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리새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오리새는 벼과에 속하는 다년생 풀로, 빽빽한 덤불을 이루며 자란다. 키는 20~140cm이며, 잎은 회녹색이고, 5~6월에 원추꽃차례가 달린다. 목초지 조성, 풋베기사료, 건초, 사일리지로 이용되며, 꽃가루는 알레르기성 비염을 유발하기도 한다. 전 세계적으로 널리 분포하며, 일부 지역에서는 귀화 또는 침입종으로 간주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포아풀족 - 오리새속
오리새속은 벼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 속으로, 뭉치 모양의 삼각 꽃차례를 가지며, 건조하거나 습한 곳에서 자라고 곤충과 새들의 먹이가 된다. - 포아풀족 - 나도겨이삭속
나도겨이삭속은 나도겨이삭(M. effusum)을 포함한 다양한 종으로 이루어진 식물 속으로, 각 종은 M. pedicellare, M. schmidtianum, M. transcaucasicum, M. vernale 등 고유한 학명과 명명자를 가진다. - 화본식물 - 옥수수
옥수수는 멕시코 남부 원산의 벼과 식물로, 오래전부터 재배되어 전 세계로 퍼져나갔으며 식용, 사료용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되고, 옥수수 또는 maize라고 불린다. - 화본식물 - 벼
벼는 벼과에 속하는 중요한 식량 작물로, 자포니카, 인디카, 자바니카의 세 가지 아종으로 분류되며, 볍씨 선별, 비료 사용, 수확 등의 과정을 거쳐 재배된다. - 칼 폰 린네가 명명한 분류군 - 벵골호랑이
벵골호랑이는 인도아대륙에서 서식하는 호랑이 아종으로, 노란색~주황색 털과 검은 줄무늬를 가지며, 멧돼지, 사슴 등 우제류를 먹이로 하며, 서식지 파괴와 밀렵으로 인해 제한적인 지역에서 서식한다. - 칼 폰 린네가 명명한 분류군 - 잉어
잉어는 동아시아에 널리 분포하는 민물고기로, 하천 중류 이하의 진흙 바닥을 선호하며, 길조의 상징으로 여겨지며, 다양한 요리 재료로 활용되며, 기생충 감염 위험에 주의해야 한다.
오리새 - [생물]에 관한 문서 | |
---|---|
일반 정보 | |
![]() | |
학명 | Dactylis glomerata L. (1753) |
이명 | Bromus glomeratus (L.) Scop. (1771) Festuca glomerata (L.) All. (1785) Koeleria dactylis Chaub. (1838) Limnetis glomerata (L.) Eaton (1817) Phalaris glomerata (L.) Gueldenst. (1791) Trachypoa vulgaris Bubani (1901), 명칭 중복 |
한국어 이름 | 카모가야, 키누이토소우 |
영어 이름 | orchard grass, cock's-foot glass |
일본어 이름 | カモガヤ, キヌイトソウ |
하위 분류 | |
아종 | D. g. subsp. glomerata D. g. subsp. hackelii D. g. subsp. hispanica D. g. subsp. lobata |
2. 특징
오리새는 빽빽한 다년생 덤불로 자라며, 키는 20-140cm에 달하고, 회녹색 잎은 20-50cm 길이로 최대 1.5cm 너비이다.[2][6] 잎은 가늘고 길며, 잎새는 털이 없고 질이 거칠고 단단하며, 흰빛이 도는 녹색이다. 5-6월에 줄기 끝에 길이 10-30cm의 원추꽃차례가 달린다. 꽃차례의 가지는 개화기에는 넓게 퍼진다. 그 끝에 붙는 작은이삭에 4-5개의 작은꽃이 마치 새의 발가락 모양으로 벌어져서 달린다. 특징적인 삼각형 모양의 뭉툭한 꽃 머리는 10-50cm 길이로 녹색 또는 적색에서 자주색을 띤다(보통 그늘에서는 녹색, 햇볕이 잘 드는 곳에서는 붉은색). 씨앗이 익으면 옅은 회갈색으로 변한다. 소수(小穗)는 5-9mm 길이이며, 일반적으로 2~5개의 꽃을 포함한다. 다른 많은 풀과 구별되는 특징인 납작한 줄기 밑부분을 가지고 있다.[2][6] 6월부터 9월까지 꽃이 핀다.[10]
오리새는 온대·난대에서 널리 재배되는 여러해살이풀로 높이 60-120cm이다. 오처드그래스라고도 불리며, 중요한 목초의 하나이다.[7] 분포 범위 북쪽의 해수면에서부터 파키스탄의 분포 범위 남쪽의 고도 4,000m까지 자생한다.[7] 건초와 사료로 널리 사용된다.[6]
라디노클로버나 붉은클로버와 함께 목초지를 조성하는 일이 많다. 풋베기사료·건초·사일리지로 이용되며, 그늘진 곳에서도 생육한다. 귀리새는 높은 수확량과 당분 함량으로 인해 건초용 풀과 목초지로 널리 사용되며, 다른 온대 풀보다 더 달콤하다.[14] 건조한 지역에서는 지중해 아종이 가뭄에 대한 내성이 더 커서 선호된다.[14] 귀리새는 신중한 방목 관리가 필요하다. 너무 적게 방목하면 거칠고 맛이 없어집니다.
내한성이 강하고, 잎은 군생하며 폭이 넓고, 높이는 1m 전후로 자란다. 개화기는 5-7월이며, 꽃가루가 날리기 때문에 삼나무 시즌 후에 발생하는 꽃가루 알레르기의 원인으로도 알려져 있다.
3. 분포
영국에서는 국가 식물 분류(NVC) 서식지 군집 MG1 (''Arrhenatherum elatius'' 풀밭)의 주요 종이며, ''Arrhenatherum elatius''(귀리새)와 함께 발견될 수 있다.[8] 초원, 목초지, 길가 및 거친 풀밭에서 발견될 수 있다.
북아메리카, 뉴질랜드, 호주에 도입되었으며, 현재 널리 귀화되었다.[9] 일부 지역에서는 침입종이 되었다.
4. 이용
꽃가루는 일부 사람들에게 알레르기성 비염 (건초열)을 유발할 수 있다. 이 풀은 고양이가 풀을 씹고 싶어하는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널리 재배되며, '''고양이 풀'''이라고 불린다.[15]
씨앗은 처음 허트퍼드셔에서 로저스 파커에 의해 수집되었으며, 이는 농업 개혁가 노포크의 코크에 의해 개발되었다.[16] 파커의 영지, 브리켓 우드 근처의 먼든은 식물학자 조지 히버트에게 상속되었다.[17] 오챠드그래스는 오리새와 함께 세계적으로 유명한 목초이다. 물반(水盤) 안의 솜이나 흙 위에 씨앗을 뿌려 싹트는 것을 즐기기도 하며, 상록 잔디로 사용하기도 한다.
목초로서의 재배는 정지(整地) 후 한 면에 종자를 뿌리고, 파종 후 2년째에 번무한 줄기와 잎을 베어 수확한다. 연 2~3회 수확할 수 있으며, 적기에 수확한 오챠드그래스의 건초는 7~8%의 조단백을 포함하고 소화율도 좋으며, 그 외 성분이나 가축의 기호도 티모시에 뒤지지 않는다.
메이지 시대에 일본에 도입되었으며, 현재는 널리 야생화되어 있다.
4. 1. 사료 가치
라디노클로버나 붉은클로버와 함께 목초지를 조성하는 일이 많다. 풋베기사료·건초·사일리지로 이용되며, 그늘진 곳에서도 생육한다. 귀리새는 높은 수확량과 당분 함량으로 인해 건초용 풀과 목초지로 널리 사용되며, 다른 온대 풀보다 더 달콤하다.[14] 건조한 지역에서는 지중해 아종이 가뭄에 대한 내성이 더 커서 선호된다.[14] 귀리새는 신중한 방목 관리가 필요하다. 너무 적게 방목하면 거칠고 맛이 없어집니다.
꽃가루는 일부 사람들에게 알레르기성 비염 (건초열)을 유발할 수 있다. 이 풀은 고양이가 풀을 씹고 싶어하는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널리 재배되며, '''고양이 풀'''이라고 불린다.[15]
씨앗은 처음 허트퍼드셔에서 로저스 파커에 의해 수집되었으며, 이는 농업 개혁가 노포크의 코크에 의해 개발되었다.[16] 파커의 영지, 브리켓 우드 근처의 먼든은 식물학자 조지 히버트에게 상속되었다.[17] 오챠드그래스는 오리새와 함께 세계적으로 유명한 목초이다. 물반(水盤) 안의 솜이나 흙 위에 씨앗을 뿌려 싹트는 것을 즐기기도 하며, 상록 잔디로 사용하기도 한다.
목초로서의 재배는 정지(整地) 후 한 면에 종자를 뿌리고, 파종 후 2년째에 번무한 줄기와 잎을 베어 수확한다. 연 2~3회 수확할 수 있으며, 적기에 수확한 오챠드그래스의 건초는 7~8%의 조단백을 포함하고 소화율도 좋으며, 그 외 성분이나 가축의 기호도 티모시에 뒤지지 않는다.
메이지 시대에 일본에 도입되었으며, 현재는 널리 야생화되어 있다.
5. 재배
귀리새는 높은 수확량과 당분 함량으로 인해 건초용 풀과 목초지로 널리 사용되며, 이는 다른 온대 풀보다 더 달콤하게 만든다. 호주의 많은 지역과 같이 건조한 지역에서는 subsp. ''hispanica''와 같은 지중해 아종이 가뭄에 대한 내성이 더 커서 선호된다.[14] 귀리새는 신중한 방목 관리가 필요하다. 너무 적게 방목하면 거칠고 맛이 없어집니다.
귀리새가 도입된 일부 지역, 특히 미국 동부 일부 지역에서는 침입성 잡초가 되었다.[11]
다른 풀과 마찬가지로, 꽃가루는 일부 사람들에게 알레르기성 비염 (건초열)을 유발할 수 있다.
이 풀은 고양이가 풀을 씹고 싶어하는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널리 재배되며, 이로 인해 속칭 '''고양이 풀'''이라고 불린다.[15]
씨앗은 처음 허트퍼드셔에서 로저스 파커에 의해 수집되었으며, 이는 농업 개혁가 노포크의 코크에 의해 개발되었다.[16] 파커의 영지, 브리켓 우드 근처의 먼든은 식물학자 조지 히버트에게 상속되었다.[17]
오챠드그래스는 오리새와 함께 세계적으로 유명한 목초이다. 물반(水盤) 안의 솜이나 흙 위에 씨앗을 뿌려 싹트는 것을 즐기기도 하며, 상록 잔디로 사용하기도 한다.
목초로서의 재배는 정지(整地) 후 한 면에 종자를 뿌리고, 파종 후 2년째에 번무한 줄기와 잎을 베어 수확한다. 연 2~3회 수확할 수 있으며, 적기에 수확한 오챠드그래스의 건초는 7~8%의 조단백을 포함하고 소화율도 좋으며, 그 외 성분이나 가축의 기호도 티모시에 뒤지지 않는다.
티모시와 마찬가지로 메이지 시대에 일본에 도입되었으며, 현재는 널리 야생화되어 있다.
5. 1. 한국에서의 재배 역사
귀리새는 높은 수확량과 당분 함량으로 인해 건초용 풀과 목초지로 널리 사용된다.[14] 너무 적게 방목하면 거칠고 맛이 없어지므로 신중한 방목 관리가 필요하다. 귀리새가 도입된 일부 지역에서는 침입성 잡초가 되기도 한다.[11] 꽃가루는 일부 사람들에게 알레르기성 비염을 유발할 수 있다.이 풀은 고양이가 풀을 씹고 싶어하는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재배되기도 하며, 이로 인해 '''고양이 풀'''이라고도 불린다.[15] 씨앗은 처음 허트퍼드셔에서 로저스 파커에 의해 수집되었으며, 이는 농업 개혁가 노포크의 코크에 의해 개발되었다.[16]
목초로서의 재배는 정지(整地) 후 한 면에 종자를 뿌리고, 파종 후 2년째에 번무한 줄기와 잎을 베어 수확한다. 연 2~3회 수확할 수 있으며, 적기에 수확한 오리새의 건초는 7~8%의 조단백을 포함하고 소화율도 좋으며, 그 외 성분이나 가축의 기호도 티모시에 뒤지지 않는다.
메이지 시대에 일본에 도입되었으며, 현재는 널리 야생화되어 있다.
6. 알레르기
다른 풀과 마찬가지로, 꽃가루는 일부 사람들에게 알레르기성 비염(건초열)을 유발할 수 있다.[14] 개화기는 5-7월이며, 꽃가루가 날리기 때문에 삼나무 시즌 후에 발생하는 꽃가루 알레르기의 원인으로도 알려져 있다.
7. 분류
오리새는 일부 학자들에 의해 Dactylis 속에 속하는 유일한 종으로 취급되지만,[3][4] 다른 학자들은 1~4개의 다른 종을 포함시키기도 한다.[11][12] 오리새는 여러 지역 아종으로 흔히 나뉘는데, 이는 단일 종만 인정하는 학자들이 특히 그렇다.[3][7][11] Plants of the World Online은 20개의 아종을 인정한다.[1]
- ''Dactylis glomerata'' subsp. ''glomerata'' (동의어 subsp. ''altaica'' 및 subsp. ''himalayensis'')는 유럽에서 기재되었으며 널리 분포한다.
- ''Dactylis glomerata'' subsp. ''hackelii'' (동의어 subsp. ''marina'', ''D. marina'', 및 ''D. maritima'')는 지중해 및 마데이라에 분포한다.
- ''Dactylis glomerata'' subsp. ''hispanica'' (동의어 ''D. hispanica'')는 지중해 및 서아시아에서 아프가니스탄까지 분포한다.
- ''Dactylis glomerata'' subsp. ''hyrcana'' (동의어 ''D. hyrcana'')는 동부 트란스코카서스에 분포한다.
- ''Dactylis glomerata'' nothosubsp. ''intercedens'' (''D. glomerata'' subsp. ''glomerata'' × ''D. glomerata''; 동의어 subsp. ''lobata'' 및 ''D. × intercedens'')는 독일 및 체코슬로바키아에 분포한다.
- ''Dactylis glomerata'' subsp. ''izcoi'' (동의어 ''D. izcoi'')는 포르투갈 및 서부 스페인에 분포한다.
- ''Dactylis glomerata'' subsp. ''judaica''는 이스라엘에 분포한다.
- ''Dactylis glomerata'' subsp. ''juncinella'' (동의어 ''D. juncinella'')는 남부 스페인 (시에라네바다) 및 모로코에 분포한다.
- ''Dactylis glomerata'' subsp. ''lobata'' (동의어 ''D. lobata'', subsp. ''aschersoniana'', ''D. aschersoniana'', ''D. polygama'', 및 ''D. scabra'')는 서부 및 중부 유럽에서 코카서스까지 분포한다.
- ''Dactylis glomerata'' subsp. ''lusitanica''는 북서부 스페인에서 중부 포르투갈까지 분포한다.
- ''Dactylis glomerata'' subsp. ''mairei''는 북동부 알제리에 분포한다.
- ''Dactylis glomerata'' subsp. ''merinoana''는 이베리아 반도에 분포한다.
- ''Dactylis glomerata'' subsp. ''nestorii'' (동의어 subsp. ''ibizensis'', ''D. ibizensis'')는 발레아레스 제도 (이비자 및 포르멘테라)에 분포한다.
- ''Dactylis glomerata'' subsp. ''oceanica''는 서부 및 북서부 프랑스에 분포한다.
- ''Dactylis glomerata'' subsp. ''reichenbachii''는 알프스 (오스트리아, 프랑스, 이탈리아)에 분포한다.
- ''Dactylis glomerata'' subsp. ''rigida'' (동의어 ''D. rigida'')는 크레타에 분포한다.
- ''Dactylis glomerata'' subsp. ''santai''는 북부 알제리 및 튀니지에 분포한다.
- ''Dactylis glomerata'' subsp. ''slovenica'' (동의어 ''D. slovenica'')는 알프스, 카르파티아 산맥 및 북부 발칸 반도에 분포한다.
- ''Dactylis glomerata'' subsp. ''stebbinsii''는 남부 스페인에 분포한다.
- ''Dactylis glomerata'' subsp. ''woronowii'' (동의어 ''D. woronowii'')는 코카서스에 분포한다.
''Dactylis glomerata'' subsp. ''glomerata'' 와 subsp. ''hispanica''는 28개의 염색체를 가진 사배체 형태이며, subsp. ''himalayensis'' 및 subsp. ''lobata''를 포함한 일부 다른 아종은 2''n'' = 14인 이배체이다. 42개의 염색체를 가진 육배체 형태도 알려져 있지만 드물다.[4][13] 사배체 형태는 이배체 형태보다 크고 거칠다.[13]
7. 1. 아종
오리새는 일부 저자에 의해 Dactylis 속의 유일한 종으로 취급되지만,[3][4] 다른 저자들은 1~4개의 다른 종을 포함시키기도 한다.[11][12] 오리새는 여러 지역 아종으로 흔히 나뉘는데, 이는 단일 종만 인정하는 저자들이 특히 그렇다.[3][7][11] Plants of the World Online은 20개의 아종을 인정한다.[1]- ''Dactylis glomerata'' subsp. ''glomerata'' (동의어 subsp. ''altaica'' 및 subsp. ''himalayensis'')는 유럽에서 기재되었으며 널리 분포한다.
- ''Dactylis glomerata'' subsp. ''hackelii'' (동의어 subsp. ''marina'', ''D. marina'' , 및 ''D. maritima'' )는 지중해 및 마데이라에 분포한다.
- ''Dactylis glomerata'' subsp. ''hispanica'' (동의어 ''D. hispanica'' )는 지중해 및 서아시아에서 아프가니스탄까지 분포한다.
- ''Dactylis glomerata'' subsp. ''hyrcana'' (동의어 ''D. hyrcana'')는 동부 트란스코카서스에 분포한다.
- ''Dactylis glomerata'' nothosubsp. ''intercedens'' (''D. glomerata'' subsp. ''glomerata'' × ''D. glomerata''; 동의어 subsp. ''lobata'' 및 ''D. × intercedens'' )는 독일 및 체코슬로바키아에 분포한다.
- ''Dactylis glomerata'' subsp. ''izcoi'' (동의어 ''D. izcoi'' )는 포르투갈 및 서부 스페인에 분포한다.
- ''Dactylis glomerata'' subsp. ''judaica'' 는 이스라엘에 분포한다.
- ''Dactylis glomerata'' subsp. ''juncinella'' (동의어 ''D. juncinella'' )는 남부 스페인 (시에라네바다) 및 모로코에 분포한다.
- ''Dactylis glomerata'' subsp. ''lobata'' (동의어 ''D. lobata'' , subsp. ''aschersoniana'', ''D. aschersoniana'' , ''D. polygama'', 및 ''D. scabra'' )는 서부 및 중부 유럽에서 코카서스까지 분포한다.
- ''Dactylis glomerata'' subsp. ''lusitanica'' 는 북서부 스페인에서 중부 포르투갈까지 분포한다.
- ''Dactylis glomerata'' subsp. ''mairei'' 는 북동부 알제리에 분포한다.
- ''Dactylis glomerata'' subsp. ''merinoana'' 는 이베리아 반도에 분포한다.
- ''Dactylis glomerata'' subsp. ''nestorii'' (동의어 subsp. ''ibizensis'', ''D. ibizensis'' )는 발레아레스 제도 (이비자 및 포르멘테라)에 분포한다.
- ''Dactylis glomerata'' subsp. ''oceanica'' 는 서부 및 북서부 프랑스에 분포한다.
- ''Dactylis glomerata'' subsp. ''reichenbachii'' 는 알프스 (오스트리아, 프랑스, 이탈리아)에 분포한다.
- ''Dactylis glomerata'' subsp. ''rigida'' (동의어 ''D. rigida'' )는 크레타에 분포한다.
- ''Dactylis glomerata'' subsp. ''santai'' 는 북부 알제리 및 튀니지에 분포한다.
- ''Dactylis glomerata'' subsp. ''slovenica'' (동의어 ''D. slovenica'' )는 알프스, 카르파티아 산맥 및 북부 발칸 반도에 분포한다.
- ''Dactylis glomerata'' subsp. ''stebbinsii'' 는 남부 스페인에 분포한다.
- ''Dactylis glomerata'' subsp. ''woronowii'' (동의어 ''D. woronowii'' )는 코카서스에 분포한다.
''Dactylis glomerata'' subsp. ''glomerata'' 와 subsp. ''hispanica''는 28개의 염색체를 가진 사배체 형태이며, subsp. ''himalayensis'' 및 subsp. ''lobata''를 포함한 일부 다른 아종은 2''n'' = 14인 이배체이다. 42개의 염색체를 가진 육배체 형태도 알려져 있지만 드물다.[4][13] 사배체 형태는 이배체 형태보다 크고 거칠다.[13]
7. 2. 기타
오리새는 벼과에 속하는 식물이다.8. 생태
많은 나비 종의 애벌레는 닭의 발을 먹고 산다.[18]
- 알락점박이부전나비 (''Maniola jurtina'')
- 벽나비 (''Lasiommata megera'')
- 문지기나비 (''Pyronia tithonus'')
- 큰점박이팔랑나비 (''Ochlodes venata'')
- 에섹스팔랑나비 (''Thymelicus lineola'')
- 작은팔랑나비 (''Thymelicus sylvestris'')
- 자불론팔랑나비 (''Poanes zabulon'')
- 얼룩날개나비 (''Pararge aegeria'')
8. 1. 나비와의 관계
많은 나비 종의 애벌레는 닭의 발을 먹고 산다.[18]- 알락점박이부전나비 (''Maniola jurtina'')
- 벽나비 (''Lasiommata megera'')
- 문지기나비 (''Pyronia tithonus'')
- 큰점박이팔랑나비 (''Ochlodes venata'')
- 에섹스팔랑나비 (''Thymelicus lineola'')
- 작은팔랑나비 (''Thymelicus sylvestris'')
- 자불론팔랑나비 (''Poanes zabulon'')
- 얼룩날개나비 (''Pararge aegeria'')
참조
[1]
웹사이트
"''Dactylis glomerata'' L."
https://powo.science[...]
Royal Botanic Gardens, Kew
2024-08-26
[2]
웹사이트
"''Dactylis glomerata'' (Cock's-foot)"
http://ip30.eti.uva.[...]
[3]
웹사이트
"''Dactylis glomerata''"
http://rbg-web2.rbge[...]
2011-07-24
[4]
간행물
Dactylis
[5]
문서
"ORCHARDGRASS"
http://plants.usda.g[...]
USDA Plant Fact Sheet
[6]
웹사이트
"FAO factsheet: ''Dactylis glomerata''"
http://www.fao.org/a[...]
2010-10-05
[7]
간행물
Dactylis glomerata
Tropicos
[8]
웹사이트
False Oat Grass Description
Botanical Society of Britain & Ireland (BSBI)
2010-12-10
[9]
웹사이트
"''Dactylis glomerata'' (cocksfoot)"
http://www.hear.org/[...]
2010-10-05
[10]
서적
Grasses
Penguin
1978
[11]
웹사이트
Species Records of Dactylis
https://www.ars-grin[...]
[12]
웹사이트
"''Dactylis'' L."
https://powo.science[...]
Royal Botanic Gardens, Kew
2024-08-26
[13]
논문
Characteristics of important diploid and tetraploid subspecies of Dactylis from point of view of the forage crop production.
http://www.cazv.cz/2[...]
Rostlinná Výroba
2002
[14]
문서
Cocksfoot
http://www.dpi.nsw.g[...]
NSW Department of Primary Industries PrimeFacts
[15]
웹사이트
Catgrass plant
https://www.victoria[...]
[16]
서적
The Library of Agricultural and Horticultural Knowledge: With an Appendix on Suspended Animation, Poisons, and the Principal Laws Relating to Farming and Rural Affairs
1830
[17]
서적
Legacies of British Slave-Ownership: Colonial Slavery and the Formation of Victorian Britain
Cambridge University Press
[18]
웹사이트
"Cocksfoot - ''Dactylis glomerata''"
http://www.plantpres[...]
Natural England
2010-02-17
[19]
서적
이네科핸드북
[20]
웹사이트
"「BG Plants 和名−学名インデックス」(YList)"
http://ylist.info/
2011-05-25
[21]
서적
野に咲く花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