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김천시의 국회의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김천시의 국회의원은 김천시의 행정구역 변천에 따라 변화해 왔다. 1948년 제1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김천군 갑, 을 두 선거구에서 각각 무소속 권태희, 이병관이 당선되었다. 이후 김천시와 금릉군이 통합된 후에는 보수 정당이 강세를 보이며, 임인배, 이철우, 송언석 등이 국회의원을 역임했다. 특히, 1995년 이후 치러진 모든 국회의원 선거에서 보수 정당 소속 후보가 당선되었으며, 현재는 송언석이 제21대 국회의원직을 수행하고 있다.

2. 행정구역 변천

1945년 8월 15일 경상북도 김천군으로 광복을 맞이하였다. 1949년 8월 14일 김천군 김천읍이 김천부로 승격되고, 김천군은 금릉군으로 개칭되었다. 1949년 8월 15일 김천부가 김천시로 개칭되었다. 1995년 1월 1일 김천시와 금릉군이 통합되어 도농복합시 형태의 김천시가 설치되었다.

2. 1. 1945년 이전

김천은 조선시대 김산군(金山郡)에서 유래한다. 일제강점기에는 경상북도 김천군이었다.

2. 2. 1945년~1995년

1945년 8월 15일 경상북도 김천군으로 광복을 맞이하였다. 1949년 8월 14일 김천군 김천읍이 김천부로 승격되고, 김천군은 금릉군으로 개칭되었다. 1949년 8월 15일 김천부가 김천시로 개칭되었다. 1983년 금릉군의 일부 지역이 김천시로 편입되는 등의 세부적인 행정구역 조정이 있었다.

2. 3. 1995년 이후

1995년 1월 1일 김천시와 금릉군이 통합되어 도농복합시 형태의 김천시가 설치되었다. 이후 김천시 내에서 읍면동 간 경계 조정 등 세부적인 변화가 있었다.

3. 역대 국회의원

대수이름소속정당임기선거구
제1대권태희무소속1948년 5월 31일 - 1950년 5월 30일김천군 갑: 김천읍, 농소면, 남일면, 아포면, 개령면, 감문면
이병관무소속김천군 을: 어매면, 봉산면, 대항면, 감천면, 조마면, 구성면, 지례면, 부항면, 대덕면, 증산면
제2대우문대한국민당1950년 5월 31일 - 1954년 5월 30일김천시 일원
여영복무소속금릉군 일원
제3대문종두무소속1954년 5월 31일 - 1958년 5월 30일김천시 일원
김철안자유당금릉군 일원
제4대문종두무소속1958년 5월 31일 - 1960년 7월 28일김천시 일원
김철안자유당금릉군 일원
제5대 민의원김세영무소속1960년 7월 29일 - 1961년 5월 16일김천시 일원
우돈규무소속금릉군 일원
제6대백남억민주공화당1963년 12월 17일 - 1967년 6월 30일김천시·금릉군 일원
제7대백남억민주공화당1967년 7월 1일 - 1971년 6월 30일김천시·금릉군 일원
제8대백남억민주공화당1971년 7월 1일 - 1972년 10월 17일김천시·금릉군 일원
제9대김윤하무소속1973년 3월 12일 - 1979년 3월 11일김천시·금릉군·상주군 일원
백남억민주공화당
제10대박정수무소속1979년 3월 12일 - 1980년 10월 27일김천시·금릉군·상주군 일원
정휘동무소속
제11대박정수무소속1981년 4월 11일 - 1985년 4월 10일김천시·금릉군·상주군 일원
정휘동민주정의당
제12대김상구민주정의당1985년 4월 11일 - 1988년 5월 29일김천시·금릉군·상주군 일원
이재옥신한민주당
제13대박정수민주정의당1988년 5월 30일 - 1992년 5월 29일김천시·금릉군 일원
제14대박정수민주자유당1992년 5월 30일 - 1996년 5월 29일김천시·금릉군 일원
제15대임인배신한국당1996년 5월 30일 - 2000년 5월 29일김천시 일원
제16대임인배한나라당2000년 5월 30일 - 2004년 5월 29일김천시 일원
제17대임인배한나라당2004년 5월 30일 - 2008년 5월 29일김천시 일원
제18대이철우한나라당2008년 5월 30일 - 2012년 5월 29일김천시 일원
제19대이철우새누리당2012년 5월 30일 - 2016년 5월 29일김천시 일원
제20대이철우[1]새누리당[2]2016년 5월 30일 - 2018년 5월 14일김천시 일원
송언석[3]자유한국당2018년 6월 14일 - 2020년 5월 29일
제21대송언석미래통합당2020년 5월 30일 - 2024년 5월 29일김천시 일원


3. 1. 김천시·금릉군 분리 이전 (1948년~1949년)

1948년 제1대 국회의원 선거 당시 김천군은 갑과 을, 두 개의 선거구로 나뉘어 있었다. 김천군 갑 선거구에서는 권태희(權泰義)가, 김천군 을 선거구에서는 이병관(李秉瓘)이 각각 무소속으로 당선되었다. 이들은 1948년 5월 31일부터 1950년 5월 30일까지 국회의원직을 수행했다.

3. 2. 김천시·금릉군 시절 (1949년~1995년)

민의원김세영무소속1960년 7월 29일 - 1961년 5월 16일김천시 일원우돈규무소속금릉군 일원제6대백남억민주공화당1963년 12월 17일 - 1967년 6월 30일김천시·금릉군 일원제7대백남억민주공화당1967년 7월 1일 - 1971년 6월 30일김천시·금릉군 일원제8대백남억민주공화당1971년 7월 1일 - 1972년 10월 17일김천시·금릉군 일원제9대김윤하무소속1973년 3월 12일 - 1979년 3월 11일김천시·금릉군·상주군 일원백남억민주공화당제10대박정수무소속1979년 3월 12일 - 1980년 10월 27일김천시·금릉군·상주군 일원정휘동무소속제11대박정수무소속1981년 4월 11일 - 1985년 4월 10일김천시·금릉군·상주군 일원정휘동민주정의당제12대김상구민주정의당1985년 4월 11일 - 1988년 5월 29일김천시·금릉군·상주군 일원이재옥신한민주당제13대박정수민주정의당1988년 5월 30일 - 1992년 5월 29일김천시·금릉군 일원제14대박정수민주자유당1992년 5월 30일 - 1996년 5월 29일김천시·금릉군 일원


3. 2. 1. 김천시 국회의원

대수이름소속정당임기
제1대권태희(權泰義)무소속1948년 5월 31일 - 1950년 5월 30일
제2대우문(禹文)대한국민당1950년 5월 31일 - 1954년 5월 30일
제3대문종두(文鐘斗)무소속1954년 5월 31일 - 1958년 5월 30일
제4대문종두(文鐘斗)무소속1958년 5월 31일 - 1960년 7월 28일
제5대 민의원김세영(金洗榮)무소속1960년 7월 29일 - 1961년 5월 16일
제6대백남억(白南檍)민주공화당1963년 12월 17일 - 1967년 6월 30일
제7대백남억(白南檍)민주공화당1967년 7월 1일 - 1971년 6월 30일
제8대백남억(白南檍)민주공화당1971년 7월 1일 - 1972년 10월 17일
제9대김윤하(金潤河)무소속1973년 3월 12일 - 1979년 3월 11일
백남억(白南檍)민주공화당
제10대박정수(朴定洙)무소속1979년 3월 12일 - 1980년 10월 27일
정휘동(鄭輝東)무소속
제11대박정수(朴定洙)무소속1981년 4월 11일 - 1985년 4월 10일
정휘동(鄭輝東)민주정의당
제12대김상구(金相球)민주정의당1985년 4월 11일 - 1988년 5월 29일
이재옥(李在玉)신한민주당
제13대박정수(朴定洙)민주정의당1988년 5월 30일 - 1992년 5월 29일
제14대박정수(朴定洙)민주자유당1992년 5월 30일 - 1996년 5월 29일
제15대임인배(林仁培)신한국당1996년 5월 30일 - 2000년 5월 29일
제16대임인배(林仁培)한나라당2000년 5월 30일 - 2004년 5월 29일
제17대임인배(林仁培)한나라당2004년 5월 30일 - 2008년 5월 29일
제18대이철우(李喆雨)한나라당2008년 5월 30일 - 2012년 5월 29일
제19대이철우(李喆雨)새누리당2012년 5월 30일 - 2016년 5월 29일
제20대이철우(李喆雨)[1]새누리당[2]2016년 5월 30일 - 2018년 5월 14일
송언석(松言石)[3]자유한국당2018년 6월 14일 - 2020년 5월 29일
제21대송언석(松言石)미래통합당2020년 5월 30일 - 2024년 5월 29일


3. 2. 2. 금릉군 국회의원

민의원우돈규(禹燉圭)무소속1960년 7월 29일 - 1961년 5월 16일


3. 3. 통합 김천시 (1995년~)

통합 김천시 출범 이후 김천시의 국회의원은 보수 정당이 지속적으로 강세를 보여왔다.[1][2][3] 1995년 김천시와 금릉군이 통합된 후 치러진 제15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신한국당 임인배(林仁培) 후보가 당선된 것을 시작으로, 한나라당 소속으로 내리 3선에 성공했다.

이후 제18대 국회의원 선거부터는 한나라당 이철우(李喆雨) 후보가 당선되었고, 새누리당으로 당적을 옮겨 제19대, 제20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도 연이어 당선되며 3선을 기록했다. 이철우(李喆雨) 의원은 경상북도지사 출마를 위해 20대 국회의원직을 사퇴했다.[1]

이철우(李喆雨)의 사퇴로 치러진 2018년 재보궐 선거에서는 자유한국당 송언석(松言石) 후보가 당선되었으며,[3] 제21대 총선에서도 미래통합당 후보로 재선에 성공하여 현재까지 김천시 국회의원직을 수행하고 있다.

이처럼 김천시에서는 민주당 계열 정당 소속 국회의원이 단 한 명도 배출되지 못했는데, 이는 김천 지역의 보수적인 정치 지형에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참조

[1] 문서 2018년 5월 14일에 경상북도지사 출마를 위해 의원직을 사퇴하였다.
[2] 문서 자유한국당
[3] 문서 2018년 6월 13일 재보궐선거에서 당선되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