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가타 시게카즈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나가타 시게카즈는 일본의 생화학자이자 면역학자로, 세포 자멸사 연구의 권위자이다. 도쿄 대학에서 이학 박사 학위를 취득하고, 취리히 대학교에서 찰스 바이스만 밑에서 박사후 연구원으로 인터페론 유전자 연구를 수행했다. 오사카 대학, 교토 대학 등에서 교수를 역임했으며, 현재 오사카 대학 면역학프런티어연구센터 교수로 재직 중이다. 인터페론, 과립구 집락 자극 인자, Fas 수용체, Fas 리간드 등을 발견했으며, 세포 자멸사의 생리학적 및 병리학적 역할을 밝혀냈다. 1986년 일본생화학회 장려상, 1998년 아사히상, 2000년 일본학사원상 등을 수상했으며, 2001년 문화공로자로 선정되었다. 2014년 말부터 2015년 초에 걸쳐 논문 조작 의혹이 제기되었으나, 네이처 논문을 수정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일본의 면역학자 - 혼조 다스쿠
혼조 다스쿠는 일본의 면역학자로, PD-1 유전자 및 면역관문억제제 개발에 기여하여 2018년 노벨 생리학·의학상을 수상했다. - 일본의 면역학자 - 도네가와 스스무
도네가와 스스무는 항체 다양성 생성 기작을 밝혀 1987년 노벨 생리학·의학상을 수상한 일본의 분자생물학자로, 교토 대학 졸업 후 캘리포니아 대학교 샌디에이고에서 박사 학위를 받고 솔크 연구소, 바젤 면역학 연구소, MIT 교수를 거쳐 MIT 피코워 학습 및 기억 연구소 소장, 이화학연구소 뇌과학종합연구센터 센터장을 역임하며 면역학과 뇌과학 분야에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 일본의 생화학자 - 혼조 다스쿠
혼조 다스쿠는 일본의 면역학자로, PD-1 유전자 및 면역관문억제제 개발에 기여하여 2018년 노벨 생리학·의학상을 수상했다. - 일본의 생화학자 - 나카니시 시게타다
나카니시 시게타다는 글루탐산 수용체 연구에 기여한 일본의 생화학자이자 신경과학자로, NMDA 수용체와 대사성 글루탐산 수용체의 분자 구조 규명, 특정 신경 세포 제거 기술 개발 등의 공로로 아사히상, 게이오 의학상, 그루버상 등을 수상하고 일본 학사원 회원, 문화공로자, 문화훈장 등을 받았다. - 가나자와시 출신 - 이즈미 교카
이즈미 교카는 메이지 시대부터 쇼와 시대에 걸쳐 활동한 일본의 소설가이자 극작가로, 기괴하고 환상적인 작품 세계와 초자연적인 요소, 상징성을 통해 현실을 비판했으며, 대표작으로는 『고야 히지리』, 『야샤가이케』, 『텐슈 모노가타리』 등이 있다. - 가나자와시 출신 - 도쿠다 슈세이
도쿠다 슈세이는 일본의 소설가로, 자연주의 문학으로 전환하여 사소설의 대표 작가로 자리매김했으며, 인간의 내면과 욕망을 섬세하게 묘사하는 작품들을 통해 일본 자연주의 문학에 큰 영향을 미쳤다.
나가타 시게카즈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본명 | 나가타 시게카즈 (長田 重一) |
로마자 표기 | Nagata Shigekazu |
출생 | 1949년 |
출생지 | 일본 이시카와현 가나자와시 |
국적 | 일본 |
거주지 | 일본 스위스 |
학력 | |
모교 | 도쿄 대학 이학부 생물화학과 |
경력 | |
직업 | 생화학자 면역학자 |
주요 활동 기관 | 교토 대학 오사카 대학 오사카 바이오사이언스 연구소 도쿄 대학 취리히 대학교 |
지도 교수 | 가지로 요시토 조다이 요시히토 |
연구 분야 | |
연구 분야 | 분자생물학 생화학 |
주요 업적 | 인터페론 과립구집락자극인자 Fas 리간드 Fas 수용체 세포자살 (세포 죽음의 분자 메커니즘 연구) |
수상 | |
수상 내역 | 로베르트 코흐상 (1995년) 일본 학사원상 (2000년) 은사상 (2000년) |
2. 주요 경력
나가타 시게카즈는 세포자살 연구의 권위자이다.[19] 가나자와시 출신으로, 도쿄 대학에서 학부와 대학원 과정을 마치고 이학박사 학위를 받았다.[7] 이후 여러 대학과 연구소에서 교수로 재직했으며, 2010년 일본 학사원 회원으로 선출되었다.
연도 | 기관 | 직책 |
---|---|---|
1977년 ~ 1981년 | 취리히 대학교 분자생물학연구소 | 연구원 |
1982년 ~ 1987년 | 도쿄 대학 의과학연구소 | 조수 |
1987년 ~ 1998년 | 오사카바이오사이언스연구소 | 분자생물학부문 연구부 부장 |
1995년 ~ 2007년 | 오사카 대학 대학원 | 의학계 연구과 유전학 교수 |
2002년 ~ 2007년 | 오사카 대학 대학원 | 생명기능연구과 시공생물학 교수 |
2007년 ~ 2015년 | 교토 대학 대학원 | 의학연구과 화학 교수 |
2015년 ~ 현재 | 오사카 대학 면역학프런티어연구센터 | 교수 |
2. 1. 학력
- 가나자와 대학 부속 고등학교 졸업
- 1972년 도쿄 대학 이학부 생물화학과 졸업
- 1977년 도쿄 대학 대학원 이학계 연구과 박사 과정 수료, 이학박사 학위 취득. 박사 논문은 "폴리펩타이드 사슬 연장 인자 1. EF-1의 정제와 기능"
2. 2. 연구 경력
이시카와현 가나자와시에서 태어나 도쿄 대학 이학부 생물화학과를 졸업하고 1977년에 도쿄 대학 대학원 이학계 연구과 박사과정을 수료한 뒤 《폴리펩타이드 사슬 연장 인자 1.EF-1의 정제와 기능》이라는 논문으로 이학박사 학위를 받았다.[19] 세포자살 연구의 1인자로도 알려져 있다.[19]나가타 시게카즈의 연구 경력은 다음과 같다.
연도 | 내용 |
---|---|
1972년 | 도쿄 대학 이학부 생물화학과 졸업[31] |
1977년 | 도쿄 대학 대학원 이학계 연구과 박사과정 수료[31] |
1977년 | 도쿄 대학 의과학연구소 조수[31] |
1977년 ~ 1981년 | 취리히 대학교 분자생물학연구소 연구원[31], 찰스 바이스만 밑에서 박사후 연구원으로 재직하며 인터페론 유전자의 cDNA 염기서열 분석 연구 수행. |
1982년 ~ 1987년 | 도쿄 대학 의과학연구소 조교수[31] |
1987년 ~ 1998년 | 오사카 바이오사이언스 연구소 분자생물학부문 부장[31], 당시 하야이시 오사무가 연구소장. |
1995년 ~ 2007년 | 오사카 대학 대학원 의학계 연구과 유전학 교수[31] |
2002년 ~ 2007년 | 오사카 대학 대학원 생명기능연구과 시공생물학 교수[31] |
2007년 ~ 2015년 | 교토 대학 대학원 의학연구과 화학 교수[31] |
2015년 ~ 현재 | 오사카 대학 면역학프런티어연구센터 교수[31] |
나가타 시게카즈는 인터페론, 과립구 집락 자극 인자, 사멸 인자(Fas 수용체) 및 Fas 리간드를 발견하고 세포 자멸사에서의 역할을 밝혀냈다.[2][3][4][5][6]
2010년에는 일본 학사원 회원으로 선출되었다. 사이토카인인 INF-α과 G-CSF의 유전자를 분리하고, 그 구조를 해명했다.
3. 연구 업적
3. 1. 사이토카인 연구
나가타는 1980년에 인터페론을,[2] 1986년에 과립구 집락 자극 인자를 발견했다.[3] 그는 또한 1991년에 사멸 인자(Fas 수용체)를,[4] 1993년에 그 리간드(Fas 리간드)를 발견했으며,[5] 세포 자멸사에서의 생리학적 및 병리학적 역할을 밝혀냈다.[6]
3. 2. 세포자살 연구
나가타는 1980년에 인터페론을,[2] 1986년에 과립구 집락 자극 인자를 발견했다.[3] 그는 또한 1991년에 사멸 인자(Fas 수용체)를,[4] 1993년에 그 리간드(Fas 리간드)를 발견했으며,[5] 세포 자멸사에서의 생리학적 및 병리학적 역할을 밝혀냈다.[6]
4. 수상 경력
연도 | 상 이름 | 비고 |
---|---|---|
1986년 | 일본생화학회 장려상 | |
1990년 | 벨츠상 | 「과립구 콜로니 자극 인자(G-CSF)에 관한 기초 연구와 그 임상 응용」 |
1992년 | 모치다 기념 학술상 | 「백혈구의 발생·성숙 과정의 분자 기구」 |
1994년 | 에밀 폰 베링상 | 마르부르크 대학교 |
1995년 | 로베르트 코흐상 | |
1995년 | 오사카 과학상 | 「아폽토시스(세포사)의 분자 기구의 해석」 |
1996년 | 베링·기타사토상 | |
1997년 | 라카사뉴상 | 프랑스 암 협회 |
1998년 | 아사히상 | 「세포사 아폽토시스의 분자 기구에 관한 연구」[11] |
1998년 | 다카마츠노미야비 암 연구 기금 학술상 | |
1998년 | 우에하라상 | |
2000년 | 일본학사원상·은사상 | 「아폽토시스의 분자 기구의 연구」 |
2001년 | 문화공로자 | |
2004년 | 세포 사멸 학회상 | 국제 세포 사멸 학회 |
2010년 | 일본학사원 회원 | |
2012년 | 명예 박사 학위 | 취리히 대학교 |
2012년 | 요시다 토미조상 | 일본 암 학회 및 요시다 토미조 기념관 |
2012년 | 분자 의학 데브레첸 상 | 데브레첸 대학교 |
2013년 | 게이오 의학상 | [32] |
2015년 | 미국 과학 아카데미 회원 | |
2022년 | 즈이호 쇼주코 상 | [12] |
5. 회원
- 2010년: 일본 학사원 회원[19]
- 2015년: 미국 과학 아카데미 회원
6. 논문 조작 의혹 사건
2014년 말부터 2015년 초에 걸쳐 일본 분자생물학회 회원이 운영하는 웹사이트와 2채널 게시판에서 나가타 시게카즈가 책임 저자로 참여한 1998년~2002년 논문 5편에 대한 의혹이 제기되었다. 이 의혹은 전국지나 NHK 등 언론에서도 보도되었다.([익명 A에 의한 논문 대량 부정 의혹 사건])[13][14][15] 이 중 네이처에 게재된 논문 1편은 2015년 10월에 재실험 데이터를 사용하여 수정되었으며,[16] 2016년 네이처 재팬과의 인터뷰에서 이 논문이 1998년에 발표된 논문 중에서 가장 많이 인용되었다고 설명했다.[17]
6. 1. 경과
2014년 말부터 2015년 초에 걸쳐 일본 분자생물학회 회원이 운영하는 ‘일본의 과학을 생각한다’라는 웹사이트의 ‘날조 문제에 더 분노를’이라는 주제의 댓글 및 2채널의 ‘날조, 부정 논문 종합 스레네오 24’라는 게시판에서, 1998년부터 2002년에 걸쳐 나가타 시게카즈가 책임 저자를 담당했던 논문 5편에 부자연스러운 화상 데이터의 유사점이 있다는 지적이 있었다. 익명A 및 ‘이름없는 게놈의 클론상’이라는 닉네임의 투고를 통해서 제기된 이 지적은 일반에 알려졌다.[20][21][22][23][24][25] 문제의 논문 5편은 모두 필두 저자가 동일했다. 이 가운데 네이처에 게재된 논문 1편에 대해서는 재실험한 데이터를 사용하여 수정했다.[26] 나가타 시게카즈는 수정 후 이 논문에 대한 해설을 네이처와의 인터뷰에서 하기도 했다.[27] 한편, 17년 전 네이처 논문의 수정을 트위터[28]에서 칭찬한 스탠포드 대학교의 한 연구자는 전 세계 20,000편에 달하는 논문을 조사하여 800편의 논문에 부자연스러운 화상이 있었음을 이듬해인 2016년에 논문으로 보고했다.[29][30]6. 2. 비판적 관점
2014년 말부터 2015년 초에 걸쳐, 일본 분자생물학회 회원이 운영하는 ‘일본의 과학을 생각한다’라는 웹사이트의 ‘날조 문제에 더 분노를’이라는 주제의 댓글 및 2채널의 ‘날조, 부정 논문 종합 스레네오 24’라는 게시판에서 나가타 시게카즈가 책임 저자를 맡은 1998년~2002년 논문 5편에 부자연스러운 화상 데이터의 유사점이 있다는 지적이 익명 A 등의 투고를 통해 제기되었다.[20][21][22][23][24][25] 5편의 논문 모두 필두 저자는 동일했다. 이 중 네이처 지에 게재된 논문 1편은 재실험 데이터를 사용하여 수정되었다.[26] 이후 나가타 시게카즈는 네이처와의 인터뷰에서 수정된 논문에 대한 해설을 했다.[27] 한편, 스탠포드 대학교의 한 연구자는 17년 전 네이처 논문의 수정을 트위터에서 칭찬[28]했으며, 이듬해인 2016년에는 전 세계 20,000편의 논문을 조사하여 800편의 논문에서 부자연스러운 화상을 발견했다는 논문을 발표했다.[29][30]참조
[1]
논문
Shigekazu Nagata
[2]
논문
Synthesis in E. Coli of a polypeptide with human leukocyte interferon activity
[3]
논문
Molecular cloning and expression of cDNA for human granulocyte colony-stimulating factor
[4]
논문
The polypeptide encoded by the cDNA for human cell surface antigen Fas can mediate apoptosis
[5]
논문
Molecular cloning and expression of the Fas ligand, a novel member of the tumor necrosis factor family
[6]
웹사이트
F1000 faculty
http://f1000.com/pri[...]
Faculty of 1000
2014-01-28
[7]
문서
CV of Shigekazu Nagata, JST (pdf)
http://www.jst.go.jp[...]
[8]
웹사이트
Debrecen Award for Molecular Medicine
http://deoec.hu/info[...]
University of Debrecen
2015-01-07
[9]
웹사이트
The 2013 Keio Medical Science Prize Awardees
http://www.ms-fund.k[...]
Keio University
2014-01-18
[10]
문서
2018年6月16日、ホテル日航金沢におきまして金沢大学第二内科同窓会が開催されました。
http://intmed2.w3.ka[...]
金沢大学大学院
[11]
웹사이트
朝日賞 1971-2000年度
https://www.asahi.co[...]
2022-08-18
[12]
웹사이트
令和4年秋の叙勲 瑞宝重光章受章者
https://www8.cao.go.[...]
内閣府
2023-01-16
[13]
문서
【超STAP事件】日本の学会は捏造論文だらけ!大スキャンダルに発展か
http://www.mag2.com/[...]
堀川大樹「むしマガ」Vol.272
2016-12-09
[14]
문서
ネット上で指摘された「類似画像」論文に関して大学側が調査へ しかし疑惑はさらに拡大する恐れ
https://megalodon.jp[...]
日本の科学と技術
2016-12-09
[15]
문서
世界変動展望 著者 Twitter
https://twitter.com/[...]
2016-12-09
[16]
문서
Corrigendum: Cleavage of CAD inhibitor in CAD activation and DNA degradation during apoptosis
https://www.nature.c[...]
Nature
2016-12-09
[17]
문서
混沌状態をすっきりさせるような研究が好き
http://www.natureasi[...]
「私」とNature
2016-12-09
[18]
문서
CV of Shigekazu Nagata, JST (pdf)
http://www.jst.go.jp[...]
[19]
저널 인용
Shigekazu Nagata
[20]
뉴스
ネットで論文画像の「類似」、「匿名A」が指摘 東大や阪大などの生命科学系約80本
http://www.sankei.co[...]
산케이 신문
2015-01-09
[21]
뉴스
【超STAP事件】日本の学会は捏造論文だらけ!大スキャンダルに発展か
http://www.mag2.com/[...]
호리카와 다이키 ‘むしマガ’ Vol.272
2015-01-11
[22]
뉴스
名大や東京医科歯科大、不正指摘受け本調査へ
https://www.m3.com/o[...]
m3.com
2015-02-09
[23]
뉴스
記者会見でも決着つかぬJ‐ADNI事件「不都合な真実」
https://archive.toda[...]
《집중》
2015-02-12
[24]
뉴스
ネット上で指摘された「類似画像」論文に関して大学側が調査へ しかし疑惑はさらに拡大する恐れ
http://scienceandtec[...]
일본의 과학과 기술
2015-01-10
[25]
문서
관련 내용
https://twitter.com/[...]
世界変動展望 著者 공식 트위터
2015-02-04
[26]
문서
Corrigendum: Cleavage of CAD inhibitor in CAD activation and DNA degradation during apoptosis
http://www.nature.co[...]
Nature
2016-12-09
[27]
문서
混沌状態をすっきりさせるような研究が好き
http://www.natureasi[...]
「私」とNature
2016-12-09
[28]
문서
https://twitter.com/[...]
2016-12-09
[29]
뉴스
Problematic images found in 4% of biomedical papers
http://www.nature.co[...]
Nature News
2016-12-09
[30]
간행물
The Prevalence of Inappropriate Image Duplication in Biomedical Research Publications
http://mbio.asm.org/[...]
mBio
2016-12-09
[31]
문서
メンバー
http://biochemi.ifre[...]
오사카 대학 나가타 시게카즈 연구실
[32]
웹인용
The 2013 Keio Medical Science Prize Awardees
http://www.ms-fund.k[...]
Keio University
2014-01-1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