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유 (14세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김유는 14세기 고려 시대의 무신으로, 홍건적 격퇴, 흥왕사 난 평정 등 공을 세웠다. 원나라 사신으로 갔을 때 덕흥군 추대에 반대하고, 목호의 난을 진압했다. 우왕 때 왜구 방어에 힘썼으며, 명나라에 사신으로 다녀오다 귀양을 가기도 했다. 정몽주로부터 칭찬을 받았으나, 우왕 폐위 사건과 관련되어 순천부 유배 도중 사망했다.
김유는 사람됨이 정직하고 충량(忠良)하여 국가의 동량지재(棟梁之材)라는 정몽주(鄭夢周)의 격찬을 받았다.[5] 위화도 회군(1388년) 이후 이성계 일파가 우왕과 창왕을 신돈의 핏줄로 몰아 폐위하고 공양왕을 옹립한 뒤, 김유는 우왕이 왕씨가 아님을 '사실대로' 말했다가 처형된 희생자로 언급되었다.[5][6]
공민왕 11년(1362년) 8월에 강릉도병마사가 되었다.[7] 공민왕 12년(1363년) 2월 이전에 상호군[2], 공민왕 13년(1364년) 10월 17일에 밀직부사[8], 공민왕 14년(1365년) 9월 15일에 동지밀직[9]을 역임하였다. 공민왕 15년(1366년) 10월 이전에 전라도도순문사[10], 공민왕 22년(1373년) 6월 이전에 계림윤, 공민왕 22년 12월 이전에 서해도순문사를 역임하였다. 공민왕 23년(1374년) 3월 29일에 서북면조선사[11], 공민왕 23년(1374년) 7월 26일에 삼도조전원수 겸 서해교주도순문사[12]를 역임하였다.
[1]
서적
고려사 권제114 열전제27, 27, 제신 김유
고려사
2. 생애
2. 1. 공민왕 시절
1362년 강릉도병마사(江陵道兵馬使)가 되어 홍건적을 격파하고 수도를 수복한 공으로 1363년 2등공신에 올랐다.[1][2] 1363년 흥왕사(興王寺)의 난을 평정한 공으로 일등공신이 되었다.[1][3]
원나라에 사신으로 갔을 때, 반공민왕파가 충선왕의 서자 덕흥군(德興君)을 고려국왕으로 추대하려 하였으나 절개를 지켜 이에 따르지 않았다. 귀국 후 밀직부사(密直副使)에 오르고, 추성익조공신호(推誠翊祚功臣號)를 받았다.
1365년 원나라에 덕흥군을 송환해 줄 것을 청하려고 하였으나, 원제(元帝)가 이미 본국으로 송환하라는 명령을 내렸다는 소식을 듣고 돌아와서 동지밀직사사(同知密直司事)가 되었다. 1366년 전라도도순문사(全羅道都巡問使)로서 군대를 모아 반란을 일으킨 제주의 목호(牧胡)를 토벌하였다.(목호의 난)
1373년(공민왕 22) 성절사(聖節使)로서 명나라에 다녀왔다. 이 해 서해도도순문사(西海道都巡問使)로서 손수경(孫守卿) 등과 반란음모에 관련되었다고 하는 충혜왕의 얼자(孽子) 석기(釋器)를 체포하였다.
2. 2. 우왕 시절
1374년 왜구의 침입이 심해지자 서북면조선사(西北面造船使)로 임명되었고, 삼도조전원수 겸 서해교주도도순문사(三道助戰元帥兼西海交州道都巡問使)가 되어 다시 반란을 일으킨 제주를 평정하였다. 우왕 때에는 판개성부사(判開城府事)에 제수되고 김해군(金海君)에 봉해졌다. 1379년(우왕 5) 왜구가 연안부(延安府)에 침입하자, 나세와 함께 전함을 이끌고 용강현(龍岡縣) 목곶포(木串浦)에서 적선 2척을 격파하였다.[4]
이 해 장씨(張氏: 우왕의 유모)의 옥사가 일어났을 때, 최영과의 알력으로 합포에 장류(杖流)되었다가 곧 석방되었다. 1381년 문하평리로 하정사(賀正使)가 되어 명나라로 떠났으나 요동에서 되돌아왔다. 그 뒤 문하찬성사로 승진, 1382년 세공물(歲貢物)을 가지고 다시 명나라로 출발했으나 역시 요동에서 막혀 가지 못하였다.
1383년 성절사로 갈 때는 해로를 이용했으나 길이 험해 기일에 도착하지 못하였다. 이로 인해 명나라 황제의 명으로 대리(大理)에 귀양갔다가 1385년 석방되어 돌아왔다. 그러나 이인임의 미움을 받아 청주로 유배되었다가 곧 풀려났다. 1386년(우왕 12) 가산을 몰수당하고 다시 순천부(順天府)로 유배 도중 경천역(敬天驛)에서 죽었다.
3. 평가
4. 역임 관직
참조
[2]
서적
고려사 권제40 세가제40 공민왕 3, 공민왕 12년(1363년) 윤3월 15일 을유
고려사
1363-03-15
[3]
서적
고려사 권제40 세가제40 공민왕3, 공민왕 12년(1363년) 3월 15일
고려사
1363-03-15
[4]
서적
고려사 권제114 열전제27 제신 나세;고려사절요 권31 신우2
고려사, 고려사절요
[5]
서적
고려사 권제45 세가45 공양왕 원년(1389년) 12월 29일 계해
고려사
1389-12-29
[6]
서적
고려사 권제45 세가45, 공양왕 2년(1390년) 4월 1일 갑오;태조실록 총서
고려사, 태조실록
1390-04-01
[7]
서적
고려사 권제40 세가제40 공민왕3, 공민왕 11년(1362년) 8월 경술
고려사
1362-08-00 #날짜 정보 부족으로 일자만 표기
[8]
서적
고려사 권제41 세가제41 공민왕4, 공민왕 14년(1365년) 3월 22일 경진조
고려사
1365-03-22
[9]
서적
고려사 권제41 세가제41 공민왕4, 공민왕 14년(1365년) 9월 15일;고려사절요 권제28 공민왕3, 공민왕 14년(1365년) 9월
고려사, 고려사절요
1365-09-15
[10]
서적
고려사 권제41 세가41 공민왕4, 공민왕 15년(1366년) 10월 병진(8일)
고려사
1366-10-08
[11]
서적
고려사 권제44 세가 44 공민왕7, 공민왕 23년(1374년) 3월 29일
고려사
1374-03-29
[12]
서적
고려사 권제44 세가44 공민왕7, 공민왕 23년(1374년) 7월 26일 기축
고려사
1374-07-2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