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시 다강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나시 다강은 코코넛 밀크로 지은 밥에 등푸른 생선 카레 조림을 얹어 먹는 말레이시아의 음식이다. 쌀은 인디카 쌀을 기본으로 하며, 곁들임으로 삶은 달걀, 코코넛 플라이, 채소 피클, 삼발 등을 곁들인다. 생선 카레는 말레이 스타일 카레로, 코코넛 밀크에 레몬그라스, 갈랑갈, 칠리 페이스트, 강황 등 전통적인 향신료를 섞어 만든다. 지역에 따라 쌀의 종류와 곁들임 음식에 차이가 있으며, 태국 남부, 인도네시아 나투나 제도와 아남바스 제도에서도 유사한 형태로 즐겨 먹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참치 요리 - 브리크
브리크는 튀니지 아랍어에서 유래한 이름으로, 얇은 페이스트리 반죽에 으깬 감자, 달걀, 참치 등의 소를 넣어 기름에 튀긴 음식이며, 중동과 프랑스 등지에서 다양한 이름과 재료로 변형되어 500년 이상 이어져 왔다. - 참치 요리 - 마스 후니
마스 후니는 몰디브의 전통 음식으로, 훈제 참치인 몰디브피시를 주재료로 사용하며, 현재는 참치 통조림으로 대체되기도 하고, 생선이 부족할 경우 다양한 식물의 잎, 말오름 열매, 땅콩호박, 호박 등을 활용하여 만들기도 한다. - 말레이 요리 - 론통
론통은 쌀을 바나나 잎에 쪄서 만든 인도네시아 전통 음식으로, 케투팟에서 기원하여 이슬람 전파 후 자바에서 널리 퍼졌으며, 론통 사유르, 론통 캡 고 메 등 다양한 요리에 활용된다. - 말레이 요리 - 삼발
삼발은 인도네시아를 포함한 동남아시아에서 흔히 사용되는 고추 기반의 매운 소스로, 다양한 고추, 새우 페이스트, 마늘, 샬롯, 라임 등을 섞어 만들며 지역별로 수백 가지 변종이 존재하고 인도네시아 요리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 말레이시아의 쌀 요리 - 비리아니
비리아니는 남아시아의 대표적인 쌀 요리로, 쌀과 고기, 해산물 또는 채소, 다양한 향신료를 넣어 만들며, 페르시아에서 유래하여 무굴 제국 시대를 거치며 발전했고, 파키 방식과 카치 방식으로 나뉘며 지역별로 다양한 종류가 있다. - 말레이시아의 쌀 요리 - 론통
론통은 쌀을 바나나 잎에 쪄서 만든 인도네시아 전통 음식으로, 케투팟에서 기원하여 이슬람 전파 후 자바에서 널리 퍼졌으며, 론통 사유르, 론통 캡 고 메 등 다양한 요리에 활용된다.
나시 다강 - [음식]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국가 | 말레이시아 |
지역 | 말레이 반도 동해안 (트렝가누 주와 클란탄 주) (원래), 태국 남부, 인도네시아 리아우 제도 (나투나 제도와 아남바스 제도) |
만든 사람 | 트렝가누 말레이족 |
코스 | 주요리, 보통 아침 식사 |
제공 온도 | 뜨겁거나 실온 |
주 재료 | 코코넛 밀크에 지은 밥과 말레이 생선, 닭고기, 새우 커리 |
2. 구성
나시 다강은 코코넛 라이스에 등푸른 생선 카레 조림을 얹은 음식이다. 곁들임으로 삶은 달걀, 코코넛 플라이, 채소 피클, 삼발 등이 추가되기도 한다.
2. 1. 쌀 (나시)
인디카 쌀의 메벼를 기본으로 하지만, 트렝가누에서는 찹쌀을 더하고, 클란탄에서는 고대 쌀의 적미 또는 자색 찹쌀을 더하는 경우가 많다. 호로파 씨앗과 코코넛 밀크를 더하여 독특한 맛과 향을 낸다. 쌀을 부드럽게 하기 위해 먼저 수 시간 물에 담근 후, 진한 코코넛 밀크와 얇게 썬 샬롯(바왕메라 소형 적양파 모양), 레몬그라스와 호로파 씨앗을 섞는다. 반 정도 찐 다음, 다시 코코넛 밀크를 더해 두 번 찐다. 이는 쌀을 더욱 크리미하게 만들기 위함이다.[1]2. 2. 생선 카레 (카리 이칸/굴라이 다랏)
이 반찬은 나시 다강만을 위해 특별히 준비되며, 때로는 현지에서 ''굴라이 다랏''이라고 불린다.이 카레는 생선을 요리할 때 사용되며, 인도식 카레 가루가 아닌 말레이 스타일 카레이다. 즉, 레몬그라스, 갈랑갈, 칠리 페이스트, 강황과 같은 전통적인 말레이 향신료와 혼합된 코코넛 밀크이다.
참치가 일반적인 생선 선택이지만, 고등어와 같은 다른 생선도 사용할 수 있다.[6] 닭고기와 보리새우도 가끔 사용되지만, ''굴라이 다랏''은 약간 다르게 준비된다. 나시 다강에 사용되는 피시 커리는 현지어로 '굴라이 다랏'이라고 불린다. 커리라고 불리지만, 실제로는 인도 커리의 커리 가루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가 많으며, 코코넛 밀크에 레몬그라스, 갈랑갈, 칠리 소스, 강황 등의 말레이시아 향신료를 넣어 물고기를 조려 만든다. 물고기의 종류는 참치가 가장 많으며, 트렝가누에서는 참치속의 날개다랑어 성어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지만, 그 외에 삼치, 고등어, 연어도 사용된다.
2. 3. 곁들임 음식

나시 다강의 곁들임 음식은 다음과 같다.
- 잘게 썬 샬롯과 섞어 신선하게 깎은 코코넛을 황금빛 갈색이 될 때까지 튀긴 것.
- 삶은 달걀을 4개 또는 8개 조각으로 자른 것.
- 쌀 식초와 설탕에 절인 채소 (주로 오이, 고추, 당근).
- 칠리 삼발.
- 텔루르 핀당: 허브로 삶은 계란으로, 태국(얄라, 나라티왓, 파타니)의 말레이 공동체에서 나시 다강과 함께 흔히 먹는다.
- 매콤하고 크리미한 소스에 조리된 훈제 생선 요리 (인도네시아 나투나 제도와 아남바스 제도에서 나시 다강과 함께 제공).
- 나시 르막과 마찬가지로 매운맛 조미료이자 반찬 요리인 삼발 또는 튀긴 작은 멸치인 이칸 빌리스.
3. 지역별 특징
테렝가누 버전은 일반 백미를 사용하지만, 클라탄 버전은 현지에서 '베라스 나시 다강'이라고 불리는 쌀의 일종을 사용하는데, 이는 옅은 보라색을 띠고 약간 끈기가 있는 야생 쌀의 일종이다.[7] 테렝가누 버전은 또한 훨씬 더 간단하며, 생선 카레(때로는 ''벨림빙 불루''를 첨가하기도 함)와 피클과 함께 먹는다.[8]
말레이시아 국경 밖에서는 태국 남부(파타니, 얄라, 나라티왓)의 주요 아침 식사이며, 태국 남부의 나시 다강은 클라탄 (붉은색)과 테렝가누 (흰색) 버전의 요리를 모두 제공한다. 남중국해 너머, 나투나와 아남바스의 나시 다강은 테렝가누 버전의 쌀과 유사한 ''구라이''(그레이비)를 사용하지만, 나투나-아남바스 버전의 나시 다강 쌀은 나시 레막과 밀접하게 관련된 코코넛 밀크로 조리했다.
참조
[1]
웹사이트
Nasi Dagang
http://www.jkkn.gov.[...]
JKKN
2017-12-08
[2]
웹사이트
Nasi Dagang
http://www.tourism.t[...]
Tourism Terengganu
2017-12-03
[3]
웹사이트
Yuk Coba Ragam Kuliner Dari Natuna
https://natunaterkin[...]
natunaterkini.com
2019-11-23
[4]
웹사이트
8 Makanan Khas Pulau Natuna
https://fajaraya.com[...]
Fajaraya
2019-11-23
[5]
웹사이트
Kuliner Pilihan: Ragam Menu Sarapan di Kepulauan Anambas
https://travel.tempo[...]
Tempo
2019-11-23
[6]
서적
Growing Up in Trengganu, By Awang Goneng
https://books.google[...]
[7]
서적
Malaysia & Singapore
https://books.google[...]
Lonely Planet
2003
[8]
서적
Malaysia, Singapore & Brunei.
https://archive.org/[...]
Lonely Planet
20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