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백낙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백낙청은 대한민국의 문학 평론가이자 사회 운동가이다. 그는 평안남도 정주 출생으로, 미국 유학 후 서울대학교 영문학과 강사를 역임했으며, 계간지 『창작과비평』을 창간하여 편집인으로 활동했다. 박정희 정권 비판으로 해직되었으나 복직 후 활발한 언론 활동을 이어갔으며, 김대중, 노무현 정부에서 신임을 얻어 6·15 남북 공동선언 실천 남측위원회 위원장을 역임하는 등 남북 통일 운동에 기여했다. 또한, 1987년 삼신상, 1993년 대산문학상 등을 수상했으며, 2018년 남북 정상회담 특별 수행원으로 문재인 대통령 방북에 동행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옥조근정훈장 수훈자 - 강경숙
    강경숙은 이화여자대학교에서 특수교육학 학사, 영어영문학 석사, 특수교육학 박사 학위를 취득하고 원광대학교 특수교육학과 교수를 지냈으며, 2024년 제2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조국혁신당 비례대표로 당선되어 국회에 입성하여 초선 의원 및 조국혁신당 원내부대표, 그리고 제22대 국회 전반기 교육위원회 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는 대한민국 정치인이다.
  • 옥조근정훈장 수훈자 - 윤덕용 (재료공학자)
    윤덕용은 한국과학기술원 재료공학과 신설 및 발전에 기여하고 제7대 한국과학기술원 총장을 역임한 대한민국의 재료공학자로서, KAIST 총장 재임 동안 교육 및 연구 환경 개선, 한국과학영재학교 개교에 기여했으며, 금속 재료 및 신소재 개발, 고온 초전도체 연구 등 다양한 분야에서 업적을 남겨 대한민국 최고과학기술인상을 수상했다.
  • 대한민국의 통일운동가 - 태영호
    태영호는 1962년 평양 출생으로 북한 외교관 출신이며, 2016년 영국 주재 북한 대사관 공사로 있다가 대한민국으로 망명하여 국회의원과 국민의힘 최고위원을 거쳐 현재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사무처장으로 활동한다.
  • 대한민국의 통일운동가 - 백기완
    백기완은 대한민국의 통일운동가, 사회운동가, 정치인으로, 한일협정 반대 운동 참여를 시작으로 유신 헌법 개정 청원운동 등으로 옥고를 치렀으며 대통령 선거에 출마하기도 했고, 통일문제연구소 소장, 노나메기재단 이사장을 지냈으며 '임을 위한 행진곡' 가사 원작자이자 독특한 화법과 열정적인 연설로 알려졌다.
  • 요산김정한문학상 수상자 - 성석제
    성석제는 해학과 풍자를 통해 인간과 사회의 부조리를 그려내는 대한민국의 소설가이자 시인으로, 유머와 비애를 조화시키는 능력이 뛰어나다는 평가를 받으며 다양한 문학상을 수상했다.
  • 요산김정한문학상 수상자 - 송기숙
    송기숙은 일제강점기 전라남도 장흥 출신의 소설가이자 평론가, 교육자이며, 긴급조치 위반 등으로 구금되었고 전남대학교 교수를 역임했으며, 주요 작품으로 《자랏골의 비가》 등이 있고, 1973년 현대문학상 등을 수상했으며, 2021년 숙환으로 별세했다.
백낙청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백낙청 작가
백낙청 작가
이름백낙청
로마자 표기Baek Nak Cheong
한글 표기백낙청
한자 표기白樂晴
가타카나 표기ペク・ナクチョン
출생일1938년 1월 10일
출생지일제강점기 조선 경상북도 대구부
국적대한민국
기타
웹사이트백낙청, 민족문학론의 이론가이자 실천가

2. 생애

평안남도 정주군의 친가와 달리, 외가가 있는 대구에서 태어나 성장하였다. 백낙청의 아버지 '''백붕제'''는 일제 시대에 경북 군수와 관료를 지낸 친일파로서 친일인명사전에 등재되었고 6.25 때 납북되었다.[2] 1955년 경기고등학교 졸업 후 미국 유학을 떠나 브라운 대학교에서 유럽 문학을 전공하고 졸업 후 귀국했다. 서울대학교 영문학과 강사를 역임하는 한편, 1966년 계간지 『창작과비평』을 창간했다.[2] 동지의 편집인으로서 남북 분단과 군사 정권에 대한 비판적 언론 활동을 펼쳤으며, 그 활동으로 인해 여러 차례 당국의 탄압을 받았다.[2] 이후 다시 미국으로 건너가 1972년 하버드 대학교에서 “D.H. 로렌스 연구”로 문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2] 로렌스 외에도 T.S. 엘리엇에 대한 연구 저서도 있다.

귀국 직후인 1974년 박정희 정권 비판으로 인해 서울대학교에서 해직되었으나, 박정희 암살 이후인 1980년에 복직했다.[2] 2003년 서울대학교 정년퇴임 후에도 여러 곳에서 활발한 언론 활동을 계속했으며, 국내에서 여러 언론 및 출판 관련 상을 수상했다.

김대중, 노무현 두 대통령으로부터 두터운 신임을 받았으며, 2005년에는 “6·15 남북 공동선언 실천 남측위원회” 위원장 등을 역임하는 등 남북 통일과 관련된 전면적인 활동을 보였다.[2] 이명박 정권과 박근혜 정권 시대에는 다시 정권 비판의 선봉에 서서 활동했다.

2018년 9월 18일부터 20일까지 평양에서 열린 남북 정상회담 당시 특별 수행원으로 문재인 대통령의 방북에 동행했다.[2]

3. 학문 및 사상

4. 비판

4. 1. 가족 관련

4. 2. 정치 편향성

5. 저서

제목
서양의 개벽사상가 D.H.로런스
D. H. 로런스의 현대 문명관


  • 韓国民衆文学論일본어 (안우식/安宇植한국어 역, 三一書房일본어, 1982년)
  • 民族文化運動の状況と論理일본어 (「韓国現代社会叢書」일본어, 타키자와 히데키/滝沢秀樹일본어 역, 御茶の水書房일본어, 1985년)
  • 知恵の時代のために일본어 (이순애/李順愛한국어 역, オリジン出版センター일본어, 1991년)
  • 白楽晴評論選集2일본어 (이순애/李順愛한국어 역, 同時代社일본어, 1993년)
  • 白楽晴評論選集1일본어 (이순애/李順愛한국어 역, 同時代社일본어, 1992년)
  • 「ドイツと朝鮮における国家統一論の差異:ハーバーマスのソウル講演に応えて」일본어 (신창건/申昌建한국어 역, 『批評空間일본어』II-17:pp.25-34, 批評空間社일본어, 1998년 4월)
  • 朝鮮半島統一論일본어 (이순애/李順愛한국어 역, 図書出版クレイン일본어, 2001년)
  • 朝鮮半島の平和と統一일본어 (아오야기 준이치/青柳純一일본어 역, 岩波書店일본어, 2008년)

5. 1. 한국어 저서

wikitable

제목
서양의 개벽사상가 D.H.로런스
D. H. 로런스의 현대 문명관


5. 2. 일본어 번역 저서


  • 韓国民衆文学論일본어 (안우식/安宇植한국어 역, 三一書房일본어, 1982년)
  • 民族文化運動の状況と論理일본어 (「韓国現代社会叢書」일본어, 타키자와 히데키/滝沢秀樹일본어 역, 御茶の水書房일본어, 1985년)
  • 知恵の時代のために일본어 (이순애/李順愛한국어 역, オリジン出版センター일본어, 1991년)
  • 白楽晴評論選集2일본어 (이순애/李順愛한국어 역, 同時代社일본어, 1993년)
  • 白楽晴評論選集1일본어 (이순애/李順愛한국어 역, 同時代社일본어, 1992년)
  • 「ドイツと朝鮮における国家統一論の差異:ハーバーマスのソウル講演に応えて」일본어 (신창건/申昌建한국어 역, 『批評空間일본어』II-17:pp.25-34, 批評空間社일본어, 1998년 4월)
  • 朝鮮半島統一論일본어 (이순애/李順愛한국어 역, 図書出版クレイン일본어, 2001년)
  • 朝鮮半島の平和と統一일본어 (아오야기 준이치/青柳純一일본어 역, 岩波書店일본어, 2008년)

6. 대담

백낙청은 최원식, 우가이 사토시, 헤이가야 유키토와 함께 '한국의 비평공간'을 주제로 공동토론을 진행했다. 이 토론은 1998년 4월 '비평공간' II-17호 6-24쪽에 게재되었다.

7. 수상 내역


  • 1987년: 제2회 삼신상을 수상하였다.
  • 1993년: 제1회 대산문학상을 수상하였다.
  • 1997년: 제14회 요산문학상을 수상하였다.
  • 1998년: 은관문화훈장을 수훈하였다.
  • 2001년: 제5회 만해상 실천상을 수상하였다.
  • 2003년: 옥조근정훈장을 수훈하였다.
  • 2006년: 제11회 늦봄통일상을 수상하였다.
  • 2009년: 제14회 한겨례통일문화상, 제3회 후광 김대중 학술상을 수상하였다.

8. 가족 관계

백붕제와 최귀란 사이에서 태어났다. 큰어머니는 순흥안씨 안병탁의 딸 안숙온이며, 이복형은 인제대학교 초대 총장을 지낸 백낙환이다. 누나는 백순영이며, 동생들로는 백낙돈, 인제대 석좌교수 백낙서, 단국대 교수이자 피아니스트인 백미영이 있다. 백낙서의 부인 김윤희는 김치열의 딸이다. 부인은 한지현이다.

참조

[1] 웹사이트 백낙청, 민족문학론의 이론가이자 실천가 {{!}} 예스24 채널예스 https://ch.yes24.com[...] 2024-06-06
[2] 뉴스 문대통령“소박한 7분 연설” 최고의 정점에 달했다 http://japan.hani.co[...] 2019-02-21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