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천시의 국회의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김천시의 국회의원은 김천시의 행정구역 변천에 따라 변화해 왔다. 1948년 제1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김천군 갑, 을 두 선거구에서 각각 무소속 권태희, 이병관이 당선되었다. 이후 김천시와 금릉군이 통합된 후에는 보수 정당이 강세를 보이며, 임인배, 이철우, 송언석 등이 국회의원을 역임했다. 특히, 1995년 이후 치러진 모든 국회의원 선거에서 보수 정당 소속 후보가 당선되었으며, 현재는 송언석이 제21대 국회의원직을 수행하고 있다.
1945년 8월 15일 경상북도 김천군으로 광복을 맞이하였다. 1949년 8월 14일 김천군 김천읍이 김천부로 승격되고, 김천군은 금릉군으로 개칭되었다. 1949년 8월 15일 김천부가 김천시로 개칭되었다. 1995년 1월 1일 김천시와 금릉군이 통합되어 도농복합시 형태의 김천시가 설치되었다.
2. 행정구역 변천
2. 1. 1945년 이전
김천은 조선시대 김산군(金山郡)에서 유래한다. 일제강점기에는 경상북도 김천군이었다.
2. 2. 1945년~1995년
1945년 8월 15일 경상북도 김천군으로 광복을 맞이하였다. 1949년 8월 14일 김천군 김천읍이 김천부로 승격되고, 김천군은 금릉군으로 개칭되었다. 1949년 8월 15일 김천부가 김천시로 개칭되었다. 1983년 금릉군의 일부 지역이 김천시로 편입되는 등의 세부적인 행정구역 조정이 있었다.
2. 3. 1995년 이후
1995년 1월 1일 김천시와 금릉군이 통합되어 도농복합시 형태의 김천시가 설치되었다. 이후 김천시 내에서 읍면동 간 경계 조정 등 세부적인 변화가 있었다.
3. 역대 국회의원
대수 이름 소속정당 임기 선거구 제1대 권태희 무소속 1948년 5월 31일 - 1950년 5월 30일 김천군 갑: 김천읍, 농소면, 남일면, 아포면, 개령면, 감문면 이병관 무소속 김천군 을: 어매면, 봉산면, 대항면, 감천면, 조마면, 구성면, 지례면, 부항면, 대덕면, 증산면 제2대 우문 대한국민당 1950년 5월 31일 - 1954년 5월 30일 김천시 일원 여영복 무소속 금릉군 일원 제3대 문종두 무소속 1954년 5월 31일 - 1958년 5월 30일 김천시 일원 김철안 자유당 금릉군 일원 제4대 문종두 무소속 1958년 5월 31일 - 1960년 7월 28일 김천시 일원 김철안 자유당 금릉군 일원 제5대 민의원 김세영 무소속 1960년 7월 29일 - 1961년 5월 16일 김천시 일원 우돈규 무소속 금릉군 일원 제6대 백남억 민주공화당 1963년 12월 17일 - 1967년 6월 30일 김천시·금릉군 일원 제7대 백남억 민주공화당 1967년 7월 1일 - 1971년 6월 30일 김천시·금릉군 일원 제8대 백남억 민주공화당 1971년 7월 1일 - 1972년 10월 17일 김천시·금릉군 일원 제9대 김윤하 무소속 1973년 3월 12일 - 1979년 3월 11일 김천시·금릉군·상주군 일원 백남억 민주공화당 제10대 박정수 무소속 1979년 3월 12일 - 1980년 10월 27일 김천시·금릉군·상주군 일원 정휘동 무소속 제11대 박정수 무소속 1981년 4월 11일 - 1985년 4월 10일 김천시·금릉군·상주군 일원 정휘동 민주정의당 제12대 김상구 민주정의당 1985년 4월 11일 - 1988년 5월 29일 김천시·금릉군·상주군 일원 이재옥 신한민주당 제13대 박정수 민주정의당 1988년 5월 30일 - 1992년 5월 29일 김천시·금릉군 일원 제14대 박정수 민주자유당 1992년 5월 30일 - 1996년 5월 29일 김천시·금릉군 일원 제15대 임인배 신한국당 1996년 5월 30일 - 2000년 5월 29일 김천시 일원 제16대 임인배 한나라당 2000년 5월 30일 - 2004년 5월 29일 김천시 일원 제17대 임인배 한나라당 2004년 5월 30일 - 2008년 5월 29일 김천시 일원 제18대 이철우 한나라당 2008년 5월 30일 - 2012년 5월 29일 김천시 일원 제19대 이철우 새누리당 2012년 5월 30일 - 2016년 5월 29일 김천시 일원 제20대 이철우[1] 새누리당[2] 2016년 5월 30일 - 2018년 5월 14일 김천시 일원 송언석[3] 자유한국당 2018년 6월 14일 - 2020년 5월 29일 제21대 송언석 미래통합당 2020년 5월 30일 - 2024년 5월 29일 김천시 일원
3. 1. 김천시·금릉군 분리 이전 (1948년~1949년)
1948년 제1대 국회의원 선거 당시 김천군은 갑과 을, 두 개의 선거구로 나뉘어 있었다. 김천군 갑 선거구에서는 권태희(權泰義)가, 김천군 을 선거구에서는 이병관(李秉瓘)이 각각 무소속으로 당선되었다. 이들은 1948년 5월 31일부터 1950년 5월 30일까지 국회의원직을 수행했다.
3. 2. 김천시·금릉군 시절 (1949년~1995년)
민의원김세영 무소속 1960년 7월 29일 - 1961년 5월 16일 김천시 일원 우돈규 무소속 금릉군 일원 제6대 백남억 민주공화당 1963년 12월 17일 - 1967년 6월 30일 김천시·금릉군 일원 제7대 백남억 민주공화당 1967년 7월 1일 - 1971년 6월 30일 김천시·금릉군 일원 제8대 백남억 민주공화당 1971년 7월 1일 - 1972년 10월 17일 김천시·금릉군 일원 제9대 김윤하 무소속 1973년 3월 12일 - 1979년 3월 11일 김천시·금릉군·상주군 일원 백남억 민주공화당 제10대 박정수 무소속 1979년 3월 12일 - 1980년 10월 27일 김천시·금릉군·상주군 일원 정휘동 무소속 제11대 박정수 무소속 1981년 4월 11일 - 1985년 4월 10일 김천시·금릉군·상주군 일원 정휘동 민주정의당 제12대 김상구 민주정의당 1985년 4월 11일 - 1988년 5월 29일 김천시·금릉군·상주군 일원 이재옥 신한민주당 제13대 박정수 민주정의당 1988년 5월 30일 - 1992년 5월 29일 김천시·금릉군 일원 제14대 박정수 민주자유당 1992년 5월 30일 - 1996년 5월 29일 김천시·금릉군 일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