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안 2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후안 2세는 아라곤 왕국의 왕으로, 나바라 왕국의 왕이자 시칠리아 왕이었다. 그는 카스티야의 후안 2세 치세 동안 카스티야의 분쟁에 참여했으며, 아라곤의 총독을 역임했다. 나바라의 블랑슈 1세와 결혼하여 나바라 왕국의 국왕이 되었으나, 아들 비아나 공 카를로스와의 갈등으로 나바라 내전이 발발했다. 카탈루냐 내전을 겪었으며, 말년에 루시용을 프랑스에 넘겨주었다. 그는 81세에 사망했으며, 그의 아들 페르난도 2세가 왕위를 계승하여 에스파냐 통일의 기반을 마련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479년 사망 - 밀성군
밀성군 이침은 조선 세종의 아들로 밀성군에 봉해졌으며, 오위도총부 도총관을 역임하고 공신에 책록되는 등 조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고, 그의 묘소는 하남시 향토유적으로 지정되었다. - 1479년 사망 - 안토넬로 다 메시나
안토넬로 다 메시나는 15세기 이탈리아 르네상스 화가로, 플랑드르 회화의 영향을 받아 유화 기법을 발전시키고 이탈리아에 전파하는 데 기여했으며, 이탈리아 회화의 간결함과 플랑드르 회화의 세밀한 묘사가 결합된 독특한 화풍으로 알려져 있다. - 마요르카의 군주 - 마르틴 (아라곤)
마르틴 1세는 1396년부터 1410년까지 아라곤 왕국을 통치하며 왕실 권력 강화, 귀족 갈등 억제, 산적 소탕에 힘썼고 아비뇽 교황을 지지했으며 사르데냐 지배력을 강화했으나, 후계자 없이 사망하여 카스페 타협으로 왕위 계승자가 결정되었다. - 마요르카의 군주 - 페란도 2세
페란도 2세는 이사벨 1세와 결혼하여 카스티야 연합 왕국의 공동 통치자가 되었고, 레콩키스타 완수와 스페인 통일, 콜럼버스 아메리카 대륙 탐험 후원 등 스페인 발전에 기여했으나, 종교적 강제 개종 정책으로 논란을 일으키기도 했다. - 발렌시아의 군주 - 마르틴 (아라곤)
마르틴 1세는 1396년부터 1410년까지 아라곤 왕국을 통치하며 왕실 권력 강화, 귀족 갈등 억제, 산적 소탕에 힘썼고 아비뇽 교황을 지지했으며 사르데냐 지배력을 강화했으나, 후계자 없이 사망하여 카스페 타협으로 왕위 계승자가 결정되었다. - 발렌시아의 군주 - 페란도 2세
페란도 2세는 이사벨 1세와 결혼하여 카스티야 연합 왕국의 공동 통치자가 되었고, 레콩키스타 완수와 스페인 통일, 콜럼버스 아메리카 대륙 탐험 후원 등 스페인 발전에 기여했으나, 종교적 강제 개종 정책으로 논란을 일으키기도 했다.
추안 2세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통치 기간 (아라곤) | 1458년 6월 27일 – 1479년 1월 20일 |
이전 통치자 (아라곤) | 알폰소 5세 |
다음 통치자 (아라곤) | 페르난도 2세 |
통치 기간 (시칠리아) | 1458년 6월 27일 – 1468년 |
이전 통치자 (시칠리아) | 알폰소 5세 |
다음 통치자 (시칠리아) | 페르난도 2세 |
통치 기간 (나바라) | 1425년 9월 8일 – 1479년 1월 20일 |
이전 통치자 (나바라) | 카를로스 3세 |
다음 통치자 (나바라) | 엘레오노르 |
공동 통치자 (나바라) | 블랑카 1세 (1441년까지) |
경쟁자 (나바라) | 카를로스 4세 (1441년–1461년) 블랑카 2세 (1461년–1464년) |
배우자 | 블랑카 1세 (1420년 결혼, 1441년 사망) 후아나 엔리케스 (1447년 결혼, 1468년 사망) |
자녀 | 카를로스 4세, 나바라 왕 블랑카 2세, 나바라 여왕 엘레오노르, 나바라 여왕 페르난도 2세, 아라곤 왕 조안나, 나폴리 여왕 사생아: 알폰소, 비야에르모사 공작 후안, 사라고사 대주교 |
왕가 | 트라스타마라 가문 |
아버지 | 페르난도 1세 |
어머니 | 레오노르 데 알부르케르케 |
출생일 | 1398년 6월 29일 |
출생지 | 메디나델캄포 |
사망일 | 1479년 1월 20일 |
사망지 | 바르셀로나 |
매장지 | 포블레트 수도원 |
2. 생애
후안 2세는 1420년에 나바라 왕국의 에브뢰 왕가 출신 공주 수리아와 결혼하여, 그녀의 권리로 나바라의 명예왕이 되었다. 1441년 수리아가 사망하면서 후안 2세는 평생 동안 나바라 왕국을 소유하게 되었으나, 이 결혼으로 얻은 아들 카를로스에게는 '비아나 공'이라는 나바라 왕위 계승자 칭호가 주어졌다.
후안 2세는 아들 카를로스에게 빠르게 질투심을 느꼈고, 후아나 엔리케스와 재혼한 후에는 후아나의 부추김으로 질투심이 완전한 증오로 커졌다. 후안 2세는 아들이 아라곤 총독으로 활동할 수 있는 헌법상의 권리를 박탈하려 했으나, 아라곤 사람들은 카를로스 편을 들어 무산되었다.
나바라 내전은 1461년 카를로스 공이 (두 번째 부인 후아나에 의해 독살되었을 가능성이 있음) 사망하면서 끝났다. 카탈루냐 공국은 카를로스 편을 들며 10년 동안의 카탈루냐 내전을 일으켰고, 후안 2세는 남은 생애를 이들과 싸우는 데 보냈다. 그는 피레네 산맥 북동쪽 루시용을 프랑스 루이 11세에게 전당 잡혔으나 돌려받지 못했다.
후안 2세는 노년에 백내장으로 시력을 잃었지만, 유대인 의사 아비아타르 크레스카스의 눈 찔러 빼기 수술로 시력을 회복했다. 1472년 카탈루냐 반란은 진압되었지만, 1479년 사망할 때까지 프랑스 왕과 전쟁을 벌였고, 대체로 불운했다. 페르난도가 왕위를 계승했으며, 카스티야의 이사벨 1세와의 결혼으로 스페인 왕국이 하나의 왕실 아래 통일되기 시작했다.
2. 1. 카스티야와의 관계, 나바라와 아라곤 상속
후안 2세는 메디나 델 캄포에서 페르난도 1세와 알부르케르케의 레오노르의 아들로 태어났다. 그는 카스티야의 후안 2세의 미성년 및 재위 기간 동안 카스티야의 분쟁에 참여한 아라곤의 왕자였다.[2]1419년, 나바라 왕 카를로스 3세의 딸이자 시칠리아 왕 마르티노 1세의 미망인이었던 블랑슈와 결혼했다. 1425년 카를로스 3세가 사망하였고, 아들이 모두 요절했기 때문에 블랑슈가 왕위를 계승하고(블랑슈 1세), 남편인 후안도 공동 군주로서 나바라 왕이 되었다. 하지만, 후안의 입지는 약했고, 장인 카를로스 3세로부터 나바라 사람 이외의 채용 금지, 나바라 토지 매매 금지 등 제약을 받았다.[4]
1441년 블랑슈 1세가 사망하면서 후안 2세는 나바라 왕국을 평생 동안 소유하게 되었다. 그러나 결혼으로 얻은 아들 비아나의 카를로스에게는 나바라의 상속자로서 '비아나 공'이라는 칭호가 주어졌다. 이후, 후안 2세는 아들 카를로스를 질투하게 되었고, 후아나 엔리케스와 재혼한 후에는 후아나의 부추김으로 절대적인 증오로 커졌다. 그는 아들이 아라곤의 총독으로 활동할 수 있는 헌법상의 권리를 박탈하려 시도하였으나, 아라곤 사람들은 카를로스의 편을 들었고, 국왕이 두 번째 아내를 총독으로 임명하려는 시도는 무산되었다.
그 후, 나바라 내전이 길게 이어졌고, 승리와 패배가 반복되다가 1461년 카를로스 공이 사망하면서 끝났다. 그는 아버지에 의해 독살되었을 가능성이 있다.[5]
1458년 형 알폰소 5세가 사망한 후 후안 2세가 아라곤 연합 왕국의 대부분을 상속받게 되어 아라곤 왕, 발렌시아 왕, 바르셀로나 백작, 시칠리아 왕을 계승했다.
2. 2. 아들과의 대립과 내전
후안 2세는 1420년에 나바라 왕국의 에브뢰 왕가 출신 공주 수리아와 첫 결혼을 하였다. 그는 수리아의 권리로 나바라의 명예왕이 되었고, 1441년에 수리아가 사망하면서 평생 동안 나바라 왕국을 소유하게 되었다. 그러나 이 결혼으로 얻은 아들 카를로스에게는 나바라 왕위 계승자의 칭호인 '비아나 공'이 주어졌다.후안 2세는 아들 카를로스에게 빠르게 질투심을 느꼈다. 후아나 엔리케스와 재혼한 후, 후아나의 부추김으로 인해 질투심은 완전한 증오로 커졌다. 후안 2세는 아버지가 부재 중일 때 아들이 아라곤의 총독으로 활동할 수 있는 헌법상의 권리를 박탈하려 했다. 그러나 아라곤 사람들은 카를로스의 편을 들었고, 국왕이 두 번째 아내를 총독으로 임명하려는 시도 또한 무산되었다.[7]
이후 승리와 패배가 반복되던 나바라 내전은 1461년 카를로스 공이 사망하면서 끝났다. 카를로스는 두 번째 부인 후아나에 의해 독살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카탈루냐 공국의 기관들은 카를로스의 편을 들었고, 자체적인 불만을 가지고 10년 동안의 카탈루냐 내전에서 잇따라 외국인 사칭자들을 불러들였다. 후안 2세는 남은 생애를 그들과 싸우는 데 보냈다.[8]
2. 3. 카탈루냐 반란 진압과 말년
후안 2세는 카탈루냐인들이 카를로스의 죽음에 대한 명분을 내세우며 일으킨 반-후안 전쟁에서 외국의 왕위 계승자들을 불러들여, 말년의 대부분을 이 반란을 진압하는 데 보냈다.[9] 그는 피레네 산맥 북동쪽에 있는 자신의 영지인 루시용을 프랑스의 루이 11세에게 넘겨줘야 했다.노년에 후안 2세는 백내장으로 눈이 멀었지만, 유대인 출신 의사 아비아타르 크레스카스의 유리체 부위 수술로 시력을 회복했다. 1472년 카탈루냐 반란은 진정되었지만, 후안 2세는 1479년 사망할 때까지 이웃 프랑스 왕과 전쟁을 벌였고, 이 전쟁은 대체로 암울한 결과를 낳았다.[10]
1462년, 후아나 엔리케스와 페르난도 모자가 지로나에 체류하던 중 카탈루냐가 이들을 포위하면서 10년에 걸친 내전이 시작되었다. 후안 2세는 즉시 프랑스 왕 루이 11세의 지원을 받아 이들을 구출했지만, 카탈루냐의 반란은 프랑스, 카스티야, 포르투갈의 개입을 초래했고, 대립왕(아라곤 왕 및 바르셀로나 백작을 칭함)이 3명이나 옹립되는 사태로 이어졌다.[9]
처음에는 카스티야 왕 엔리케 4세가 제네랄리타트에 옹립되었지만(1462년 ~ 1463년), 후안 2세가 엔리케와 협상하여 왕위를 철회시키면서 무사히 해결되었다. 다음으로, 포르투갈 왕족 출신 장군 페드로 5세(1463년 ~ 1466년)가 옹립되었지만, 제네랄리타트와 대립하고 1466년에 사망했다. 기세가 오른 후안 2세는 레리다를 함락시키고 카탈루냐에 기존 특권 존중과 반란에 대한 사면을 선언하며 와해를 꾀했다.
마지막으로 앙주 공 르네 당주가 제네랄리타트에 의해 옹립되어 아라곤 왕을 칭했고(1466년 ~ 1472년), 그의 아들 로렌 공작장 2세가 카탈루냐 총독으로 선출되어 프랑스군이 카탈루냐를 침공했다. 그러나 후안 2세는 외교를 통해 잉글랜드, 부르고뉴와 반프랑스 동맹을 결성하고, 카스티야와도 동맹을 맺어 1469년에 엔리케 4세의 여동생 이사벨과 페르난도를 결혼시켜 프랑스를 고립시켰다. 1470년 장 2세가 사망하면서 후안 2세에게 유리한 흐름이 만들어졌고, 1472년 바르셀로나를 함락시키며 카탈루냐의 반란을 종식시켰다.
후안 2세는 자신의 장수를 바탕으로 반란 진압을 달성하고, 그 사이에 성인이 된 페르난도에게 왕위를 계승시킬 수 있었다. 전쟁 후 약속대로 카탈루냐의 특권 존중을 맹세했지만, 반란의 피해는 컸다. 바르셀로나에서 자본과 인구가 유출되었고, 대신 발렌시아가 부상했으며, 반란의 원인이었던 계층 간 대립은 유보되어 문제의 근본적인 해결은 이루어지지 않았다. 카탈루냐 재건을 포함한 문제 해결은 아라곤 연합 왕국과 함께 페르난도 2세에게 위임되었다.[10]
후안 2세는 1479년, 81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셋째 딸이자 카를로스와 블랑카 2세의 동복 자매인 레오노르는 부친의 재위 중에 나바라 섭정으로 임명되었으며, 부친 사후 여왕이 되었지만, 불과 3주 만에 사망했다. 그 후에는 어린 손자들(후안 2세의 증손, 프란시스코 1세와 카탈리나)이 나바라 왕위를 계승했다. 그 외의 군주위는 카스티야 여왕이 된 이사벨 1세의 공동 군주가 된 페르난도가 계승했다.[11]
3. 결혼과 자녀
블랑슈 1세와의 첫 번째 결혼을 통해 다음 자녀를 두었다.
이름 | 출생 | 사망 | 비고 |
---|---|---|---|
카를로스 | 1421년 | 1461년 | 비아나 공. 아그네스 폰 클레베와 결혼했으나 자녀 없음. |
후아나 | 1423년 | 1425년 8월 22일 | |
블랑슈 2세 | 1424년 | 1464년 | 엔리케 4세와 결혼했으나 자녀 없음. |
레오노르 1세 | 1426년 | 1479년 | 가스통 4세와 결혼하여 자녀를 둠. |
후아나 엔리케스와의 두 번째 결혼을 통해 다음 자녀를 두었다.
이름 | 출생 | 사망 | 비고 |
---|---|---|---|
페란도 2세 | 1452년 | 1516년 | 이사벨 1세와 결혼. |
후아나 | 1454년 | 1517년 | 페르디난도 1세와 결혼. |
사생아는 다음과 같다.
참조
[1]
서적
Historia genealogica da casa real portugueza
https://archive.org/[...]
Lisboa Occidental
[2]
문서
北原
[3]
문서
バード
[4]
문서
バード
[5]
문서
北原
[6]
문서
立石
[7]
문서
バード
[8]
문서
バード
[9]
문서
立石
[10]
문서
立石
[11]
문서
バード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