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복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김복신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정치인이다. 1950년 국가계획위원회 지도원으로 공직을 시작하여, 당 중앙위원회 과장, 경공업성 부상, 정무원 부총리 등을 역임했다. 당 중앙위원회 위원, 정치국 후보위원 등을 지냈으며, 김일성 및 오진우 국가장의위원회 위원을 맡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평안북도 출신 - 양세봉
일제강점기 독립운동가 양세봉은 만주에서 항일 무장투쟁을 이끌며 대한통의부, 참의부, 정의부, 조선혁명군 등에서 활약한 독립군 지휘관으로서, 한중 연합군을 편성하여 융링제 전투 등에서 승리했으나 일본군 밀정의 계략으로 암살당했고 남북한 모두에서 높이 평가받고 있다. - 평안북도 출신 - 김계관
김계관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외무성의 고위 외교관으로 평양국제관계대학을 졸업하고 외교관 생활을 시작하여 6자회담 북한 수석대표 등을 역임하며 북핵 문제 해결을 위한 협상에 참여, 외무성 부상 및 제1부상 등을 거치며 북한 외교 정책의 핵심 인물로 활동했다. - 김일성종합대학 동문 - 김정일
김정일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제2대 최고지도자로, 김일성 사망 후 권력을 승계하여 조선로동당 총비서 및 국방위원회 위원장으로 통치하며 3대 세습, 핵무기 개발, 남북 정상회담 등의 사건과 경제난, 인권 탄압 등의 문제를 겪은 인물이다. - 김일성종합대학 동문 - 강성산
강성산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정치인으로, 두 차례에 걸쳐 내각 총리를 역임하며 합영법 제정 등 경제 개혁을 추진하였으나 김정일 시대에 실각한 후 사망하여 애국렬사릉에 안장되었다. - 20세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사람 - 박헌영
박헌영은 일제강점기 사회주의 운동가이자 독립운동가, 정치인으로, 조선공산당 창당에 참여하고 해방 후 조선공산당 재건에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했으나, 한국 전쟁 이후 김일성 정권에 의해 처형되어 그의 생애와 활동은 논란과 재평가의 대상이 되고 있다. - 20세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사람 - 김여정
김여정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정치인으로, 김정일과 고용희 사이에서 태어나 김정은의 여동생이며, 조선로동당 핵심 실세로 부상하여 남북 및 북미 정상회담 등 주요 외교 행사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대외적으로 강경한 어조의 담화를 발표하며 대남·대미 압박을 주도하기도 한다.
김복신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김복신 |
국적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출생일 | 1925년 |
출생지 | 일제강점기 조선 평안북도 |
학력 | 김일성종합대학 중앙당학교 |
정치 경력 | |
기타 정보 |
2. 경력
김복신은 1950년대부터 1970년대 초까지 국가계획위원회, 당 중앙위, 경공업성 등에서 활동했다. 1980년대 이후에는 정무원 부총리, 당 중앙위원회 위원, 당 정치국 후보위원 등을 역임하며 고위직을 맡았다. 김일성과 오진우 국가장의위원회 위원으로도 활동했다.[10]
2. 1. 초기 경력 (1950년대 ~ 1970년대 초)
연도 | 직책 |
---|---|
1950년 | 국가계획위원회 지도원, 국장 |
1958년 | 당 중앙위 과장, 길주팔프공장 지배인, 경공업성 부상 |
1959년 | 당 중앙위 부부장, 함경북도 인민위원회 지방산업관리국 국장 |
1960년 | 당 중앙위 경공업부 부부장 |
1961년 | 경공업위원회 부위원장 |
1966년 | 평양시 지방산업총국 부총국장 |
1971년 | 방직공업성 부상, 방직공업상 |
1972년 | 북 · 이라크 친선협회 위원장 겸 피복가공기술협회 위원장, 경공업위원회 방직 및 피복공업총국 총국장 |
1974년 | 조선민주여성동맹 중앙위원회 비서 |
2. 2. 정무원 및 당 고위직 (1980년대 ~ 1990년대)
1980년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위원이 되었다.[10] 1981년 정무원 부총리 겸 경공업위원회 위원장에 임명되었다.[10] 1982년 정무원 부총리 겸 경공업위원장, 당 중앙위 위원을 계속 역임했다.[10]1983년 당 정치국 후보위원이 되었고,[10] 1984년 정무원 부총리 겸 대외경제위원회 위원을 맡았다.[10] 1985년 정무원 부총리 겸 무역위원회 위원장이 되었다.[10]
1986년 조선국제합영총회사 이사장을 맡았으며,[10] 1988년 다시 정무원 부총리 겸 경공업위원회 위원장으로 임명되었다.[10]
1994년 김일성 국가장의위원회 위원을,[10] 1995년 오진우 국가장의위원회 위원을 맡았다.[10] 1998년 부총리 겸 경공업위원회 위원장을 역임했다.[10]
참조
[1]
웹사이트
Korea North Ministers
https://www.guide2wo[...]
[2]
웹사이트
Korea North Ministers
https://www.guide2wo[...]
[3]
웹사이트
Korea North Ministers
https://www.guide2wo[...]
[4]
서적
The Statesman's Year-Book 1995-96
https://books.google[...]
Palgrave Macmillan UK
2016-12-29
[5]
서적
Women and Revolution in Africa, Asia, and the New World
https://books.google[...]
Univ of South Carolina Press
[6]
웹사이트
COUNCIL for PARITY DEMOCRACY
http://webzoom.freew[...]
2018-06-03
[7]
웹사이트
Korea North Ministers
https://www.guide2wo[...]
[8]
웹사이트
Korea North Ministers
https://www.guide2wo[...]
[9]
웹인용
Korea North Ministers
https://www.guide2wo[...]
[10]
뉴스
김복신
https://m.terms.nave[...]
조선향토대백과 인물정보관 : 국가기구
2010-12-3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