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우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김우항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다. 1649년에 태어나 1669년 사마시에 합격하고, 1681년 식년문과에 급제하여 관직 생활을 시작했다. 이후 여러 관직을 거치며 경상도관찰사, 전라도관찰사 등을 역임했고, 호조판서, 우의정을 지냈다. 1722년 신임사화 때 김일경의 사친추존론을 반대하다가 화를 입었으며, 평생 청빈하게 살았다. 저서로 『갑봉집』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649년 출생 - 마리 안 망시니
마리 안 망시니는 마자랭 추기경의 조카로서 프랑스 궁정에서 살롱을 운영하며 문인들을 후원하고 프랑스 문화 발전에 기여했으며, 남편 독살 혐의로 재판을 받았으나 루이 14세의 관대한 처분으로 사회에 복귀한 후 이탈리아 로마에서 사망한 17세기 프랑스의 문화 후원자이다. - 1649년 출생 - 교황 베네딕토 13세
교황 베네딕토 13세는 1724년부터 1730년까지 재위했으며, 얀센파에 강경한 태도를 보이고 스페인 계단을 완공했으나, 교황청 재정 악화와 얀센주의와의 갈등을 겪었으며 현재 시복 절차가 진행 중이다. - 1723년 사망 - 인크리스 매더
인크리스 매더는 17세기 후반부터 18세기 초반 매사추세츠에서 활동한 청교도 목사이자 하버드 대학교 총장으로, 보스턴 제2 교회 목사로 봉직하며 세일럼 마녀 재판과 관련된 논쟁적인 역할과 매사추세츠 헌장 폐지에 맞서는 정치 활동을 펼쳤고, 종교적, 정치적 견해를 담은 다수의 저서를 남겼다. - 1723년 사망 - 크리스토퍼 렌
크리스토퍼 렌은 17세기 영국의 저명한 과학자이자 건축가로, 왕립 학회에서 활동하며 다양한 과학 분야를 연구했고 런던 대화재 이후 세인트 폴 대성당을 포함한 많은 건축물을 설계하여 영국 건축에 큰 영향을 미쳤다. - 소론 - 윤증
윤증은 조선 중기 문신이자 소론의 영수로 우의정까지 역임한 정치가였으며, 성리학적·정치적 갈등으로 스승 송시열과 결별하고 탕평책을 지지했으나 당쟁 속에서 뜻을 이루지 못했으며, 실천적 삶을 강조한 무실학을 추구하며 조선 후기 정치와 사상에 큰 영향을 미쳤다. - 소론 - 성혼
성혼은 조광조의 제자이자 이이와 도의를 맺고 이황을 사사한 조선 중기 문신으로, 사림파 서인에 속하여 정여립의 난과 임진왜란 시기에 활동했으며, 이황의 이기이원론을 지지하고 후학 양성에 힘썼다.
김우항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직책 | 조선의 우의정 |
임기 | 1713년 7월 6일 ~ 1716년 1월 9일 |
임금 | 조선 속종 |
인물 정보 | |
이름 | 김우항 |
한자 이름 | 金宇杭 |
자 | 제중(濟仲) |
호 | 갑봉(甲峰)·좌은(坐隱) |
시호 | 충정(忠靖) |
출생일 | 1649년 6월 13일 |
출생지 | 조선 경기도 장단군 사동 |
사망일 | 1723년 |
국적 | 조선 |
가족 관계 | |
배우자 | 광산 김씨 |
자녀 | 1남 5녀 |
부모 | 아버지 김홍경, 어머니 안동 김씨 |
학력 및 분야 | |
분야 | 성리학 |
2. 생애
김우항은 1649년(인조 27) 6월 13일에 태어나 1722년(경종 2) 신임사화로 사망하기까지 조선 숙종~경종 대의 문신이자 정치인으로 활동했다. 안동 김씨 가문 출신으로, 아버지는 김홍경, 외조부는 김광혁이다.
1681년 식년문과에 급제한 후 여러 관직을 거쳤다. 1689년 기사환국으로 잠시 어려움을 겪었으나, 1694년 갑술옥사 이후 다시 기용되어 경상도관찰사, 전라도관찰사 등을 역임하며 백성을 위한 정치를 펼쳐 칭송받았다.
이후 개성유수, 대사헌, 한성부판윤, 이조판서 등 요직을 두루 거쳤으며, 1710년에는 호조판서로서 북한산성 축성과 행궁 축조 책임을 맡았다. 1712년에는 소론으로서 당파를 두둔하지 않고 사건을 공정하게 처리하여 소론에게 배척받기도 했다.
1713년 우의정에 올랐으며, 1721년 영중추부사가 되었으나, 1722년 신임사화 때 김일경의 사친추존론을 반대하다 화를 입었다. 저서로는 『갑봉집(甲峰集)』이 있다.
2. 1. 초기 생애
1649년(인조) 6월 13일 영의정에 추증된 김홍경(金洪慶)과 안동 김씨의 둘째 아들로 태어났다. 할아버지는 좌찬성에 추증된 김덕승(金德承)이며, 외조부는 동부승지를 지낸 김광혁이다.1669년(현종 10) 사마시에 합격했고, 1675년(숙종 1) 송시열이 자의대비 복상문제로 유배되자 유생들과 더불어 이의 부당함을 상소하였다.
2. 2. 관직 생활
1681년 식년문과(式年文科)에 을과(乙科)로 급제하여 승문원 정자(承文院正字)가 되었다. 전적, 지평을 거쳐 1686년 정언이 되어 궁가(宮家)에서 저수지를 만든다는 구실로 민전(民田)을 침해하고 있음을 상소하였다. 그 뒤 예조좌랑, 병조좌랑을 역임하고, 1689년 홍문록(弘文錄), 도당록(都堂錄)에 올랐다. 그해 기사환국으로 남인(南人)이 집권하자 사직하였는데, 일찍이 송시열과 함께 유배된 이상(李翔)을 변호했던 일로 철산(鐵山)에 유배되었다가 곧 풀려났다. 1694년 갑술옥사로 소론(少論)이 집권하자, 부수찬, 수찬, 부교리, 교리, 필선, 집의 등으로 다시 기용되었다. 이듬해 경상도관찰사가 되고, 1696년 회양부사, 1697년 전라도관찰사 등을 역임하며 진정(賑政)을 잘하여 칭송을 받았다.1698년 승지를 거쳐 1699년 대사간, 1702년 개성유수가 되었다. 이듬해 승문원제조, 이조참판을 지내고 1704년 대사헌, 대사성 등을 역임하고, 1706년에는 예조참판을 거쳐 경기도관찰사가 되었다. 1707년 한성부판윤이 된 뒤 형조, 병조, 이조판서를 거쳐, 1710년 호조판서가 되어 북한구관당상(北漢句管堂上)을 겸하며 산성의 축성과 행궁 축조의 책임을 맡았다. 1712년 과옥(科獄)이 일어나자 소론으로서 자기 당여(黨與)를 두둔하지 않고 엄정하게 사실을 규명하여 소론으로부터 배척을 받기도 하였다.
이듬해 우참찬(右參贊), 예조판서(禮曹判書), 판의금부사(判義禁府事)를 거쳐 우의정(右議政)이 되었으며, 1716년 내의도제조(內醫都提調), 판중추부사(判中樞府事)를 역임하고, 1721년(경종 1) 영중추부사(領中樞府事)가 되었다.
2. 3. 신임사화와 죽음
1722년 신임사화 때 김일경의 사친추존론(私親追尊論)을 반대하다가 화를 입었다. 그는 평생을 청빈하게 살았으며, 사람들로부터 장자(長子) 또는 완인(完人)이라 불렸다.3. 평가
신임사화 때 김일경의 사친추존론(私親追尊論)을 반대하다가 화를 입었으나, 평생을 청빈하게 살아 사람들로부터 장자(長子) 또는 완인(完人)이라 불렸다.
4. 저서
5. 가족 관계
관계 | 이름 | 출생-사망 | 비고 |
---|---|---|---|
증조부 | 김진선(金盡善) | ||
증조모 | 여흥 민씨(驪興閔氏) | 민철명(閔哲命)의 딸 | |
조부 | 김덕승(金德承) | 1595 ~ 1658 | |
조모 | 파평 윤씨(坡平尹氏) | 윤정(尹珵)의 딸 | |
아버지 | 김홍경(金洪慶) | 1621 ~ 1691 | |
어머니 | 신 안동 김씨(安東金氏) | 김광혁(金光爀)의 딸 | |
형 | 김우량(金宇梁) | ||
이복 동생 | 김우환(金宇桓) | ||
처 | 광산 김씨(光山金氏) | 김세정(金世禎)의 딸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