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김성준 (권투 선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김성준은 대한민국의 권투 선수로, 1971년 프로 데뷔했다. 소매치기 혐의로 검거된 후 권투를 시작했으며, 1975년 한국 라이트 플라이급 챔피언, 1978년 동양 태평양 복싱 연맹(OPBF) 라이트 플라이급 챔피언, 같은 해 WBC 라이트 플라이급 세계 챔피언에 올랐다. 3차 방어까지 성공했으나, 1980년 4차 방어전에서 패배 후 플라이급 타이틀에 도전했으나 실패했다. 1982년 은퇴 후 펀치 드렁크 증세와 경제적 어려움을 겪다 1989년 자살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89년 자살 - 애비 호프먼
    애비 호프먼은 청년국제당 창립 멤버이자 시카고 7인 재판의 피고인으로, 1960년대 반문화 운동의 상징적 인물이며, 연극적인 시위와 사회 비판적 활동을 통해 사회 변혁을 추구한 미국의 사회운동가, 반전 운동가, 작가이다.
  • 1989년 자살 - 샤밀 세리코프
  • 라이트플라이급 권투 세계 챔피언 - 구시켄 요코
    구시켄 요코는 일본 오키나와현 출신의 전 프로 복싱 선수로, WBA 라이트플라이급 챔피언을 13차 방어하며 일본 복싱 역사에 큰 족적을 남겼고, 은퇴 후에는 해설자 및 탤런트로 활동하며 2014년 국제 복싱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
  • 라이트플라이급 권투 세계 챔피언 - 최요삼
    최요삼은 대한민국의 프로 권투 선수로, WBC 라이트플라이급 세계 챔피언에 올라 3차 방어에 성공하는 등 화려한 경력을 쌓았으나, WBO 인터콘티넨탈 플라이급 챔피언 1차 방어전 직후 뇌출혈로 사망 후 체육훈장 백마장 추서와 장기 기증으로 기려지고 리쌍의 추모곡 '챔피언'으로도 기억되는 인물이다.
  • WBC 챔피언 - 무하마드 알리
    무하마드 알리는 미국의 전직 프로 권투 선수이자 사회 운동가로, 올림픽 금메달리스트 출신이며 세계 헤비급 챔피언에 세 번 등극하여 역사상 가장 위대한 권투 선수 중 한 명으로 인정받았고, 징병 거부와 복귀를 통해 인종차별 저항과 평화주의를 상징하며 문화, 스포츠, 정치에 큰 영향을 미친 세계적인 아이콘이다.
  • WBC 챔피언 - 박찬희 (권투 선수)
    1976년 올림픽 국가대표이자 WBC 플라이급 세계 챔피언이었던 박찬희는 5차 방어에 성공한 후 1982년 은퇴한 대한민국의 권투 선수이다.
김성준 (권투 선수)
기본 정보
본명김성준
출생일1953년 6월 3일
출생지부산광역시
사망일1989년 2월 3일
사망지서울특별시
국적대한민국
링네임(없음)
체급라이트플라이급
플라이급
신장159cm
스탠스오소독스
전적
총 경기 수48
28
KO승13
14
무승부6
무효 경기0

2. 선수 경력

1971년 12월 28일 프로 데뷔하였다. 부산 출신으로, 통산 전적은 48전 28승(13KO) 14패 6무이다. 소매치기를 하다가 서울지방검찰청 검사 김진세에게 검거된 후 권투 선수가 되었으며, 김진세 검사가 김성준의 후원회장을 맡기도 했다.

1978년 1월, 동양 태평양 권투 연맹(OPBF) 라이트 플라이급 타이틀을 획득했다. 같은 해 9월 30일 세계 권투 평의회(WBC) 챔피언에 올랐으며, 3차 방어까지 성공했다.

1980년 5월 9일, 훗날 국제 복싱 연맹(IBF) 세계 슈퍼밴텀급 챔피언 이승훈과 대결하여 10회 판정패했다.

2. 1. 프로 데뷔 및 국내 타이틀 획득 (1971-1977)

1971년 12월 28일, 대한민국에서 프로 권투 선수로 데뷔했다.

1975년 8월 31일, 프로 데뷔 11전 만에 한국 라이트 플라이급 챔피언 결정전에서 승리하여 챔피언이 되었다. 챔피언 방어전을 2차까지 치른 후 타이틀을 반납했다. 1977년 1월 22일, 한국 라이트 플라이급 챔피언에 다시 올라 1차 방어에 성공했다.[1]

2. 2. OPBF 동양 챔피언 (1978)

1978년 1월 26일, 25전 만에 OPBF 동양 라이트 플라이급 챔피언 정상일에게 도전하여 12회 판정승으로 타이틀을 획득했다. 1978년 3월 25일, 첫 방어전에서 천룡수전과 대결하여 3회 KO승으로 첫 방어에 성공했다. 1978년 7월 9일, 2차 방어전에서 정상일과 재대결하여 12회 판정패로 왕좌에서 물러났다.

2. 3. WBC 세계 챔피언 (1978-1980)

1978년 9월 30일, 김성준은 30전 만에 세계 챔피언에 도전하여 WBC 세계 라이트 플라이급 챔피언 네토르노이 소 보라싱에게 3회 KO승을 거두고 세계 챔피언 타이틀을 획득했다.[1]

1979년에는 세 차례 방어전을 치러 챔피언 자리를 지켰다.

1980년 1월 3일, 4차 방어전에서 나카지마 시게오와 대결했으나, 15회 판정패하며 챔피언 자리에서 물러났다.[2]

2. 4. 타이틀 도전과 은퇴 (1980-1982)

1980년 1월, 김성준은 나카지마 시게오에게 WBC 라이트 플라이급 타이틀 4차 방어전에서 패했다.[2] 1980년 7월에는 WBC 플라이급 타이틀을 놓고 오구마 쇼지에게 도전했으나 판정으로 패했다. 이후 미겔 칸토와 라파엘 오로노에게 패하고, 1982년 7월 11일 경기를 마지막으로 은퇴했다.

3. 은퇴 이후

김성준은 은퇴 후 만성 외상성 뇌병증(펀치 드렁크)과 경제적인 어려움에 시달렸다.[1][2] 1989년 2월 3일 서울의 한 건물에서 투신 자살했다.[1][2] 당시 그의 나이는 35세였다.[2]

4. 소매치기 전력과 김진세 검사와의 인연

경남 부산시(현 부산광역시) 출신으로, 소매치기를 하다가 서울지방검찰청 김진세 검사에게 검거된 후 권투 선수가 되었다.[1] 김진세 검사는 김성준의 후원회장을 맡기도 했다.[1]

5. 프로 전적

통산 전적 48전 28승(13KO) 14패 6무이다.[1]

No.결과기록상대타입라운드, 시간날짜장소비고
4828–14–6배석철UD10 (10)1982-07-11align=left|align=left|
4728–13–6나가시마 기요시KO9 (10)1981-12-06align=left|align=left|
4627–13–6양홍수PTS10 (10)1981-06-27align=left|align=left|
4527–12–6엑토르 멜렌데스PTS10 (10)1981-05-13align=left|align=left|
4427–11–6라파엘 오로노PTS10 (10)1981-04-06align=left|align=left|
4327–10–6미겔 칸토PTS10 (10)1981-02-22align=left|align=left|
4227–9–6베미 다요단KO1 (10)1981-01-11align=left|align=left|
4126–9–6아넬 아로잘UD10 (10)1980-09-26align=left|align=left|
4025–9–6오구마 쇼지SD15 (15)1980-07-28align=left|align=left|
3925–8–6양홍수TD6 (10)1980-06-20align=left|align=left|
3825–8–5이승훈PTS10 (10)1980-05-09align=left|align=left|
3725–7–5나카지마 시게오UD15 (15)1980-01-03align=left|align=left|
3625–6–5엑토르 멜렌데스UD15 (15)1979-10-21align=left|align=left|
3524–6–5시오니 카루포SD15 (15)1979-07-28align=left|align=left|
3423–6–5다카다 지로PTS10 (10)1979-06-03align=left|align=left|
3322–6–5엑토르 멜렌데스SD15 (15)1979-03-31align=left|align=left|
3222–6–4피터 시스콘KO4 (10)1979-02-24align=left|align=left|
3121–6–4릭 바림바드PTS10 (10)1978-11-30align=left|align=left|
3020–6–4넷르노이 소르 보라싱KO3 (15)1978-09-30align=left|align=left|
2919–6–4정상일PTS12 (12)1978-07-09align=left|align=left|
2819–5–4에디 카라잘KO10 (10)1978-06-15align=left|align=left|
2718–5–4프랑코 토레고자PTS10 (10)1978-05-06align=left|align=left|
2618–5–3덴류 가즈노리KO3 (12)1978-03-25align=left|align=left|
2517–5–3정상일PTS12 (12)1978-01-29align=left|align=left|
2416–5–3하경주KO5 (10)1977-12-28align=left|align=left|
2315–5–3데메트리오 알페레즈KO7 (10)1977-11-04align=left|align=left|
2214–5–3이와모토 류지PTS10 (10)1977-08-10align=left|align=left|
2113–5–3김용현PTS10 (10)1977-07-15align=left|align=left|
2013–5–2덴류 가즈노리PTS10 (10)1977-04-19align=left|align=left|
1913–4–2김막동PTS10 (10)1977-03-27align=left|align=left|
1812–4–2오구마 쇼지PTS10 (10)1977-02-15align=left|align=left|
1712–3–2리틀 박PTS10 (10)1977-01-22align=left|align=left|
1611–3–2수리야 파툼와디KO5 (10)1976-11-27align=left|align=left|
1510–3–2이기형TKO4 (10)1976-09-01align=left|align=left|
149–3–2김영환PTS8 (8)1976-06-24align=left|align=left|
139–3–1리틀 박PTS10 (10)1976-01-25align=left|align=left|
128–3–1이기형PTS10 (10)1975-11-23align=left|align=left|
117–3–1문명안PTS10 (10)1975-08-31align=left|align=left|
106–3–1이한수KO3 (8)1975-07-23align=left|align=left|
95–3–1리틀 박PTS10 (10)1975-06-07align=left|align=left|
85–2–1이춘우PTS8 (8)1975-04-19align=left|align=left|
74–2–1이용근KO2 (8)1975-03-30align=left|align=left|
63–2–1이윤운PTS4 (4)1974-12-28align=left|align=left|
52–2–1김시호KO5 (6)1974-09-04align=left|align=left|
41–2–1서학수PTS4 (4)1974-06-07align=left|align=left|
31–1–1이윤운PTS4 (4)1974-06-06align=left|align=left|
20–1–1임인수PTS4 (4)1972-02-05align=left|align=left|
10–1임인수PTS4 (4)1971-12-28align=left|align=left|


6. 타이틀


  • 제3대 OPBF 동양태평양 라이트플라이급 왕좌 (1차 방어)
  • WBC 세계 라이트플라이급 왕좌 (3차 방어)

참조

[1] 웹사이트 A day like today, Sun Jun Kim conquered the WBC Light flyweight title https://wbcboxing.co[...] World Boxing Council 2022-09-30
[2] 웹사이트 JAPAN'S NAKAJIMA TAKES WBC JUNIOR FLYWEIGHT TITLE FROM SOUTH KOREA'S KIM https://www.britishp[...] Pathé News 2024-03-23
[3] 서적 日本プロボクシング史 世界タイトルマッチで見る50年 ベースボール・マガジン社 20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