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우진 (1897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김우진은 1897년 전라남도 장성에서 태어난 극작가로, 1924년 와세다 대학교 영문과를 졸업했다. 1920년대 극예술협회와 동우회순회연극단을 주도하며 표현주의 문예이론을 소개했다. 그는 윤심덕과 불륜 관계를 맺고 1926년 쓰시마 해협에서 함께 자살했으며, 그의 문학적 업적은 사후에 알려졌다. 김우진과 윤심덕의 이야기는 영화, 드라마, 소설 등으로 제작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한국의 자살한 사람 - 윤심덕
윤심덕은 일제강점기 한국 최초의 소프라노 가수이자 배우로, 극작가 김우진과의 비극적인 동반 자살과 함께 발매된 '사의 찬미'로 유명하며, 그녀의 삶은 다양한 예술 작품의 소재가 되었다. - 한국의 자살한 사람 - 호동
호동은 고구려 대무신왕의 아들로, 낙랑공주와의 혼인, 자명고 파괴, 왕위 계승 다툼을 겪고 자살했으며, 다양한 예술 작품의 소재가 되었다. - 익사 자살한 사람 - 이호성 (1967년)
이호성은 해태 타이거즈의 4번 타자로 한국시리즈 4회 우승에 기여하고 골든글러브를 2회 수상한 야구 선수였으나, 은퇴 후 사기 혐의로 구속되고 내연녀와 세 딸을 살해한 혐의로 수배 중 자살한 살인범이다. - 익사 자살한 사람 - 윤심덕
윤심덕은 일제강점기 한국 최초의 소프라노 가수이자 배우로, 극작가 김우진과의 비극적인 동반 자살과 함께 발매된 '사의 찬미'로 유명하며, 그녀의 삶은 다양한 예술 작품의 소재가 되었다. - 일제강점기의 연극인 - 현철 (1891년)
현철은 일제강점기에 연극, 영화, 야담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며 연극 관련 저술과 번역 활동을 하고 조선배우학교를 설립하여 배우를 양성하는 등 한국 연극계 발전에 기여했으며, 광복 후 서울시 문화위원회 연극분과위원장을 지냈다. - 일제강점기의 연극인 - 김춘광
김춘광은 일제강점기 및 광복 직후에 활동한 연극배우, 변사, 극작가, 연출가로서, 신파극단 예원좌와 청춘극장을 이끌며 《검사와 여선생》, 《3·1 운동과 김상옥 사건》, 《안중근 사기》 등 70여 편의 창작극 및 번안극을 집필하여 당대 사회상을 반영하고 민족의식을 고취하는 작품으로 대중적 인기를 얻었다.
김우진 (1897년)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김우진 |
출생명 | 김우진 |
출생일 | 1897년 9월 19일 |
출생지 | 전라남도 장성군 |
사망일 | 1926년 8월 4일 |
사망지 | 대한해협 |
국적 | 조선 |
직업 | 극작가 시인 연극이론가 |
필명 | 초성(焦星) 수산(水山) |
학력 | |
교육 | 구마모토 농업학교 와세다대학교 |
활동 정보 | |
활동 기간 | 1924년 - 1926년 |
가족 | |
배우자 | 정점효(鄭點孝) |
부모 | 父 김성규(金星圭) |
자녀 | 김방한(金芳漢) |
주요 작품 | |
주요 작품 | 《정오(正午)》 《이영녀(李永女)》 《산돼지》 |
2. 생애와 경력
김우진은 전라도의 대지주 집안에서 태어나 와세다대학교에서 영문학을 전공했다. 1920년대에는 '극예술협회'와 '동우회순회연극단'을 주도했고, 서양의 표현주의 문예이론을 번역하여 소개했다.[1]
일본 유학 중 소프라노 윤심덕을 만나 불륜 관계를 맺었다. 1926년 8월 4일 새벽 4시경, 윤심덕과 함께 쓰시마 해협에서 관부연락선 ‘덕수마루’에 투신하여 29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두 연인의 자살 소식은 한국에서 큰 반향을 불러일으켰다.[1]
김우진의 문학적 업적은 1970년대 후반에 이르러서야 알려졌고 1983년에 출판되었다. 그의 방대한 서구 문학 지식과 서구 철학에 대한 놀라운 통찰력이 주목받았다.[2][3]
2. 1. 유년 시절과 교육
김우진은 1897년 9월 19일 대한제국 전라남도 장성에서 무안군 감리였던 김성규(父)와 순천 박씨(母) 사이에서 장남으로 태어났다. 김우진은 당시 조선 왕조의 전라도에서 거대한 토지 소유주 집안 출신이었다.[1]목포공립보통학교(현 목포북교초등학교)를 졸업하고 일본으로 건너가 구마모토 농업학교(현 구마모토현립 구마모토농업고등학교)를 거쳐 1924년 와세다대학교 영문과를 졸업했다. 그는 와세다 대학교에서 영문학을 전공하면서 연극 분야의 경력을 쌓기 위해 도쿄로 갔다. 김우진은 고향에 아내와 자녀가 있었다.[1]
2. 2. 연극 활동과 윤심덕과의 만남
김우진은 와세다대학교에서 영문학을 전공하면서 연극 분야에 관심을 가지게 되어 도쿄로 갔다. 김우진은 고향에 아내와 자녀가 있었다.[1]일본에서 김우진은 소프라노 윤심덕과 만나 사랑에 빠졌고, 두 사람은 불륜 관계를 맺었다. 김우진은 1920년대에 ‘극예술협회’와 ‘동우회순회연극단’을 주도했으며, 서양의 표현주의 문예이론을 번역하여 소개했다.
2. 3. 죽음
김우진은 윤심덕과 1926년 시모노세키발 부산행 관부연락선 덕수마루에서 대한해협에 투신하여 29세의 나이로 사망했다.[1] 이들의 자살 소식은 한국에서 큰 반향을 불러일으켰다.3. 사후
김우진과 윤심덕의 이야기는 여러 예술 작품으로 재탄생되었다. 1991년 김호선 감독이 연출하고 장미희가 주연을 맡은 영화 《사의 찬미》가 개봉되었다.[4] 이 영화는 대한민국에서 최우수 작품상을 포함한 수많은 상을 받았으며, 1991년 청룡영화상과 춘사영화예술상에서 수상하였다. 2018년에는 《사의 찬미》라는 제목의 미니 텔레비전 시리즈도 제작되었다.[5] 한소진이 쓴 《사의 찬미》(In Praise of Death)라는 제목의 책도 이 이야기를 바탕으로 하고 있다.[6]
4. 유산
김우진과 윤심덕의 이야기는 영화, 드라마, 책으로 만들어졌다. 1991년 김호선 감독, 장미희 주연의 영화 《사의 찬미》가 개봉되어 대한민국에서 최우수 작품상 등 여러 상을 받았다.[4] 2018년에는 드라마 《사의 찬미》가 제작되었고,[5] 한소진의 책 《사의 찬미》도 이들의 이야기를 다룬다.[6]
4. 1. 영화
김우진과 윤심덕의 이야기는 영화로도 제작되었다. 1991년에 김호선 감독이 연출하고 장미희가 주연을 맡은 사의 찬미가 개봉되었다.[4] 이 영화는 대한민국에서 최우수 작품상을 포함한 수많은 상을 받았으며, 1991년 청룡영화상과 춘사영화예술상에서 수상하였다. 2018년에는 《사의 찬미》라는 제목의 미니 텔레비전 시리즈도 제작되었다.[5] 한소진이 쓴 《사의 찬미》(In Praise of Death)라는 제목의 책도 이 이야기를 바탕으로 하고 있다.[6]4. 2. 드라마
김우진과 윤심덕의 이야기는 영화로 제작되었다. 1991년에 개봉된 사의 찬미는 김호선 감독이 연출하고 장미희가 주연을 맡았다.[4] 이 영화는 대한민국에서 최우수 작품상을 포함한 수많은 상을 수상했으며, 1991년 청룡영화상과 춘사영화예술상에서 수상하였다. 2018년에는 사의 찬미라는 제목의 미니 텔레비전 시리즈도 제작되었다.[5]4. 3. 도서
한소진이 쓴 《사의 찬미》라는 제목의 책도 이 이야기를 바탕으로 하고 있다.[6]5. 주요 작품
- 〈정오(正午)〉
- 〈이영녀(李永女)〉
- 〈산돼지〉
참조
[1]
웹사이트
Artistic couple's death leap spawns imitators
https://koreajoongan[...]
2023-06-22
[2]
웹사이트
Kim U-jin
https://www.oxfordre[...]
2023-06-22
[3]
논문
KIM U-JIN - THE PRECURSOR OF THE KOREAN EXPRESSIONISM (Kim U-jin - prekursor ekspresjonizmu koreanskiego)
http://cejsh.icm.edu[...]
2008
[4]
웹사이트
KMDb - 한국영화데이터베이스
https://www.kmdb.or.[...]
2023-06-22
[5]
웹사이트
Lee Jong-suk, Shin Hye-sun to appear in 'Hymn of Death'
http://kpopherald.ko[...]
2023-06-22
[6]
웹사이트
'In Praise of Death' won't come to life for modern readers
https://www.koreaher[...]
2023-06-22
[7]
웹사이트
현해탄의 정사(情死),『슬픈 운명』김우진
http://www.muannews.[...]
2022-08-20
[8]
웹사이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http://encykorea.ak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