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나바라 국왕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목차

1. 개요

나바라 국왕은 나바라 왕국을 통치했던 군주들을 의미한다. 나바라 왕국은 이니고 왕조, 히메네스 왕조, 샹파뉴 왕조, 카페 왕조, 에브뢰 왕조, 트라스타마라 왕조, 푸아 왕조, 알브레 왕조, 부르봉 왕조로 이어졌다. 1512년 이후에는 스페인과 프랑스로 분할되었으며, 현재 스페인 국왕, 프랑스의 앙주 공작, 칼라브리아 공작 등이 나바라 왕위를 주장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나바라 국왕 - 루이 10세
    루이 10세는 프랑스와 나바라의 왕으로, 나바라 왕국을 상속받아 통치하다 프랑스 왕으로 재임하며 귀족과의 갈등, 플랑드르 문제, 왕실 수입 증대 개혁을 추진했고 농노제 폐지 칙령과 유대인 귀환 허용 칙령을 발표했으나 테니스 경기 후유증으로 사망 후 왕위 계승 분쟁이 발생했다.
  • 나바라 국왕 - 필리프 5세
    필리프 5세는 프랑스 왕 필리프 4세와 나바라 여왕 후아나 1세 사이에서 태어나 형 루이 10세의 뒤를 이어 왕위에 올라 여성의 왕위 계승을 배제하는 원칙을 확립하고 플랑드르와의 분쟁 해결, 왕실 재정 및 행정 개혁 추진, 십자군 운동 관여 등의 활동을 했다.
  • 스페인의 역사 - 테르시오
    테르시오는 16세기에서 18세기 초까지 스페인 군대의 핵심 보병 부대로, 파이크병, 총병 등으로 구성되어 여러 전투에서 활약했으나 군사 개혁으로 인해 1704년 연대와 대대 체제로 개편되면서 소멸되었다.
  • 스페인의 역사 - 무어인
    무어인은 어원적으로 "검다"는 의미를 가지며, 역사적으로 검은 피부를 가진 사람들을 지칭했으나, 이베리아 반도에서는 이슬람 정복 시대의 아랍인, 베르베르인, 이슬람교도를, 현대에는 모로코, 모리타니 주민을, 필리핀에서는 무슬림 주민을 가리키는 등 시대와 지역에 따라 의미가 다양하게 변화되어 사용된다.
나바라 국왕
지도
개요
국가나바라 왕국
존속 기간824년 ~ 1841년
위치피레네산맥 양쪽
수도팜플로나 (주요)
상가사
에스테야
올리테
타팔라
언어바스크어
라틴어
오크어
나바라-아라곤어
종교로마 가톨릭교회
정치 체제
정부 형태군주제
역사
건국824년
프랑스 합병1512년
스페인 합병1841년
군주 목록
이니고 아리스타824년 - 851/852년
가르시아 이니게스851/852년 - 882년
포르투넬로 히메네스882년 - 905년
산초 1세 가르세스905년 - 925년
가르시아 산체스 1세925년 - 970년
산초 2세 가르세스970년 - 994년
가르시아 산체스 2세994년 - 1000년
산초 3세 가르세스1004년 - 1035년
가르시아 산체스 3세1035년 - 1054년
산초 4세 가르세스1054년 - 1076년
라미로 1세1063년 - 1064년
산초 1세 라미레스1076년 - 1094년
페드로 1세 산체스1094년 - 1104년
알폰소 1세 엘 바탈라1104년 - 1134년
가르시아 라미레스1134년 - 1150년
산초 5세 가르세스1150년 - 1194년
산초 6세 엘 푸에르테1194년 - 1234년
테오발도 1세1234년 - 1253년
테오발도 2세1253년 - 1270년
엔리케 1세1270년 - 1274년
후아나 1세1274년 - 1305년
펠리페 1세1285년 - 1305년
루이스 1세1305년 - 1316년
후안 1세1316년
펠리페 2세1316년 - 1322년
카를로스 1세1322년 - 1328년
후아나 2세1328년 - 1349년
펠리페 3세1329년 - 1343년
카를로스 2세1349년 - 1387년
카를로스 3세1387년 - 1425년
블랑카 1세1425년 - 1441년
후안 2세1425년 - 1479년
레오노르 1세1479년
프란시스코 포에부스1479년 - 1483년
카타리나 1세1483년 - 1517년
후안 3세1484년 - 1516년

2. 이니고 왕조 (824년?~905년)

이니고 가문은 824년프랑크 왕국의 권위에 반기를 들어 나바라(팜플로나) 왕국의 토대를 구축했다.[20] 이 왕조는 프랑크 왕국(카롤링거 왕조)에 대항하여 바스크족의 독립을 쟁취하였다. 코르도바 측 자료는 이들을 코르도바의 통제를 벗어난 기독교 왕국을 지칭하는 방식이 아닌, 때때로 반란을 일으키는 가신으로 언급했다. 이들은 905년에 반(反)코르도바 연합이 후계 왕조인 히메네스 왕조를 권력에 앉히면서 대체되었다.

이름초상출생결혼사망
이니고 아리스타
824년?–851/2년
851/2년
가르시아 이니게스
851/2년–882년
이니고 아리스타의 아들882년
포르툰 가르세스
882년–905년
가르시아 이니게스의 아들아우리아(905년 폐위)


2. 1. 이니고 아리스타 (824년?~851/852년)

이ñigo 아리스타es나바라 왕국의 건국자이다. 824년경 프랑크 왕국(카롤링거 왕조) 세력이 이 지역으로 확장하려는 시도에 대항하여 봉기하면서 나바라 왕국(팜플로나)을 건국한 것으로 여겨진다.[1] 코르도바 측 자료는 그들을 코르도바의 통제를 벗어난 기독교 왕국을 지칭하는 방식이 아닌, 때때로 반란을 일으키는 가신으로 언급했다.[1]

이름초상출생결혼사망
이니고 아리스타
824?–851/52
851/52


2. 2. 가르시아 이니게스 (851/852년~882년)

자녀 5명882년


2. 3. 포르툰 가르세스 (882년~905년)

가르시아 에네코이츠의 아들인 포르툰 가르세스는 882년부터 905년까지 나바라 왕국을 다스렸다. 그의 아내는 아우리아였고, 슬하에 5명의 자녀를 두었다. 905년, 반(反)코르도바 연합이 히메네스 왕조를 권력에 앉히면서 포르툰 가르세스는 폐위되었고, 922년에 사망했다.[1]

이름초상출생결혼사망
포르툰 가르세스
882–905
가르시아 에네코이츠의 아들아우리아
자녀 5명
922
(905년 폐위)


3. 히메네스 왕조 (905년~1234년)

905년, 이웃 세력과의 연합은 포르툰 가르세스를 수도원으로 은둔하게 만들었고, 그 뒤를 이어 새로운 왕조인 히메네스 왕조가 왕위에 올랐다. 이들의 통치 아래 나바라 왕국은 전성기를 맞이하였으며, '나바라'라는 이름은 '팜플로나'를 대체하기 시작했다.

이름초상화출생결혼사망
산초 가르세스 1세
905년–925년
가르시아 히메네스와 다딜디스 데 팔랴스의 아들토다 아스나레스
6명의 자녀
925년 12월 11일
레사
히메노 가르세스
925년–931년
가르시아 히메네스와 다딜디스 데 팔랴스의 아들산차 데 팜플로나
3명의 자녀
931년 5월 29일
가르시아 산체스 1세
931년–970년
919년
산초 가르세스 1세와 토다 아스나레스의 아들
안드레고토 갈린데스
2명의 자녀
테레사 라미레스 데 레온
3명의 자녀
970년 2월 22일
51세
산초 가르세스 2세
970년–994년
--935년 이후
가르시아 산체스 1세와 안드레고토 갈린데스의 아들
우라카 페르난데스
4명의 자녀
994년 12월
가르시아 산체스 2세
994년–1000/1004년
산초 가르세스 2세와 우라카 페르난데스의 아들Jimena Fernándezes
981년
4명의 자녀
1000/1004년
산초 가르세스 3세
1004년–1035년
985년
가르시아 산체스 2세와 Jimena Fernándezes의 아들
무니아도나 데 카스티야
1010년
4명의 자녀
1035년 10월 18일
가르시아 산체스 3세
1035년–1054년
1016년
산초 가르세스 3세와 무니아도나 데 카스티야의 아들
에스테파니아 데 바르셀로나
1038년
9명의 자녀
1054년 9월 15일
아타푸에르카
산초 가르세스 4세
1054년–1076년
1039년
가르시아 산체스 3세와 에스테파니아 데 바르셀로나의 아들
플라센시아
1068년
3명의 자녀
1076년 6월 4일
Peñalén영어



산초 가르세스 4세가 암살되자 나바라는 사촌 카스티야 왕 알폰소 6세와 아라곤 왕 산초 1세의 침략을 받았고, 후자가 나바라 왕이 되어 반 세기 동안 아라곤 왕국의 지배를 받았다.[1]

이름초상화출생결혼사망
산초 5세 라미레스
1076년–1094년
1042년
아라곤 왕 라미로 1세와 에르메신다 데 비고라의 아들
이자벨 데 우르헬
1065년
1명의 자녀
펠리시 데 루시
1076년
3명의 자녀
1094년 6월 4일
우에스카
52세
페드로 1세
1094년–1104년
1068년
산초 5세 라미레스와 이자벨 데 우르헬의 아들
아녜스 다키텐
1086년
2명의 자녀
Berta de Aragónes
1097년
자녀 없음
1104년 9월 28일
아란 계곡
36세
알폰소 1세
1104년–1134년
1073년
산초 5세 라미레스와 펠리시 데 루시의 아들
우라카 데 카스티야
1109년
자녀 없음
1134년 9월 8일
우에스카
61세



알폰소 1세의 죽음은 아라곤을 왕위 계승 위기로 이끌었고, 나바라 귀족들이 암살된 산초 4세의 증손(서형제를 매개하는 형태)을 왕위에 앉히면서 왕국의 재건 독립에 유리하게 작용했다.

이름초상화출생결혼사망
가르시아 라미레스
1134년–1150년
라미로 산체스와 Cristina Rodríguez (noble)영어의 아들마르가리타 드 라이그르
1130년
4명의 자녀
우라카 데 카스티야
1144년 6월 24일
2명의 자녀
1150년 11월 21일
로르카
산초 6세
1150–1194
1133년
가르시아 라미레스와 마르가리타 드 라이그르의 아들
산차 데 카스티야
1157년
6명의 자녀
1194년 6월 27일
팜플로나
산초 7세
1194년–1234년
1157년
투데라
산초 6세와 산차 데 카스티야의 아들
콩스탕스 드 툴루즈
1195년
자녀 없음
1234년 4월 7일
투데라


3. 1. 산초 1세 가르세스 (905년~925년)

산초 1세 가르세스는 905년에 이웃 세력의 연합으로 인해 이전의 왕인 포르툰 가르세스가 수도원으로 물러나게 되면서 왕위에 올랐다. 그의 통치하에 '나바라'라는 이름이 '팜플로나'를 대체하기 시작했다.

이름출생배우자자녀사망
산초 1세 가르세스
905–925
가르시아 히메네스와 다딜디스 데 팔라르스의 아들토다 데 나바라6명925년 12월 11일
레사




3. 2. 히메노 가르세스 (925년~931년)

히메노 가르세스는 925년부터 931년까지 나바라를 통치한 가르시아 히메네스와 다딜디스 데 팔라르스의 아들이다. 산차 데 나바라와 결혼하여 3명의 자녀를 두었으며, 931년 5월 29일에 사망했다.

3. 3. 가르시아 1세 산체스 (931년~970년)

산초 1세 가르세스와 토다 데 나바라의 아들인 가르시아 1세 산체스는 931년부터 970년까지 나바라를 통치했다. 그는 안드레고타 갈린데스(아라곤)와 결혼하여 2명의 자녀를 두었고, 이후 테레사 라미레스(레온)와 재혼하여 3명의 자녀를 두었다. 970년 2월 22일, 51세의 나이로 사망했다.[3]

이름출생결혼사망
가르시아 1세 산체스
931–970
919년안드레고타 갈린데스 (아라곤)
2명의 자녀
테레사 라미레스 (레온)
3명의 자녀
970년 2월 22일
51세


3. 4. 산초 2세 가르세스 아바르카 (970년~994년)

가르시아 1세 산체스와 안드레고타 갈린데스의 아들로 935년 이후에 태어났다. 우라카 페르난데스와 결혼하여 4명의 자녀를 두었다. 994년 12월에 사망했다.[4]

3. 5. 가르시아 2세 산체스 (994년~1000/1004년)

산초 2세 가르세스 아바르카와 우라카 페르난데스의 아들이다. 981년에 히메나 페르난데스 데 세아와 결혼하여 4명의 자녀를 두었다. 1000년 또는 1004년에 사망한 것으로 추정된다.

3. 6. 산초 3세 대왕 (1004년~1035년)

산초 3세es (Sancho III el Mayores, 985년경 ~ 1035년 10월 18일)는 나바라 왕국의 최전성기를 이끈 군주이다. 가르시아 2세 산체스와 히메나 페르난데스 데 세아의 아들로, 1004년부터 1035년까지 나바라 왕국을 통치했다. 무니아도나 데 카스티야와 결혼하여 4명의 자녀를 두었다.

산초 3세 대왕

3. 7. 가르시아 3세 산체스 (1035년~1054년)

산초 3세 대왕의 아들인 가르시아 3세 산체스는 1035년부터 1054년까지 나바라 국왕이었다. 1038년에 에스테파니아 데 바르셀로나와 결혼하여 9명의 자녀를 두었다. 1054년 9월 15일 아타푸에르카 전투에서 사망했다.[2]

3. 8. 산초 4세 가르세스 (1054년~1076년)

가르시아 3세 산체스와 에스테파니아 데 바르셀로나의 아들인 산초 4세 가르세스는 1076년 페냐렌에서 암살당했다.[1] 이 사건으로 인해 나바라는 그의 사촌들인 알폰소 6세와 산초 라미레스에게 분할 점령되었고, 산초 라미레스가 왕위에 오르면서 이후 50년 이상 아라곤의 지배를 받게 되었다.

이름초상출생배우자사망
산초 4세 가르세스1039년
가르시아 3세 산체스와 에스테파니아 데 바르셀로나의 아들
플라센시아
1068년
자녀 3명
1076년 6월 4일
페냐렌


3. 8. 1. 아라곤의 히메네스 왕조 (1076년~1134년)

Casa Jiménezes

산초 4세가 암살당한 후, 나바라는 그의 사촌인 알폰소 6세와 산초 라미레스에 의해 분할되었다. 산초 라미레스가 왕이 되면서 나바라는 50년 이상 아라곤의 지배를 받게 되었다.[1]

이름초상출생배우자사망
산초 5세 라미레스
1076–1094
1042년경
라미로 1세와 에르메신데 데 비고르의 아들
이자벨 데 우르젤
1065년
자녀 1명
펠리시아 드 루시
1076년
자녀 3명
1094년 6월 4일
우에스카
약 52세
페드로 1세
1094–1104
1068년경
산초 5세 라미레스와 이자벨 데 우르젤의 아들
아그네스 드 아키텐
1086년
자녀 2명
베르타 데 아라곤
1097년
자녀 없음
1104년 9월 28일
아란 계곡
약 36세
알폰소 1세
1104–1134
1073년경
산초 5세 라미레스와 펠리시아 드 루시의 아들
우라카 데 레온
1109년
자녀 없음
1134년 9월 8일
우에스카
약 61세


3. 9. 가르시아 4세 라미레스 (1134년~1150년)

가르체아 4세 라미레스는 1076년부터 1134년까지 아라곤 왕국과 연합 관계에 있던 나바라 왕국을 재건하였다.[1]

3. 10. 산초 6세 (1150년~1194년)

리처드 1세의 장인이다.[1]

3. 11. 산초 7세 (1194년~1234년)

안초 6세의 아들이자 잉글랜드의 리처드 1세의 처남이다. 히메네스 왕조의 마지막 왕이다.[1]

4. 샹파뉴 왕조 (1234년~1284년)

산초 7세의 조카인 샹파뉴 백작 티보 4세가 왕위를 계승하면서 샹파뉴 왕조가 시작되었다. 샹파뉴 왕조는 티발트 1세, 티발트 2세, 헨리케 1세, 호아나 1세로 이어졌다.

4. 1. 테오발도 1세 (1234년~1253년)

테오발도 1세(1234년~1253년)

4. 2. 테오발도 2세 (1253년~1270년)

티발트 1세의 아들인 테오발도 2세는 1253년부터 1270년까지 나바라 왕국을 통치했다.

4. 3. 엔리케 1세 (1270년~1274년)

4. 4. 후아나 1세 (1274년~1305년)

헨리케 1세의 뒤를 이어 호아나 1세가 1274년부터 1305년까지 나바라 왕국을 통치했다.

5. 카페 왕조 (1284년~1441년)

프랑스 카페 왕조 출신의 필리페 1세 ''미남왕''은 호아나 1세와 결혼하여 나바라 왕위를 공동 통치했다.[1] 그의 아들들인 루이스 1세 ''완고왕'', 호아네스 1세 ''유복자왕'', 필리페 2세 ''장신왕'', 카를로스 1세 ''미남왕''이 차례로 프랑스와 나바라 왕을 겸임하였다. 호아나 2세는 루이스 1세의 딸로, 아버지와 호아네스 1세, 숙부인 필리페 2세와 카를로스 1세의 뒤를 이어 나바라 여왕이 되었다.[1]

에브뢰 왕조는 프랑스의 필리프 3세의 서자인 에브뢰의 루이를 시조로 하는 가문으로, 필리프 데브뢰 백작이 호아나 2세와 결혼하여 나바라의 계승권을 확보했다.

5. 1. 카페 왕조 (1284년~1349년)

필리페 1세 ''미남왕''은 호아나 1세의 남편으로 명예왕이었다.[1] 루이스 1세 ''완고왕'', 호아네스 1세 ''유복자왕'', 필리페 2세 ''장신왕'', 카를로스 1세 ''미남왕''이 차례로 프랑스와 나바라 왕을 겸임하였다. 호아나 2세는 루이스 1세의 딸로, 아버지와 호아네스 1세, 숙부인 필리페 2세와 카를로스 1세의 뒤를 이어 나바라 여왕이 되었다.[1]

5. 1. 1. 필리프 1세 (프랑스의 필리프 4세) (1284년~1305년)

필리페 1세 ''미남왕''(1284년~1305년)은 호아나 1세의 남편이자 명예왕이었다.[1]

5. 1. 2. 루이 1세 (프랑스의 루이 10세) (1305년~1316년)

루이 1세 ''(별명: 완고왕)''(1305년~1316년)

5. 1. 3. 장 1세 (1316년)

장 1세 ''유복자왕''(1316)

5. 1. 4. 필리프 2세 (프랑스의 필리프 5세) (1316년~1322년)

필리페 1세의 아들이자 루이스 1세의 동생이며, 호아네스 1세의 숙부이다. 1316년부터 1322년까지 나바라 국왕 필리페 2세이자, 프랑스 국왕 필리프 5세였다. '장신왕'이라는 별칭으로 불렸다.[1]

5. 1. 5. 샤를 1세 (프랑스의 샤를 4세) (1322년~1328년)

카를로스 1세 (1322년~1328년)

5. 1. 6. 후아나 2세 (1328년~1349년)

루이스 1세의 딸로, 아버지와 호아네스 1세 및 숙부인 필리페 2세와 카를로스 1세의 뒤를 이어 나바라 왕국의 여왕이 되었다.[1]

5. 2. 에브뢰 왕조 (1328년~1441년)

프랑스카페 왕조의 방계 가문인 에브뢰 가문은 프랑스의 필리프 3세의 서자인 에브뢰의 루이를 시조로 하며, 에브뢰의 루이가 에브뢰 백작에 임명된 것에서 가문 이름이 유래한다. 필리프 데브뢰 백작은 루이 10세의 딸 호아나 2세와 결혼하여 나바라의 계승권을 확보했고, 샤를 4세가 필리프 3세의 누이인 잔 데브뢰와 결혼하여 이중으로 인척관계를 형성하였다.[1]

이름재위 기간
필리페 3세1328년~1343년
카를로스 2세1349년~1387년
카를로스 3세1387년~1425년
블랑카 1세1425년~1441년


5. 2. 1. 필리프 3세 (1328년~1343년)

필리페 3세는 호아나 2세의 남편이자 프랑스의 필리프 3세의 서자인 에브뢰의 루이의 아들로, 명예왕이었다.[1] 필리프 데브뢰 백작은 루이 10세의 딸 호아나 2세와 결혼하여 나바르의 계승권을 확보했다.[1] 그 뒤 샤를 4세가 필리프 3세의 누이인 잔 데브뢰와 결혼하여 이중으로 인척관계를 형성하였다.[1]

5. 2. 2. 카를로스 2세 (1349년~1387년)

카를로스 2세는 필리페 3세의 아들이다.

5. 2. 3. 카를로스 3세 (1387년~1425년)

카를로스 2세의 아들이다.

5. 2. 4. 블랑카 1세 (1425년~1441년)

카를로스 3세의 뒤를 이어 1425년부터 1441년까지 블랑카 1세가 통치했다.

6. 트라스타마라 왕조 (1425년~1479년)

호아네스 2세는 블랑카 1세 사후 비아나 공 카를로스(카를로스 4세)와 블란카(수리아 2세)의 권한으로 나바라를 통치했다.[1] 레오노르 1세는 가스통 4세 드 푸아 백작과 결혼했다.

6. 1. 후안 2세 (1425년~1479년)

후안 2세는 블랑카 1세 사후에도 나바라 왕위를 유지했으나, 아들 비아나 공 카를로스(카를로스 4세)와 딸 블란카(수리아 2세)와의 갈등이 심화되었다.[1]

6. 1. 1. 왕위 주장자 (1441년~1464년)

호아네스 2세는 수리아 1세 생전에는 명예왕이었으나, 아들 비아나 공 카를로스(카를로스 4세)와 딸 블란카(수리아 2세)의 권한으로 나바라를 통치했다. (1425년 ~ 1479년)

레오노르 1세는 가스통 4세 드 푸아 백작과 결혼했다. (1479년)

6. 2. 레오노르 (1479년)

레오노르 1세호아네스 2세의 딸로, 가스통 4세 드 푸아 백작과 결혼하였다.

7. 푸아 왕조 (1479년~1517년)

프란치스코 1세 페부스카탈리나 1세레오노르의 손자, 손녀이자 가스톤의 자녀들이다.[1]

7. 1. 프란시스코 페부스 (1479년~1483년)

프란치스코 1세 페부스는 가스톤의 아들이자 레오노르 여왕의 손자였다.[1]

7. 2. 카탈리나 (1483년~1517년)

프란치스코 1세의 여동생이자 레오노르의 손녀였다.[1]

8. 알브레 왕조 (1484년~1572년)

호아네스 3세는 카탈리나와 결혼하여 나바라의 왕위에 올랐다.[1] 헨리케 2세[2], 호아나 3세[3]가 뒤를 이었다.

8. 1. 후안 3세 (1484년~1516년)

호아네스 3세 (1484년~1516년)는 카탈리나의 남편으로, 명예왕이었다. 1512년, 아라곤의 페르난도 2세에게 나바라 남부를 빼앗겼다.

8. 2. 엔리케 2세 (1517년~1555년)

헨리케 2세es (1517년~1555년)

8. 3. 잔 달브레 (후아나 3세) (1555년~1572년)

호아나 3세헨리케 3세의 어머니이다.

9. 부르봉 왕조 (1572년~1620년)

헨리케 3세(''대왕'') (1572년~1610년)는 잔 달브레의 아들로, 나바라 국왕위를 계승하면서 부르봉 왕조가 시작되었다. 헨리케 3세는 프랑스 왕 앙리 4세로 즉위하며 나바라 왕위를 프랑스 왕위와 통합하였다.[1] 루이스 2세(''정의왕'') (1610년~1620년)는 헨리케 3세의 뒤를 이었다.

9. 1. 앙투안 (1555년~1562년)

안토니오 1세 (1555년~1562년) - 명예왕

9. 2. 앙리 3세 (프랑스의 앙리 4세) (1572년~1610년)

헨리케 3세는 프랑스 왕 앙리 4세로 즉위하며, 나바라 왕위를 프랑스 왕위와 통합하였다.[1]

9. 3. 루이 2세 (프랑스의 루이 13세) (1610년~1620년)

루이 2세 ''정의왕'' (1610년~1620년)

10. 상 나바라 (알타나바라)

페르난도 2세는 1474년에 상 나바라(오늘날 스페인의 나바라 지방)를 점령하고, 페르난도 1세로 불렸다. 1504년에는 상 나바라를 카스티야 왕국에 합병시켰다.

10. 1. 페르난도 1세 (아라곤의 페르난도 2세) (1512년~1516년)

페르난도 2세는 1474년부터 상 나바라(오늘날 스페인의 나바라 지방)를 점령하고, 상 나바라의 왕 '''페르난도 1세'''로 불렸다. 1504년, 그는 상 나바라를 카스티야 왕국에 합병시켰다.

페르난도 1세는 아라곤 왕, 나폴리 왕, 시칠리아 왕, 카스티야-레온 왕을 겸임했다. (재위: 1474년 ~ 1504년)

참조

[1] 웹사이트 Fernando I de Navarra http://aunamendi.eus[...]
[2] 서적 Historia de Euskal Herria: Del hierro al roble https://books.google[...] Txalaparta 1995
[3] 서적 Los reyes católicos: el camino hacia Europa https://books.google[...] Ediciones Rialp 1990
[4] 문서
[5] 서적 Navarra, 1512-1530: conquista, ocupación y sometimiento militar, civil y eclesiástico https://books.google[...] Pamiela 2001-01-01
[6] 서적 Quaderno de las leyes, y agravios reparados a suplicacion de los tres Estados del Reyno de Navarra, en las Cortes de los años de 1724, 1725 y 1726 por la Mag. Real del Señor Rey don Luis II. de Navarra, y I. de Castilla: (que santa gloria aya) Y por su muerte se continuaron por la Mag. Real del Señor Rey Don Phelipe VII. de Navarra, y V. de Castilla, nuestro Señor. y en su nombre por el Exmo. Señor Fr. Don M Christoval de Moscoso...: con acuerdo de los del Consejo Real que con el assistieron dichos años de 1724, 25 y 26 en las Cortes Generales, que se han celebrado en la Ciudad de Estella https://books.google[...] por Pedro Joseph Ezquerro 1752
[7] 서적 Quaderno de las leyes y agravios reparados a suplicacion de los tres estados del Reyno de Navarra en sus Cortes Generales celebradas en la ciudad de Pamplona los años 1765 y 1766 por la Magestad del Señor Rey don Carlos VI de Navarra y III de Castilla... https://books.google[...] en la imprenta de don Pascual Ibañez 1766
[8] 웹사이트 Gran Enciclopedia de Navarra {{!}} CARLOS VI DE NAVARRA Y III DE CASTILLA http://www.enciclope[...] 2017-12-27
[9] 서적 Quaderno de las leyes y agravios reparados a suplicacion de los tres estados del Reyno de Navarra en sus Cortes Generales celebradas en la ciudad de Pamplona los años 1794, 1795, 1796 y 1797 por la Magestad del Señor Rey don Carlos VII. de Navarra y IV. de Castilla, nuestro Señor https://books.google[...] en la imprenta de don Miguel Coscuella 1797
[10] 웹사이트 Gran Enciclopedia de Navarra {{!}} CARLOS VII DE NAVARRA Y IV DE CASTILLA http://www.enciclope[...] 2017-12-27
[11] 서적 Cuaderno de las leyes y agravios reparados a suplicación de los tres estados del Reino de Navarra https://archive.org/[...] Imprenta de Longaslanguage=es 1819
[12] 웹사이트 Royal Academy of History https://dbe.rah.es/b[...]
[13] 서적 Page 464, the Modern Part of a Universal History, From the Earliest Account of Time: The History of Navarre https://books.google[...]
[14] 웹사이트 Ref. Moret: Annals of the Kingdom of Navarre , t. 5 p. 239, no. 10 https://aunamendi.eu[...]
[15] 웹사이트 The Official Basque Encyclopedia https://aunamendi.eu[...]
[16] 웹사이트 Garcia de Medrano San Gregorio, Soria, España: Geneaordonez https://www-geneaord[...]
[17] 웹사이트 Royal Academy of History https://dbe.rah.es/b[...]
[18] 웹사이트 Pedro Antonio Medrano Albelda | Real Academia de la Historia https://dbe.rah.es/b[...]
[19] 간행물 The Royal Council of Navarre in the 18th century Pamplona, EUNSA 1994
[20] 서적 オックスフォード世界歴代王朝王名総覧 東洋書林 1993
[21] 웹사이트 90th birthday of Infanta D. Alicia, Princess of Bourbon-Parma, Dowager Duchess of Calabria https://www.borbone-[...] ブルボン=シチリア家公式サイト 2023-10-2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