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김재현 (철도 기관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김재현은 1923년 충청남도 논산 출생으로 일제강점기에 철도국에 입사한 기관사였다. 6.25 전쟁 중 대전기관차사무소에서 근무하며, 미 제24보병사단의 '보급품 후송 작전'에 참여하여 1950년 7월 20일 순직했다. 김재현은 대전 전투에서 보급품을 실은 화차를 후송하려 했으나 북한군의 공격으로 실패하고, 복귀하던 중 사망했다. 그의 유해는 국립서울현충원에 안장되었으며, 2012년 미국 국방부로부터 훈장을 수훈했다. 김재현에 대한 정보는 딘 소장 구출 작전으로 알려졌으나, 실제는 보급품 후송 작전이었으며, 기관차 모델 번호, 순직일 등 여러 정보에 오류가 있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국가유공자 - 권순영 (정치인)
    육군 중위 출신으로 사회복지 분야에서 활동하다 한나라당에 입당하여 고양시의회 의원, 충북대학교병원 상임감사, 국민의힘 고양시 갑 당협위원장을 지냈으며, 미래한국당 비례대표 후보로 제21대 국회의원 선거에 출마했으나 낙선한 정치인이다.
  • 1950년 사망 - 김영랑
    김영랑은 일제강점기부터 해방 후까지 활동한 시인으로, '모란이 피기까지는'과 같은 서정시와 민족주의적 저항 의식을 담은 시를 동시에 선보였으며, 1935년에 시집 『영랑시집』을 발간했다.
  • 1950년 사망 - 정지용
    정지용은 충청북도 옥천 출생으로 모더니즘 문학을 선도했으며, 시문학 동인과 구인회 활동을 거쳐 이화여자대학교 교수 등을 역임했으나 한국 전쟁 중 행방불명되었다.
김재현 (철도 기관사)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2. 생애

1923년 9월 21일 충청남도 논산시에서 태어나 1944년 일제강점기 철도국에 입사하였다. 대전기관차사무소 기관사로 근무하던 중 1950년 6.25 전쟁이 발발하자 대전 전투에서 미 제24보병사단 사단장 윌리엄 F. 딘 소장의 명령에 따라 보급품 후송 작전에 참여했다가 1950년 7월 20일 순직하였다.[1]

김재현의 유해는 동료들에 의해 영동산 아래에 묻혔다가 휴전 후 고향 논산으로 이장되었고, 1983년 철도인으로는 처음으로 국립서울현충원 영관급 묘역에 안장되었다. 아들 김제원은 철도청 공작창 기계과 주임으로, 외손자 박계홍은 서울교통공사에서 근무하는 등 가족들이 철도 관련 직업에 종사했다.[1]

2. 1. 6.25 전쟁 참전과 대전 전투

1950년 6.25 전쟁이 발발하자, 김재현 기관사는 대전 전투에서 미 제24보병사단 사단장 윌리엄 F. 딘 소장의 명령에 따라 '보급품 후송 작전'에 참여하였다. 미 제24보병사단은 오산 전투부터 시작해 시간을 벌기 위해 지연전을 펼치고 있었다.[1]

미 제8군 사령관 월튼 워커 중장은 미 제1기병사단의 포항 상륙 후 영동 전개에 시간이 필요하다고 판단, 딘 소장은 철수 시점을 7월 20일 야간으로 연장하고 대전 방어에 집중하였다. 7월 19일, 북한 공군의 대전 후방 보급로 공습과 함께 대전 전투가 시작되었고, 미 제24보병사단은 7월 20일까지 대전을 사수하며 지연 임무를 완수했다. 대전역 내 보급품, 특히 탄약 적재 화차의 후방 이송이 중요해졌고, 딘 소장은 7월 20일 16시경 보급품 적재 화차 10량의 후송 명령을 하달하였다.[1]

김재현 기관사는 미카 3형 증기기관차 '''219'''호에 탄수차만 연결하고 미군 호송병 6명과 함께 7월 20일 오후 4시 30분경 이원역을 출발했다. 대전역에 도착했으나 탄수차 피격으로 보급품 후송이 어렵다고 판단, 옥천역으로 복귀하던 중 세천역 부근에서 북한군의 공격을 받고 순직하였다. 김재현 기관사 사후, 현재영 보조기관조사도 총상을 입었으나, 미군 스몰우드 하사가 기관차를 옥천역까지 운전하여 복귀했다.[1]

미 육군 군사(戰史) 연구소의 6.25 전쟁 공식 전사에 따르면, 김재현 기관사의 기관차가 대전역에 도착했다 돌아간 후 딘 소장이 다시 기관차를 보낼 것을 명령했지만, 대전역에 도착하지 못했고, 대전역에서 기다리던 수송장교 레이몬드 D. 햇필드 대위는 전사했다.[2]

결국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보급품 후송은 실패했고, 7월 21일 오전 8시 미 공군이 보급품 적재 화차를 폭격하여 북한군 노획을 막았다. 이 폭격은 AP 통신사를 통해 전 세계에 보도되었으며, 폭격에 참여한 조종사는 화차 폭발 장면을 미국 독립기념일 불꽃놀이에 비유하기도 했다.

2. 2. 순직 이후

김재현은 순직 이후, 고향인 충청북도 영동군에서 1차 장례를 치렀고, 충청남도 논산군(현 논산시) 선산에 임시 안장되었다. 이후 1983년 8월 16일, 국립묘지 안장 대상자로 결정되어 국립서울현충원에 안장되었다.[1]

김재현의 아들 김제원은 철도청 공작창 기계과 주임으로, 외손자 박계홍은 서울 지하철 공사(현 서울교통공사)에서 근무하는 등 가족들이 철도 관련 직업에 종사했다.[1]

3. 잘못 알려졌던 사실들

김재현 기관사와 관련하여 잘못 알려진 사실들은 다음과 같다.


  • 작전 목적: 김재현 기관사가 참여한 작전은 윌리엄 F. 딘 소장 구출이 아니라, 대전역에 있던 보급품(화차 10량)을 후방으로 옮기는 것이었다.[3][4] 이는 AP통신 보도,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및 전쟁기념관 자료에서 확인 가능하다.
  • 순직일: 김재현 기관사의 순직일은 7월 19일이 아닌 7월 20일이었다.[1] 1953년 교통부 발간 공식 역사서 '한국교통동란기', 미 육군 군사(戰史) 연구소의 6.25 전쟁 공식 전사(戰史), 미 제24보병사단 정보참모부(G2) 보고서, 딘 장군 회고록 등에서 확인 가능하다. 순직일이 잘못 알려진 이유는 대전광역시 판암동 김재현 기관사 순직비에 7월 19일로 잘못 기재되었기 때문이다.[1]
  • 기관차 모델번호: 김재현 기관사가 운전했던 기관차는 미카 3-129호가 아니라 미카 3-219호였다.[1] UPI 통신사 기사, '한국교통동란기', 황남호 기관조사 증언, '한국철도 100년사' 등에서 확인할 수 있다.
  • 옥천역 복귀 시 운전자: 옥천역 복귀 시 기관차 운전자는 김재현 기관사가 아닌 스몰우드 하사(Staff Sergeant Elmo Smallwood)였다.[13] UPI 통신사 소속 피터 칼리셔(Peter Kalischer) 종군기자 보도와 미 제24보병사단 병참부대 보고서에서 확인 가능하다.

3. 1. 김재현 기관사가 수행한 작전의 목적

김재현 기관사가 수행한 작전의 목적은 대전역에 있던 보급품(화차 10량)을 후방으로 옮기는 것이었지, 윌리엄 F. 딘 소장을 구출하는 것이 아니었다.[3]

그동안 국내에서는 김재현 기관사 등이 미군 결사대와 함께 대전 전투에서 실종된 윌리엄 F. 딘 소장을 구출하기 위한 '딘 소장 구출 작전'을 수행하다 전사한 것으로 알려져 왔다. 한국철도공사는 이 이야기를 널리 홍보해 왔지만, 이는 사실과 다르다.

미 육군 군사(戰史) 연구소의 6.25 전쟁 공식 전사(戰史)와 딘 장군 회고록, 기밀해제된 미 제24보병사단 정보참모부(G-2) 보고서 등 모든 미군 측 기록은 '보급품 후송 작전'으로 일관되게 기술하고 있다.[4]

AP통신을 통해 'Journal-Every Evening', 'Spokane Daily Chronicle' 등 수많은 미국 신문에 1950년 7월 20일자(미국 시각)로 보도된 내용은 딘 소장 구출 작전이 아니라, 대전역 안의 화차 10량에 적재되어 있던 탄약 등 보급품의 후방 이송 작전이었다.

  • ''''Journal-Every Evening' 1950년 7월 20일자 기사 원문 발췌'''

'''"A locomotive crew trying to take a late haul of supplies from Taejon was ambushed en route to the station."'''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역시 6.25 전쟁 공식 전사(戰史)에서 '딘 소장 구출 작전'은 와전이며, 실제로는 '보급품 후송 작전'이었다고 명확히 기술하고 있다.

전쟁기념관의 학예지에서도 미 제24보병사단 정보참모부(G-2) 보고서를 인용하여 '보급품 후송 작전'이었음을 입증하고 있다.

3. 2. 김재현 기관사의 순직일과 작전 일시

김재현 기관사의 공식 순직일은 국립서울현충원 묘비와 [https://blog.naver.com/mpvalove/222433863230 국가보훈처 자료] 등에 7월 19일로 기록되어 있고,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75062500209204007&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75-06-25&officeId=00020&pageNo=4&printNo=16533&publishType=00020 1975년 동아일보 기사]처럼 과거 기사에서도 7월 19일을 순직일로 보도했다.

그러나 '''김재현 기관사의 순직일은 7월 19일이 아니고 7월 20일이었다.'''

1953년 교통부에서 발간한 공식 역사서 '한국교통동란기'에서 현재영 보조기관조사는 7월 20일 16시 40분경 대전역에 도착했고, 돌아오는 길에 북한군의 총격으로 김재현 기관사가 순직했다고 증언했다.[1] 이는 미 육군 군사(戰史) 연구소(U.S. Army Center of Military History)의 6.25 전쟁 공식 전사(戰史) - [https://history.army.mil/html/books/020/20-2/CMH_Pub_20-2.pdf 'South to the Naktong, North to the Yalu' (pp. 168–169)]에 7월 20일 16시 20분에 기관차가 이원역에서 대전역으로 출발했고, 돌아오는 길에 한국인 기관사가 적의 총탄을 맞아 죽었다고 기술한 기록과 거의 일치한다.[1] 미 제24보병사단 정보참모부(G2) 보고서 역시 7월 20일 16시 30분경에 기관차가 대전역으로 출발하였다고 기록하고 있으며,[https://24thida.com/books/books/Dean_general_through_capture.pdf 딘 장군 회고록 - 'General Dean's Story' (p. 37)] 에서도 마찬가지로 미국 측 자료에서 일관되게 김재현 기관사의 순직일과 작전 일시를 7월 20일 16시 20분부터 17시 사이로 기록하고 있다.[1]

순직일이 7월 19일로 잘못 알려지게 된 이유는 1962년 12월 5일 대전광역시 판암동 소재 대전역세천역 구간에 건립되었던 김재현 기관사 순직비에 순직일이 7월 19일로 잘못 기재되었기 때문이다.[1]

1962년 12월 10일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62121100329206001&editNo=6&printCount=1&publishDate=1962-12-11&officeId=00032&pageNo=6&printNo=5269&publishType=00020 순직비 제막시 관련 기사]에서도 7월 20일에 김재현 기관사가 순직했다고 기술되어 있지만, 순직비에는 7월 19일로 잘못 기재되었다.[1] 이후 철도청 시절부터 이 순직비에 기재된 순직일에 맞추어 김재현 기관사 현양사업을 진행하면서 순직일이 완전히 잘못 알려지게 되었다.[1]

3. 3. 김재현 기관사가 운전했던 기관차의 모델번호

김재현 기관사가 운전했던 기관차의 정확한 모델번호는 미카 3-129호가 아니라 미카 3-219호였다. 여러 사료와 증언들이 이를 뒷받침한다.

  • UPI 통신사 기사: 1950년 7월 20일, UPI 소속 피터 칼리셔(Peter Kalischer) 종군기자는 대전 투입 기관차를 'Old 219(낡은 기관차 219호)'로 특정했다.[1]
  • '한국교통동란기' (1953년): 교통부 발간 공식 역사서에는 김재현 기관사가 운전한 기관차가 'M3 二一九호'로 기록되어 있다.[1]
  • 황남호 기관조사 증언 (1983년): 황남호 본무기관조사는 자필 경위서에서 'MK3 219호'를 운전했다고 증언하며, 이 기관차가 김천기관차 사무소에서 수리 후 전투에 투입되었다가 폐차되었다고 밝혔다.[1]
  • '한국철도 100년사' (1999년): 철도청 발간 공식 역사서에도 김재현 기관사가 '미카3-219호' 증기기관차를 몰고 갔다고 기술되어 있다.[1]


반면, 2008년 미카 3-129호가 국가등록문화유산으로 지정될 당시 심의위원이었던 손길신 전 철도박물관장은 '한국교통동란기'의 한자 세로쓰기 표기를 근거로 미카 3-129호가 맞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이는 '한국교통동란기' 내 다른 항목(장시경 신호원 관련)에 나오는 기관차 번호를 오독한 것이며, 김재현 기관사의 공적을 서술하는 항목에는 'M3 二一九호'로 명확히 표기되어 있다.[1]

국방부 전사편찬위원회가 1979년 발간한 한국전쟁사에서도 '한국교통동란기'의 장시경 신호원 증언을 '미카 3229호'로 표기하여, 손길신 전 관장의 주장이 잘못되었음을 뒷받침한다.[1]

결론적으로, 김재현 기관사가 운전한 기관차는 미카 3-219호가 맞으며, 미카 3-129호의 국가등록문화유산 지정은 잘못된 역사 기록에 근거한 오류이다.[1]

3. 4. 옥천역 복귀시 기관차 운전자

UPI 통신사 소속 피터 칼리셔(Peter Kalischer) 종군기자가 1950년 7월 20일 단독으로 보도하고 'Buffalo Evening News', 'The Atlanta Constitution' 등 수많은 미국 신문에 전재 및 재배포되었던 기사에 따르면 옥천역 복귀시 운전자는 스몰우드 하사(Staff Sergeant Elmo Smallwood)였다. 이 기사는 한국인 승무원들이 죽거나 부상당한 위기 상황에서 스몰우드 하사가 기관차를 운전하는 영웅적인 활약을 펼쳐 동료 미군 호송병 5명의 목숨을 살렸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또한 미 제24보병사단 병참부대 보고서에도 기관사가 부상당하자 스몰우드 하사가 운전하여 옥천역으로 복귀했다고 기록되어 있다.[13]

4. 수훈

2012년 6월 미국 국방부로부터 '미국 국방부 장관실 우수공무훈장(Office of the Secretary of Defense Medal for Exceptional Public Service)'을 수훈하였다.[14]

당시에는 미국 국방부가 민간인에게 주는 가장 높은 훈격의 훈장인 'Secretary of Defense Exceptional Civilian Service Award'를 수여했다고 보도되었지만, 실제로는 미국 국방부가 순수 민간인과 외국인에게 수여하는 훈장 중 3등급인 'Office of the Secretary of Defense Medal for Exceptional Public Service'를 수여하였다.[15]

2015년 12월 황남호 본무기관조사와 현재영 보조기관조사 역시 미국 국방부로부터 훈장을 수훈했는데, 이때도 역시 미국 국방부가 민간인에게 주는 가장 높은 훈격의 미국 국방부 특별공로훈장을 수여했다고 보도되었지만, 실제 훈장의 모양 등을 비추어 보아 김재현 기관사에게 수여된 훈장과 동일한 훈장으로 추정된다.

참조

[1] 뉴스 UPI 통신사(현 UPI 통신사) 소속 피터 칼리셔(Peter Kalischer) 종군기자가 1950년 7월 20일 단독으로 보도 UPI
[2] 웹사이트 Raymond Davidson Hatfield - Hall of Valor: The Military Medals Database https://valor.milita[...]
[3] 뉴스 6·25때 딘 소장 구출작전, 美 장군 구출 나선 한국 철도원들 세계 전쟁사에 '전무후무한 영웅' https://www.ggilbo.c[...]
[4] 서적 '6.25전쟁사 제4권 금강-소맥산맥선 지연작전'과 '호국인물총서 (1): 6·25전쟁 개전의 순간'
[5] 웹인용 '6.25 전쟁사 제4권 금강-소백산맥선 지연작전 (p. 166) -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https://www.imhc.mil[...] 2023-04-12
[6] 웹사이트 William Frishe Dean - Congressional Medal of Honor Society https://www.cmohs.or[...]
[7] 웹사이트 William Frishe Dean - Hall of Valor: The Military Medals Database https://valor.milita[...]
[8] 뉴스 손길신의 驛史(역사)이야기 12화 - 태전역(太田驛)으로 시작된 대전역(大田驛) https://www.megaecon[...]
[9] 뉴스 나라위해 끝까지 달렸다 빗발치는 총탄 뚫고 https://kookbang.dem[...]
[10] Youtube 6.25 남북전쟁의 숨은 영웅, 철도 기관사 김재현 https://www.youtube.[...]
[11] 문서 6.25 전쟁에서 미 해병대의 한국 전개는 제1임시해병여단이 8월 2일에 부산에 도착하면서부터이다.
[12] 서적 기차가 온다
[13] 뉴스 '딘 소장 구출작전' 아니었다…6·25 그날, 기관사 죽음의 진실 - 이철재의 밀담 https://n.news.naver[...]
[14] 웹사이트 2014년 7월 호국인물 김재현 공적소개문 - 전쟁기념관 https://www.warmemo.[...]
[15] 문서 미국 국방부가 수여하는 상 중에 'Secretary of Defense Exceptional Civilian Service Award'는 미국 국방부에 근무하는 민간인 직원들에게 줄 수 있는 최고 등급의 상이며, 순수 민간인과 외국인에게 줄 수 있는 상은 1등급 'Department of Defense Medal for Distinguished Public Service', 2등급 'Secretary of Defense Medal for Outstanding Public Service', 3등급 'Office of the Secretary of Defense Medal for Exceptional Public Service' 이렇게 구성되어 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