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도겨이삭속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나도겨이삭속은 벼과에 속하는 식물 속의 하나이다. 이 속에는 나도겨이삭, M. pedicellare, M. schmidtianum, M. transcaucasicum, M. vernale 등이 있다. 나도겨이삭은 한국에 자생하며, "나도겨"라고도 불린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포아풀족 - 오리새
온대 및 난대 지역에 널리 분포하는 다년생 풀인 오리새는 목초나 건초로 사용되며 그늘진 곳에서도 잘 자라고 꽃가루 알레르기를 유발하거나 나비 애벌레의 먹이가 되기도 하며, 여러 아종으로 나뉘어 일부 지역에서는 침입종으로 여겨진다. - 포아풀족 - 오리새속
오리새속은 벼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 속으로, 뭉치 모양의 삼각 꽃차례를 가지며, 건조하거나 습한 곳에서 자라고 곤충과 새들의 먹이가 된다. - 식물의 속 - 너도밤나무속
너도밤나무속은 북반구 온대 지역에 분포하는 참나무과 교목으로, 두 아속으로 나뉘며 각 아속은 형태, 유전형, 분포에서 차이를 보이고, 목재, 식량, 관상용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되며, 질병과 해충의 위협을 받고 있다. - 식물의 속 - 라이밀
라이밀은 밀과 호밀을 교배하여 만든 곡물이며, 육종을 통해 수확량, 영양 품질, 도복 저항성 등을 개량하고 글루텐을 함유하고 있다. - 1753년 기재된 식물 - 옥수수
옥수수는 멕시코 남부 원산의 벼과 식물로, 오래전부터 재배되어 전 세계로 퍼져나갔으며 식용, 사료용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되고, 옥수수 또는 maize라고 불린다. - 1753년 기재된 식물 - 메밀
마디풀과에 속하는 한해살이풀인 메밀은 5세기 무렵부터 재배된 구황작물로, 초가을에 흰 꽃이 피고 세모진 열매는 가루를 내어 다양한 음식 재료로 쓰이며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 철분, 비타민 B 복합체 등을 함유하고 있다.
나도겨이삭속 - [생물]에 관한 문서 | |
---|---|
속 정보 | |
학명 | Milium |
명명자 | L. 1753 (Adans. 1763 아님) |
모식종 | Milium effusum |
모식종 명명자 | L. |
이명 | Miliarium Moench K.Koch Tzvelev M.Bieb. |
분류 정보 | |
계 | 식물계 |
미분류 문 | 속씨식물군 |
미분류 강 | 외떡잎식물군 |
미분류 목 | 닭의장풀군 |
목 | 벼목 |
과 | 벼과 |
아과 | 포아풀아과 |
족 | 포아풀족 |
아족 | 나도겨이삭아족 |
2. 하위 종
- M. pedicellare|la (Bornm.) Roshev. ex Melderis
- M. schmidtianum|la K.Koch
- M. transcaucasicum|la Tzvelev
- M. vernale|la M.Bieb.
2. 1. 나도겨이삭 (''M. effusum'' L.)
나도겨이삭(''M. effusum'' L.)은 한국에 자생하는 종으로, "나도겨"라는 이름으로도 불린다.- ''M. effusum'' L.
- ''M. pedicellare'' (Bornm.) Roshev. ex Melderis
- ''M. schmidtianum'' K.Koch
- ''M. transcaucasicum'' Tzvelev
- ''M. vernale'' M.Bieb.
2. 2. ''M. pedicellare'' (Bornm.) Roshev. ex Melderis
M. pedicellare|(Bornm.) Roshev. ex Melderisla2. 3. ''M. schmidtianum'' K.Koch
''M. schmidtianum'' K.Kochla2. 4. ''M. transcaucasicum'' Tzvelev
M. transcaucasicum|M. 트란스카우카시쿰la Tzvelev|츠벨레프ru2. 5. ''M. vernale'' M.Bieb.
M. vernale|M. 비브.la참조
[1]
문서
lectotype designated by Hitchcock, Prop. Brit. Bot.: 119. 1929
[2]
웹사이트
Tropicos, Milium L.
http://www.tropicos.[...]
[3]
웹사이트
Kew World Checklist of Selected Plant Families
http://apps.kew.org/[...]
[4]
웹사이트
Grassbase - The World Online Grass Flora
http://www.kew.org/d[...]
[5]
웹사이트
Altervista Flora Italiana, genere Milium
http://luirig.alterv[...]
[6]
웹사이트
Flora of China Vol. 22 Page 311 粟草属 su cao shu Milium Linnaeus, Sp. Pl. 1: 61. 1753.
http://www.efloras.o[...]
[7]
웹사이트
Biota of North America Program 2013 county distribution maps
http://bonap.net/NAP[...]
[8]
웹사이트
Milium
http://www.theplantl[...]
The Plant List
2014-03-17
[9]
서적
Species Plantarum 1: 61
175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