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신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김신재는 일제강점기, 한국 전쟁 이후, 그리고 노년기에 걸쳐 활동한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평안북도 녕변군 또는 의주군 출신으로, 만주에서 학교를 다닌 후 영화 배우가 되었다. 1937년 영화 《심청》에 단역으로 출연하며 데뷔했으며, 이후 남편 최인규 감독의 영화에 주로 출연하며 인기를 얻었다. 일제강점기 말 친일 영화에 출연하여 논란이 되었으며, 한국 전쟁 중 남편이 납북된 후 부산에서 피난 생활을 하며 배우 활동을 이어갔다. 1980년 《뻐꾸기도 밤에 우는가》로 대종상 여우조연상을 수상했으며, 1983년 미국으로 이주하여 거주하다가 1998년에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평안북도 출신 - 양세봉
일제강점기 독립운동가 양세봉은 만주에서 항일 무장투쟁을 이끌며 대한통의부, 참의부, 정의부, 조선혁명군 등에서 활약한 독립군 지휘관으로서, 한중 연합군을 편성하여 융링제 전투 등에서 승리했으나 일본군 밀정의 계략으로 암살당했고 남북한 모두에서 높이 평가받고 있다. - 평안북도 출신 - 김계관
김계관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외무성의 고위 외교관으로 평양국제관계대학을 졸업하고 외교관 생활을 시작하여 6자회담 북한 수석대표 등을 역임하며 북핵 문제 해결을 위한 협상에 참여, 외무성 부상 및 제1부상 등을 거치며 북한 외교 정책의 핵심 인물로 활동했다. - 일제강점기의 영화 배우 - 문예봉
문예봉은 일제강점기와 북한에서 활동한 배우로, 영화 《임자 없는 나룻배》로 데뷔하여 《춘향전》에서 춘향 역을 맡아 스타덤에 올랐으며, 월북 후 북한에서 공훈배우로 활동하다 사망했다. - 일제강점기의 영화 배우 - 나운규
나운규는 일제강점기 영화감독이자 배우, 각본가로, 영화 《아리랑》을 통해 조선인의 저항 의식을 고취하며 한국 영화사에 큰 획을 그었으나, 민족주의적 영화 제작 중 조선총독부의 탄압과 건강 악화로 요절한 독립운동가이다. - 대한민국의 영화 배우 - 김종수 (배우)
김종수는 1984년 극단 고래에 입단하여 연극 배우로 활동을 시작, 영화 《밀양》으로 스크린에 데뷔하여 다수의 영화에서 인상적인 연기를 선보였으며, 2023년 영화 《밀수》로 여러 영화제에서 남우조연상을 수상했다. - 대한민국의 영화 배우 - 정종철
정종철은 2000년 KBS 공채 개그맨으로 데뷔하여 《개그콘서트》 '옥동자' 캐릭터와 '갈갈이 삼형제', '마빡이' 등의 코너를 통해 큰 인기를 얻으며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고 사회 공헌에도 참여한 대한민국의 희극인이다.
김신재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김신재 |
본명 | 김신재 |
출생일 | 1919년 3월 31일 |
출생지 | 일제 강점기 평안북도 |
사망일 | 1998년 3월 31일 |
사망지 | 미국 버지니아주 |
배우자 | 최인규 |
관련 정보 | |
직업 | 배우 |
2. 생애
평안북도 녕변군[2] 또는 의주군 출신[3] 으로, 일찍 만주로 이주하여 단둥의 안동현고등여학교에서 수학했다. 신의주 신연극장에서 사무원으로 일하다가 극장 영사기사로 일하던 최인규와 만나 결혼했다.
결혼 후 남편 최인규의 권유로 1937년 《심청》에 단역으로 출연하면서 영화 배우가 되었다. 최인규가 감독으로 데뷔한 뒤로는 남편의 영화에 주로 출연했으며, 만년소녀로 불릴 만큼 청순한 용모로 많은 인기를 끌었다. 한국 최초의 여성 감독인 박남옥이 학생 시절 김신재에 대한 동경을 계기로 영화계에 입문하게 되었다는 일화가 유명하다.[4]
일제강점기 말기에 최인규가 만든 《태양의 아이들(太陽の子供達일본어)》, 《사랑의 맹서(愛の誓일본어)》, 《신풍의 아들들(神風の子供達일본어)》 등 노골적인 친일 영화에 주연으로 출연하여, 2008년 민족문제연구소의 친일인명사전 수록예정자 명단 연극/영화 부문에 최인규와 함께 포함되었다.
일제 강점기에 맡은 역할은 주로 연약한 여성이었다. 《집 없는 천사》(1941)에서 맡은, 동생을 데리고 거리를 떠돌며 꽃을 파는 불쌍한 고아 소녀 역할이 대표적이다. 김신재는 "코스모스와도 같이 가련청초"한 인상이 시대적 분위기와 잘 맞아떨어져, 빠른 시일 동안 문예봉이나 김소영과 버금가는 조선 최고의 여자 배우 위치에 올랐다. 이 시기의 강압적인 전시 분위기 속에서 문맹에 가깝고 일본어를 전혀 구사하지 못하던 문예봉에 비해 유리한 점도 있었다.
한국 전쟁 때 최인규가 납북된 후 김신재는 부산 피난 생활 중 생활고로 어려운 생활을 하면서 1남 1녀를 혼자 키웠다. 부산에서는 수선화라는 다방을 열어 영화인들이 모이는 장소가 되기도 했다.
한국 전쟁 중 한 집에 살게 된 친할머니와 외할머니의 갈등을 통해 이데올로기 대립의 비극을 우화적으로 그린 윤흥길 원작의 영화 《장마》(1979)에서 황정순과 함께 할머니 역할을 맡는 등 1980년대까지 노역으로 많은 영화에 출연하며 활동했다. 총 출연작이 수백편에 이르며, 마지막 작품은 문여송이 연출한 《잡초들의 봄》(1989)이다.
정진우 감독의 《뻐꾸기도 밤에 우는가》(1980)로 대종상 여우조연상을 수상하기도 했다.[5] 중년에도 젊었을 때의 가녀린 이미지의 연장 선상에서 자애롭고 고운 어머니 역할을 맡았다. 따라서 역작으로 평가되는 《장마》에서의 억척 할머니 연기는 예외적인 경우에 속한다.
1983년 딸과 함께 미국으로 이주해 거주하다가, 1998년 생일에 79세의 나이로 버지니아주에서 사망했다.
2. 1. 영화 배우 데뷔와 인기
김신재는 평안북도 녕변군[2] 또는 의주군 출신[3] 으로, 일찍 만주로 이주하여 단둥의 안동현고등여학교에서 수학했다. 신의주 신연극장에서 사무원으로 일하다가 극장 영사기사로 일하던 최인규와 만나 결혼했다.결혼 후 남편 최인규의 권유로 1937년 《심청》에 단역으로 출연하면서 영화 배우가 되었다. 최인규가 감독으로 데뷔한 뒤로는 남편의 영화에 주로 출연했으며, 만년소녀로 불릴 만큼 청순한 용모로 많은 인기를 끌었다. 한국 최초의 여성 감독인 박남옥이 학생 시절 김신재에 대한 동경을 계기로 영화계에 입문하게 되었다는 일화가 유명하다.[4]
일제강점기 말기에 최인규가 만든 《태양의 아이들(太陽の子供達일본어)》, 《사랑의 맹서(愛の誓일본어)》, 《신풍의 아들들(神風の子供達일본어)》 등 노골적인 친일 영화에 주연으로 출연하여, 2008년 민족문제연구소의 친일인명사전 수록예정자 명단 연극/영화 부문에 최인규와 함께 포함되었다.
일제 강점기에 맡은 역할은 주로 연약한 여성이었다. 《집 없는 천사》(1941)에서 맡은, 동생을 데리고 거리를 떠돌며 꽃을 파는 불쌍한 고아 소녀 역할이 대표적이다. 김신재는 "코스모스와도 같이 가련청초"한 인상이 시대적 분위기와 잘 맞아떨어져, 빠른 시일 동안 문예봉이나 김소영과 버금가는 조선 최고의 여자 배우 위치에 올랐다. 이 시기의 강압적인 전시 분위기 속에서 문맹에 가깝고 일본어를 전혀 구사하지 못하던 문예봉에 비해 유리한 점도 있었다.
2. 2. 친일 영화 출연 논란
김신재는 일제 강점기 말기에 최인규가 제작한 《태양의 아이들》, 《사랑의 맹서》, 《신풍의 아들들》 등 친일 영화에 주연으로 출연했다. 이로 인해 2008년 민족문제연구소의 친일인명사전 수록예정자 명단 연극/영화 부문에 최인규와 함께 포함되었다. 일제 강점기에 김신재는 주로 연약한 여성 역할을 맡았으며, 《집 없는 천사》(1941)에서 동생을 데리고 거리를 떠돌며 꽃을 파는 불쌍한 고아 소녀 역할이 대표적이다. 김신재는 "코스모스와도 같이 가련청초"한 인상으로 문예봉, 김소영과 버금가는 조선 최고의 여자 배우로 평가받았다.2. 3. 한국 전쟁 이후의 삶
김신재는 한국 전쟁 때 남편 최인규가 납북된 후, 부산에서 피난 생활을 하며 1남 1녀를 홀로 키웠다.[3] 어려운 생활 속에서도 '수선화'라는 다방을 열어 영화인들의 만남의 장소를 제공하기도 했다.전쟁 이후에도 김신재는 영화계에서 꾸준히 활동했다. 윤흥길 원작의 영화 《장마》(1979)에서 황정순과 함께 할머니 역할을 맡아 이데올로기 대립의 비극을 그려냈으며,[5] 1980년대까지 노역으로 많은 영화에 출연했다. 총 출연작은 수백 편에 달하며, 마지막 작품은 문여송 감독의 《잡초들의 봄》(1989)이다.
정진우 감독의 《뻐꾸기도 밤에 우는가》(1980)로 대종상 여우조연상을 수상했다.[5] 중년에도 젊은 시절의 가녀린 이미지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은, 자애롭고 고운 어머니 역할을 주로 맡았다. 《장마》에서의 억척스러운 할머니 연기는 이례적인 경우였다.
1983년 딸과 함께 미국으로 이주하여 버지니아주에서 거주하다가, 1998년 생일에 79세를 일기로 사망했다.
2. 4. 노년기의 활동과 사망
김신재는 1983년 딸과 함께 미국으로 이주해 거주하다가, 1998년 생일에 79세의 나이로 버지니아주에서 사망했다.[2][3] 한국 전쟁 중 한 집에 살게 된 친할머니와 외할머니의 갈등을 통해 이데올로기 대립의 비극을 우화적으로 그린 윤흥길 원작의 영화 《장마》(1979)에서 황정순과 함께 할머니 역할을 맡는 등 1980년대까지 노역으로 많은 영화에 출연하며 활동했다. 총 출연작이 수백 편에 이르며, 마지막 작품은 문여송이 연출한 《잡초들의 봄》(1989)이다.[4] 정진우 감독의 《뻐꾸기도 밤에 우는가》(1980)로 대종상 여우조연상을 수상하기도 했다.[5] 중년에도 젊었을 때의 가녀린 이미지의 연장 선상에서 자애롭고 고운 어머니 역할을 맡았다. 《장마》에서의 억척 할머니 연기는 예외적인 경우에 속한다.참조
[1]
뉴스
[부음] 원로 여배우 김신재씨
동아일보
1998-04-01
[2]
웹인용
김신재 [金信哉]
http://100.empas.com[...]
한국민족문화대백과
2007-11-06
[3]
웹인용
김신재
http://movie.daum.ne[...]
DAUM 영화
2008-06-23
[4]
뉴스
특집/여성감독 1호 박남옥 - 이 여인을 아시나요
http://www.hani.co.k[...]
씨네21
1997-03-25
[5]
웹인용
뻐꾸기도 밤에 우는가
https://web.archive.[...]
씨네21
2008-06-2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