: 무기 기술''을 약간의 레이아웃 변경과 함께 재발행한 책이다. 이 책은 태권도의 무기 방어 기술을 다루고 있으며, 2012년 미국의 USA 북 뉴스에서 '최고의 책' 후보로 선정되었다.[8]

3. 4. 태권도: 예술의 기원: 김복만의 역사적 사진 (1955-2015) (2015)

'''태권도: 예술의 기원: 김복만의 역사적 사진 (1955-2015)'''는 2015년에 무술 출판, LLC에서 출간된 책이다. 이 책은 2015년 6월 USA 북 뉴스에서 최고의 책상 후보로 선정되었으며, 2016년 5월 국제 도서상 최종 후보에 올랐다.[9][10]

참조

[1] 뉴스 Kyunghyang Shinmun 1970-08-17
[2] 서적 Taekwon-Do and I (Volume 2) ITF
[3] 웹사이트 Who is Kim Bok-man http://chunkuhndo.co[...] World Chun Kuhn Taekwondo Federation 2013-12-07
[4] 서적 From Creation to Unification: The Complete Histories Behind the Ch'ang Hon (ITF) Patterns Check Point Press
[5] 뉴스 Grandmaster BOK MAN KIM (1934–2021) Passes Away https://taekwondotim[...] TaeKwonDo Times 2022-02-19
[6] 서적 From Creation to Unification: The Histories Behind the Ch'ang Hon Patterns Check Point Press
[7] 문서 Unpublished interview with Mike Swope 2014-11-21
[8] 웹사이트 2012 Best Book Awards http://www.usabookne[...] USA Book News 2013-09-19
[9] 웹사이트 Congratulations to all of the Winners & Finalists of the 2015 USA Best Book Awards http://www.usabookne[...] USA Book News 2016-01-18
[10] 웹사이트 2016 International Book Awards Sponsored by Bookvana - Complete Listing http://www.internati[...] 2016-08-03
[11] 서적 Taekwon-Do and I (Volume 2) ITF
[12] 웹인용 Who is Kim Bok-man http://chunkuhndo.co[...] World Chun Kuhn Taekwondo Federation 2013-12-07
[13] 서적 From Creation to Unification: The Complete Histories Behind the Ch'ang Hon (ITF) Patterns https://archive.org/[...] Check Point Press
[14] 뉴스 Grandmaster BOK MAN KIM (1934–2021) Passes Away https://taekwondotim[...] TaeKwonDo Times 2022-02-1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